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배분

Search Result 134,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MULTI-STAGE AND MULTI-OBJECTIVE ALLICATION PROCEDURES OF URBAN PARKS USING LOCATION DECISION SUPPORT SYSTEMS (공간의사결정보조체계를 이용한 다단계 및 다목적 도시 공원 배분에 관한 연구)

  • 이외희;더글라스존스톤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24 no.1
    • /
    • pp.79-96
    • /
    • 1996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의사결정보조체계를 도시 시설중의 하나인 공원배분계획에 이용하여 현재 이용되고 있는 공원 배분 계획의 결점을 보완하는데 있다. 두 가지 요소 즉 이용자 행태 및 효율성과 형평성을 고려한 정책이 공원 배분계획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효율성과 형평성을 중심으로 공원배분계획을 살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지리정보체계를 이용한 공간의사결정보조체계가 이용되었는데, 이는 많은 양의 데이터나 계산을 물론 가중치, 계획 기준 등 변수를 변화시켜 봄으로서 여러 가지 대안을 쉽게 평가할 수 있어 공원배분계획에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도시 공원을 위한 GIS 응용 공간의사결정보조체계의 유용성은 원형 연구를 통해 살펴 보았다. 원형은 여러 가지 유형중 도시 근린공원을 이용하여 도시 지역을 모사한 것이다. 원형연구에서 UPLDSS의 모델들이 다단계 및 다목적 계획을 잘 수행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즉, UPLDSS는 계획가가 계획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 다른 시나리오를 만들어 그에 따른 대안을 구축하고 평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것을 특히 계획가가 여러 가지 대안 중 어느 대안이 우수한지 쉽게 평가하기 어려울 때 계획가의 의사결정에 도움을 준다. 그리고 본 연구는 다른 위계의 공원 계획에도 이용될 수 있음은물론 다른 도시 시설물의 배치에도 이용될 수 있다.

  • PDF

The Effects of Confined Rates Side Wall of Pen for Evacuation Behaviors of Pigs (돈방 측벽마감율이 돼지의 배분 특성에 미치는 영향)

  • 송준익;최홍림
    • Journal of Animal Environmental Science
    • /
    • v.7 no.3
    • /
    • pp.147-154
    • /
    • 2001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environmental influences upon the behavioral pattern of pigs. The resting areas of an enclosed growing-finishing pig house were checked in two seasonal ventilation systems, and the excretion habit of pigs influenced by the different closing rates (50, 75 and 100%) of side walls of pens was surveyed. 1. The excretion habit of pigs was not influenced by temperature, humidity and the flow speed of running air as they excreted in a fixed area of the side walls. However, the lighting effects on the excretion habit was observed because pigs excreted in the darkest area of the pig pen. 2. The accumulated height and width of feces showed 10 and 30 cm; 5 and 25cm; and 3 and 20cm for 50, 75 and 100% of closing rates of side walls, respectively. It indicates that pigs excrete all over the floor in the pen with 100% closed side walls. 3. Ammonia concentrations of the resting areas on the pen floor were determined to 4.2, 5.1 and $5.8mg/{\ell}$ for 50, 75 and 100% of closing rates of side walls, respectively. It indicates that the ammonia concentration was highest in the pen with 100% closed side walls. Thus, the high ammonia concentration of the resting areas could be reduced by illuminating the darker areas with relation to the excretion habit. 4. The flow speed of running air was likely the biggest factor influencing the resting areas of pigs; pigs took a rest at the place of 0.04 m/s air flow speed point during midwinter, and at the place of 0.24 m/s air flow speed point during midsummer.

  • PDF

Reserch on Optimal Water Allocation Methodology for Real Time Water Management System (실시간 물관리 시스템을 위한 최적 물배분 방식에 대한 연구)

  • Lee, Jin-Hee;Lee, Dong-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493-497
    • /
    • 2007
  • 한정된 수자원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수질 및 환경문제가 대두되면서 수자원 계획 및 관리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수자원 계획 및 관리는 물리적으로 복잡해진 수자원 시스템 뿐만 아니라 사회적, 제도적 시스템을 반영할 필요성이 생겼으며 수자원 계획 및 관리자들의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효율적인 여러 대안들의 평가나 수자원 관리(운영)가 필수적이다. 효율적인 수자원 계획 및 관리에 있어서 물배분은 매우 중요하며 이를 통해 급증하는 용수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합리적인 수자원 관리(운영)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물관리 시스템을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물배분 방식에 대한 연구로서 최적 물 배분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연구의 목적은 시간적, 공간적 물부족량을 파악할 수 있는 모형을 바탕으로 현존하는 물배분 방식 즉, 선점주의(Prior Appropriation), 연안주의(Riparian), 공공 물배분, 경제적 물배분 등을 물배분 방식을 검토하고 수자원 관리자가 현업에서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최적 물배분 방식을 제시하는 것이다.

  • PDF

Acquisition of Watershed-based Pollution Source Information using Spatial Distributed Geo-Information (분포형 공간정보를 이용한 유역단위 오염원정보 구축)

  • Bae, Myoung-Soon;Ha, Sung-Ry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9 no.4
    • /
    • pp.215-223
    • /
    • 2006
  • The Total Maximum Daily Load(TMDL) Act just implemented as a new tool of watershed based water quality management, in Korea. Thus, there are a number of pending questions to resolve for successful settlement of the TMDL. The allocation of pollution source is a exceedingly sensitive issue on local development planning. The simple area-based allocation (SAA) is conventional method to allocate the administrational pollution information to watershed based information. The SAA has a limitation that it can'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distribution of pollution source and it has caused more uncertainty of TMDL.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duce the uncertainty of watershed-based pollution information using the spatial distribution-based allocation(SDA). In the specific area where pollution source is concentrated such as urbanized region, it has been certified that SDA could reduce a tolerance of pollution information dramatically. As a result of study, SDA is expected a effective tool for TMDL and to solve the conflict between development and protection.

  • PDF

A Study on the Area compostion and the Spatial Allocation planning of the Women's Hospital in korea (국내 여성 전문병원의 면적구성과 공간배분계획에 관한 연구)

  • Ju, Jin-Hye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 /
    • v.16 no.4
    • /
    • pp.15-24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guideline of the archite-ctural planning and design of the women's hospital for optimizing the area compostion and spatial allcoation.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functional spatial composition based on the area composition and spatial allocation of the 4 departments space in women's hospital through a analysis of 9 cases study. Data collecting skills such as drawing documents analysis, field survey and observation were used to examine of the present facility condition. Hence this research is to grasp the present condition of department of the women's hospital, to inquire the area composition and spatial allocation. Finally, The derived important factors are expected to use as the basic data at the time of planning for the space programing of design women's hospital.

Estimation of Support Working Expenses for Dam Area using GIS Spatial Analysis (GIS 공간분석을 이용한 댐 주변지역 지원사업비 산정)

  • Hwang, Eui-Ho;Lee, Geun-Sang;Chae, Hyuo-Suck;Koh, Deuk-K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8 no.4
    • /
    • pp.24-32
    • /
    • 2005
  • Budget distribution system suporting dam area was changed largely in 2005, and thus, population survey and area calculation for dam and needed to be performed based upon the new criteria. According to the former regulations, dam area was confined to inside of 5km from the H.W.L-line. However, new regulations divide it into two categories : inside and outside of catchment area within 2km from the H. W. L-line and those belong to 2~5km from the same line. In this study, topography, DEM, TIN and Hydrological Unit Map were build for the analysis of the Namgang Dam area. It shows that analysis of dam area using GIS methods produces a good results to be used for rational distribution of budget.

  • PDF

An Application of GIS Technique to Analyze the Sales Area of Petroleum Products Distribution Facilities (GIS를 활용한 석유제품 유통기관의 판매권역 분석)

  • Kim, Mi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9 no.3
    • /
    • pp.360-373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stablishing how to build the area of local agents and regional offices in the oil company using GIS technique by reviewing on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and characteristics of the sales area of oil products. Location-allocation and spatial interaction model are cooperated in order to establish sales area of petroleum products distribution system. Location-allocation model is used in the capital region where local agents are concentrated on like Kyoung-gi local agent. Spatial interaction model is used in the rest of the area in Korea to analyze the sales range of the regional offices in oil company. Each office made a big difference in registered cars and population because of the level of petroleum consumption in each sales area.

Water Balance Analysis using Hydro-informatics (수문정보를 이용한 유량배분 분석)

  • Bae, Myoung-Soon;Ha, Sung-Ryong;Park, Jung-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62-167
    • /
    • 2007
  • 수질오염총량관리제에서 단위유역 할당부하량은 지자체의 개발용량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 하류 지역간의 첨예한 관심거리가 되고 있다. 총량관리제는 기준유량과 목표수질에 대한 기준배출부하량의 달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기준유량 및 목표수질의 설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합리적인 수질모델링을 필요로 하는데, 유량배분은 모델링 과정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지역의 기준배출부하량을 결정하는 결정적인 요소 중의 하나이다. 기존의 유량배분은 대부분 관측지점을 기준으로 한 단순한 면적비 유량배분기법(SAWA; simple area-based water-balance analysis)에 의존해왔다. 그러나 SAWA는 특정유역의 토지피복, 토양, 지형경사 및 강우분포 등의 수문학적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즉, 동일한 면적의 유역이라도 이러한 수문 특성인자에 따라 유출되는 유량이 달라지는 현상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곧 지역의 기준배출부하량의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역간 분쟁의 소지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유량배분 방법인 SAWA가 가지는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강우분포 및 토지피복의 수문학적 특성을 이용한 유량배분기법(HIWA; hydro-infomatical water-balance analysis)의 개발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강우분포와 토지피복이 하천유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공간정보화 한 후 지형정보체계(GIS)의 수문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유량을 배분하였다 ARC/INFO의 KRIGING 보간법을 이용하여 구축한 등강우분포도와 토지피복에 따른 유출특성을 분석하여 강우유출 해석을 위한 가중지형정보를 생성하였다. 연구는 2003년 10월-2004년 3월의 미호천수계 및 수질오염총량관리단위유역 말단지점의 실측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연구결과 기존의 SAWA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HIWA가 유량배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