• 제목/요약/키워드: 공간변화

검색결과 7,716건 처리시간 0.029초

대학도서관 공간변화 동향 및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rends and Perceptions of Spatial Changes in University Libraries)

  • 정재영;김희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1-54
    • /
    • 2022
  • 이 연구는 대학도서관 공간변화 동향 및 사서들의 인식조사를 기초로 대학도서관 공간변화의 방향성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0년까지 대학도서관 공간변화의 특징을 분석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공간변화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조사결과, 지난 20년간 전국 대학도서관에서 총 99건의 신·증축 및 리모델링이 있었고, 최근 대학의 예산 긴축정책에 따라 신·증축보다 리모델링에 치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변화의 특징으로는 이용자들의 요구 수용, 이용자 수 증대를 목적으로 도서관 내 휴게공간 확장과 쾌적하고 안락한 분위기 추구, 혁신적·창의적인 공간 설치 지향 등이 나타났다. 공간변화의 장점은 다양한 공간의 제공과 도서관 방문자 수 증가 등이며, 시설유지비 증가와 관리 인력 부족 등이 문제점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공간변화가 시대적 트렌드만 반영하고 서비스 및 대학도서관의 실질적 가치에 변화가 크지 않은 점, 획일성과 특징 상실 등이 지적되었다. 향후 대학도서관 공간변화는 대학도서관만의 차별성 확보와 다양한 변화에 대한 수용성, 대학도서관의 가치와 존재를 증명할 수 있는 상징성을 지향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가로체계와 공간변화 분석 - 서울 강남구를 사례로 (An Analysis of the street structure and the Morphological Change using Space Syntax in Kangnam, Seoul)

  • 김혜영;주용진;전철민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9-70
    • /
    • 2010
  • 우리나라의 경우 시계열적인 토지 이용의 변화특성에 대한 경향 및 유형의 분석과 예측에 관련한 연구는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시 강남구의 구축한 시계열 데이터를 바탕으로 가로체계와 토지이용 자료를 사용하여 강남구 공간구조의 시계열 공간구조변화의 패턴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토지이용 변화과정을 함께 비교분석한다. 강남구는 70년대 초부터 개발로 인해 많이 변화해온 지역이다. 이를 고려하여 60,70,80,90년의 시계열별 공간구문론을 도입하여 축선도(Axial map)를 통해 정량적 분석을 한다. 향후 도로의 접근성 측면에서의 토지이용변화 예측모델 방법론과 연계가 이루어진다면 공간변화를 효과적으로 추정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PDF

경부고속철도 건설에 따른 국토동남권 공간구조 변화과정의 분석과 전망 -경부고속전철 경주역이 울산시 공간에 미치는 영향- (A forecasting and analysis on the changing process in the spatial structures of southeast region in accordance with development of Seoul-Pusan High Speed Railway -A effects on Ulsan spatiality by Kyongju station of HSR-)

  • 김성득;최양원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3-52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국토동남권의 인구와 고용에 따른 공간구조 변화과정을 분석하고 향후 경부고속철도 건설에 따른 변화를 예측하였다. 본 연구의 공간범위는 양산시, 울산시, 경주시, 포항시를 대상지역으로 한 총 52개 지역공간을 기초분석 단위로 하였다. 국토동남권내 인구와 고용의 공간구조를 분석 전망하기 위하여 공간구조 측정방법인 로렌쯔곡선측정식, 중심성측정식, 접근도측정식등의 기법을 이용하였으며 공간적 집중과 분산의 정도를 전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970년부터 1994년까지 인구와 고용구조를 조사하여 공간구조의 변화과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현재까지 계획된 건설 공정을 바탕으로 개통 예정시점인 2006년부터 2016년까지의 국토동남권 공간구조를 전망하기 위하여 3가지 시나리오에 따라 인구와 고용의 공간구조 변화를 예측하였다. 시나리오(1)은 경부고속철도의 서울-대구 구간을 우선적으로 건설하여 운행하고 대구-부산 구간은 경부철도의 기존선을 전철화하여 활용하는 방안이다. 시나리오(2)는 경부고속철도를 기본계획과 같이 2006년 완공하고 국토동남권내 1개 정차역인 경주시 건천역을 개통하였을 경우이다. 시나리오(3)은 시나리오(2)와 같은 조건하에서 국토동남권내 2개 정차역인 건천역과 울산역을 개통하였을 경우이다. 시나리오 (2)와 (3)의 경우는 일본 시즈오카현 노선을 경유하는 신간선 주변의 지역공간 특성이 우리나라 국토동남권과 유사함을 근거로 신간선개통전과 개통후의 지역공간 변화를 분석하여 본 연구와 비교하였다.

  • PDF

여가 활동 공간으로서 여의도 한강공원 공간변화의 구조화 - 197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여의도 한강공원의 여가 활동과 계획을 중심으로 - (Structuration of Space Change due to Planning and Leisure Activities in Hangang River Park - Focused on the Hangang River Park in Yeouido from the 1970s to the 2000s -)

  • 조한솔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3-27
    • /
    • 2019
  • 본 연구는 여의도 한강공원에서 계획과 여가 활동이 만들어낸 공간변화 양상을 알아보고자 한다. 계획, 활동과 공간변화의 관계양상은 기든스의 구조화 이론을 통해 설명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한강공원 계획서, 도면, 위성자료를 해석하고, 신문기사 자료를 통해 1차적으로 한강의 공간변화과정과 이유를 도출하고 대표적인 여가 활동과 시대상황을 통해 흐름을 확인하였다. 2차적으로 이론 적용을 통해 공간변화의 구조화 모식도를 도출해 냈다. 계획과 여가 활동으로 인한 여의도 한강공원의 공간변화 흐름은 다음과 같다. 1970년대 국회의사당과 아파트 생활환경 때문에 둔치의 체육 공간 필요로 여가 공간이 처음 만들어지고 전체 여가 활동 공간 구상이 있었지만 실현되지 않았다. 1980년대는 종합개발을 통해서 여가 활동공간이 계획으로 마련되었으며, 스포츠와 수상레저, 생활 체육 공간이 실제로 지어졌지만 이용 환경이 슬럼화 되었다. 1990년대는 법제도와 공간 규율, 공간 정비를 수정하면서 다양한 여가 활동이 공간화되었고, 1990년대 후반부터는 계획에 생태적 이슈가 나타났다. 2000년대는 두 번의 계획을 통해서 전반적인 공간 정비가 있었다. 문화, 생태 이슈로 계획이 만들어졌고, 실제 여가 공간은 대규모 활동을 따라 정비가 이루어졌다. 구조화 이론을 적용하여 상호작용, 양식, 구조화에 해당하는 요소를 여의도 한강공원의 여건에 맞추어 공간변화 구조화 과정을 도출하였다. 한강 공간변화 구조는 계획적으로 보았을 때 종합계획, 개별 공간변화가 미치는 영향이 비슷하게 나타났고, 공간의 흐름 면을 봤을 때는 종합계획은 관행적인 공공의 사업, 대규모의 활동 변화에 영향을 받았고, 개별 공간변화는 이용자의 활동과 의견에 많은 영향을 받았지만, 공간의 변화 결과에는 공공과 이용자 모두의 영향이 있었다. 한강의 여가 공간은 구조화이론에서 이야기하는 행위자로 인한 구조화가 반복해서 일어나 변화하고 있는 사회적 공간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강 공원의 여가 활동 공간변화를 공간 계획 다양한 층위와 활동, 주체 영향 관계를 통해서 살펴보았다. 본 연구 내용을 통해서 여가 활동 공간을 계획하는데 한강 공원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는 연구가 되도록 하였다.

실내공간 개념 변화에 따른 자동차 차체형상의 변화 (A Change of the Body Shape due to the Change of the Concept of the interior Space on a Vehicle)

  • 구상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4호
    • /
    • pp.409-416
    • /
    • 2002
  • 자동차에서 실내공간 비중의 점진적 증대는 오늘에 이르러 자동차 차체 디자인의 조형개념에서 새로운 전환점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것은 차량의 차체 크기나 엔진의 배기량에 관계없이 차체에서 승객을 위한 실내 공간을 형성하는 캐빈(cabin)의 크기가 가장 높은 비중을 가지게 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에 따라 차체에서 실내공간을 이루는 캐빈의 비례는 차체의 다른 부분의 비례와 함께 변화되고 있다. 캐빈 이외의 공간은 차량을 구성하는 기구적 요소들을 위한 공간과 화물 수송 목적의 공간이다. 캐빈의 비례가 변화된다는 것은 종합적으로 탑승자의 공간 비중과 기구적 요소의 비례 관계가 변화됨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것은 결과적으로 차체에서의 공간개념의 변화를 초래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하여 현재의 차량은 과거의 차량에서 단순한 외형적 스타일만이 변화되는 것이 아니라, 공간 확보를 위한 차체의 구조와 형태가 차량의 운전공간과 탑승공간의 확보를 위해 변화되고 있으며, 이것은 향후의 차체 스타일에서 새로운 변화로써 나타나게될 것으로 보인다.

  • PDF

위성영상을 활용한 지하철건설 전후의 공간환경변화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spatial change for the subway construction using satellite image)

  • 한기봉;강인준;김나영;최현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7년도 GIS 공동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43-348
    • /
    • 2007
  • 위성영상은 항공사진과 더불어 지표면의 변화를 신속하고 주기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장점뿐만 아니라 위성영상에 포함된 분광정보는 시간에 따른 지표면의 변화를 면밀하게 관찰이 가능하다. 이러한 장점들을 이용하여 현재 도시의 중추적인 교통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는 지하철 구간주변을 대상으로 시간에 따른 공간변화를 알아보았다. 지하철 건설전후의 구간을 대상으로 Landsat TM영상을 이용하여 토지이용변화 정도를, SPOT Panchromatic 영상을 이용하여 주거 및 상업지구의 변화정도를 위성영상을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부산에서 발간한 토지건축물 대장, 교통유발금부과대장을 통해 영상에서 나타난 건물들이 어떤 용도의 건물인지를 파악하고 부산교통공사에서 발간한 일반현황자료를 통하여 지하철이용의 현황과 이용행태를 주변 공간변화와 더불어 분석해보았다.

  • PDF

대학도서관 공간변화에 대한 사서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Librarians' Perceptions towards the Changes in University Library Space)

  • 장윤금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361-377
    • /
    • 2015
  •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공간변화에 대한 사서들의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대학도서관의 전문사서가 평가하는 대학도서관 리노베이션 혹은 신축으로 인한 공간변화의 효과성 및 효율성 그리고 향후 개선 방향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아울러 현재 리노베이션 혹은 신축이 진행되고 있는 대학도서관의 사서들과 면대면 혹은 전화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도서관 공간변화는 크게 이용자의 요구를 반영한 다양한 공간 마련, 최신 IT시설 확충 그리고 보존 공간 확보의 세 가지 목적으로 이루어 진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도서관 목적에 부합하는 실질적 기능과 활용성을 고려한 공간변화와 대학의 특성을 고려한 독창적인 공간변화 그리고 이러한 공간변화에 보다 주도적이고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사서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이 제기되었다.

여주(驪州)의 토지이용, 생활공간, 생활실태의 변화

  • 손용택
    • 대한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리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1-61
    • /
    • 2004
  • 본 연구는 수도권 농촌지역인 여주 지역의 토지이용 변화, 생활공간 변화, 생활실태의 변화 등을 살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생활공간의 사례를 살펴 지역성을 규명코자 농촌성격이 강한 지목(예; 전, 답, 임야)과 도시적 성격이 강한 지목(대지, 공장용지, 도로용지 등)의 필지변화와 면적변화를 중심으로 토지이용의 변화를 살폈고, 지형도를 통해 과거의 마을에 비해 변해버린 생활ㆍ공간을 추적하였다. 설문지 조사를 통해 주민생활의 실태를 살폈다. (중략)

  • PDF

부산광역시 외국인의 공간변화 그리고 산업종사자와 관계, 2000~2015년 (Foreigner's Spatial Change and Relationality to Industrial Workers in Busan Metropolitan City, 2000~2015 Year)

  • 박규택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50-36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2000~2015년 동안 부산광역시 16개 구에 거주하는 외국인의 공간변화 그리고 산업종사자와 관계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술적 추론적 통계 방법이 사용되었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0~2015년 동안 총외국인이 거주하는 공간변화는 국적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국적별 혹은 성별 외국인의 공간변화는 총외국인의 경우보다 복잡하다. 구별 외국인의 공간변화는 어떠한 기간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의미가 있거나 그렇지 않다. 셋째, 16개 구에 속한 외국인과 산업종사자 간의 관계는 국적과 성별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연구 방법은 다른 도시 혹은 지역 사례에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연구 결과의 축적은 한국 도시 혹은 지역에 거주하는 외국인의 공간변화 양상을 조망하고, 이와 관련된 사회 경제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