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단위설정문제

Search Result 30,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Tile-based Access Control Method for the Security of Spatial Database (공간 데이터베이스의 보안을 위한 타일 단위의 접근 제어 기법)

  • 강동재;오영환;김재홍;배해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18-20
    • /
    • 2000
  •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권한이 없는 사용자의 접근, 고의적인 파괴 혹은 우발적인 사고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공간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보안정책의 수용이 필요하다. 보안등급의 적용 단위는 필드, 객체, 레이어 단위의 방법이 있으며, 객체 단위의 보안등급 적용은 인접한 객체의 위상관계에 의한 정보 유출의 문제점이 있고, 레이어 단위 보안등급의 적용은 공간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타일 단위의 접근제어 기법을 제안한다. 타일 단위 접근제어 기법은 보안등급 적용 단위를 타일(Tile)로 하며 레이어, 지도의 보안등급은 하위 수준인 타일과 레이어에 부여된 보안등급의 최하위 등급으로 각각 설정한다. 제안한 기법의 구현을 위해 타일의 구조와 스키마를 정의하고, 보안 유지를 위한 연산 제약사항을 기술한다. 연산 제약 사항은 기본적으로 BLP의 속성을 따르고, 상위 등급 객체에 대한 수정 방지와 하위 등급 객체에 대한 수정 허용을 위해서 BLP 속성을 확정한다. 제안된 기법은 레이어 단위의 접근제어 기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을 향상시키며 인접한 객체 사이의 위상관계에 의한 정보의 유출을 방지한다.

  • PDF

A Study on Reconstructing of Local Administrative Districts Using Spatial Analysis and Modeling (공간분석 및 모델링을 이용한 지방행정구역 재설정에 관한 연구)

  • Kim, Kam-Young;Lee, Gun-Hak;Shin, Jung-Yeop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6 no.6
    • /
    • pp.673-688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optimization model for reconstructing local administrative districts using spatial analysis and modeling. For this, literature related to reorganization of local administrative systems was critically reviewed and criteria for redistricting were extracted. An optimization model for reconstructing administrative districts was formulated based on these criteria. The model considered three criteria; homogeneity within a reconstructed district, equity among reconstructed districts, and spatial arrangement. Homogeneity for relieving spatial mismatch between administrative and living(economic) boundaries is measured by spatial interaction within a district. Equity among districts is evaluated using population, area, and financial independence. Finally, spatial arrangement is measured by compactness and contiguity. The developed optimization model was implemented using Automated Zoning Procedure(AZP) in GIS environment and applied to a problem aggregating Si-Gun administrative units into broader districts. Application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model can provide optimal districts according to alternative objective functions.

  • PDF

A Review on Improvements of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nalysis Methods : Focusing on Sea Level Rise Disasters (도시 기후변화 재해취약성분석 방법의 개선방안 검토 : 해수면상승 재해를 중심으로)

  • Kim, Ji-Sook;Kim, Ho-Yong;Lee, Sung-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7 no.1
    • /
    • pp.50-60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and improvements of the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nalysis methods to build a safe city from disasters. For this, an empirical analysis on sea level rise disasters was performed focusing on Heaundae-gu in Busan. For the analysis, Census output areas and Dongs were set as analysis unit and their disaster vulnerability was analyzed. Improvements were reviewed through the comparison and review of analysis process and results. According to analysis results,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MAUP) which gives different results according to aggregate unit occurs. Improvements were induced by analysis process, and it was found that in spatial unit setting stage that becomes the base of analysis, analysis unit adjustment, score computation method adjustment, and clearer analysis method for each disaster type would be needed. In analysis execution stage, it was thought that weighting according to variables, diversification of variables, and exclusion of subjective analysis selection method would be needed. It is expected that accurate the total disaster vulnerability analysis will be the base for the improvement of efficiency in urban resilience responding to future weather changes.

The Location Identification Scheme for the Road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도로관리정보체계를 위한 도로위치판별방법 설정)

  • Kim, Kwang-Shik;Lee, Kyoo-Seock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 no.2 s.2
    • /
    • pp.195-206
    • /
    • 1993
  • As the first step in developing the urban information system it is very important to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street, and the feature of objects on it Also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concerned. In order to manage these information efficiently, the road information should be well organized and standardized for digital data. Because the road is the base place under which most urban utilities are buried. However, the present real situation is that even if we have unique numbers authorized by law for some parts of the road it is too ambiguous to figure out the spatial location of the specific area because the assigned area is so large and incoher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road location identication scheme, to apply this scheme at Kangnam-ku Seoul, and finally to propose the guideline in developing the road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in Korea. The road identification scheme develop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road is defined as a fixed factor, and was given the identification number which repressents the funtion, relationship, and direction of the road without the road section and absolute coordinates. (2) The parcel identification nutter was given to each route to understand it possible to understand the location of the road itself and surroundings. (3) To update the md information using the scheme developed in this study relative coordinate method(Dynamic Segmentation) based on the road centerline was applied.

  • PDF

A Study on the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of Longevity Population and the Scale Effect of the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MAUP) (장수 인구의 분포 패턴에 관한 탐색적 공간 데이터 분석과 수정 가능한 공간단위 문제(MAUP)의 Scale Effect에 관한 연구)

  • Choi, Don-Jeong;Suh, Yong-Cheo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6 no.3
    • /
    • pp.40-53
    • /
    • 2013
  • Most of the existing domestic studies to identify the distribution of longevity population and influencing factors oriented confirmatory approach. Furthermore, most of the studies in this research topic simply have used their own definition of spatial unit of analysis or employed arbitrary spatial units of analysis according to data availability. These research approaches can not sufficiently reflect the spatial characteristic of longevity phenomenon and exposed to the Modifiable Aerial Unit Problem(MAUP). This research performed the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ESDA) to identify the spatial autocorrelation of the distribution of longevity population and investigated whether the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in the aspect of scale effect using spatial population data in Korea. We used Si_Gun_Gu and Eup_Myeon_Dong as two different spatial units of regional longevity indicators measured. Then, we applied Getis-Ord Gi* to investigate the existence of spatial hot spots and cold spots. The results from our analysis show that there exist statistically significant spatial autocorrelation and spatial hot spots and cold spots of regional longevity at both Si_Gun_Gu and Eup_Myeon_Dong levels.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does exist in the studies of spatial patterns of longevity population distribution. The demand for longevity researches would be increased inevitably. In addition, there were apparent differences for the global spatial autocorrelation and local spatial cluster which calculated different spatial units such as Si_Gun_Gu and Eup_Myeon_Dong and this can be seen as scale effect of MAUP. The findings from our analysis show that any study in this topic can mislead results when the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and spatial autocorrelation are not explicitly considered.

Construction of Ontology for River GeoSpatial Information (하천공간정보의 온톨로지 구축방안 연구)

  • Shin, Hyung Jin;Shin, Seung Hee;Hwang, Eui Ho;Chae, Hyo S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27-627
    • /
    • 2015
  • 기존 물관련 시스템들은 독자적인 DB 구조를 가지고 있고 검색 서비스는 자체 시스템의 DB를 직접 접근하여 사용자에게 결과를 제시하는 형식이다. 이러한 서비스의 단점은 사용자가 개별 시스템의 서비스에 대한 지식이 없으면 접근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개별 시스템의 개별 서비스의 개념을 벗어나기 위하여 물관련 시스템에 있는 하천공간자료 검색 정보를 카탈로그 서버에 등록하고, 카탈로그 서버에 등록된 검색정보를 사용자가 검색하는 방식을 적용하고자 한다. 카탈로그 서버에 자료에 대한 정보를 등록할 때 자료의 정보를 어떻게 기술할 것인가의 문제가 발생한다. 개별 서버마다 등록하게 된다면 용어 및 문화에 의한 차이로 같은 개념을 다른 용어로 등록하게 되는 혼란이 발생할 소지가 있다. 예를 들어 강우자료에 대하여 "강우", "Precipitation", "Railfall", "비" 등으로 등록할 소지가 있다. 이러면 실제 자료가 존재하는 데도 등록 방법에 따라 자료의 검색이 어려워진다. 이러한 상황을 제어하기 위하여 검사어휘(Controlled Vocabulary)를 도입한다. 이는 포털의 운영자가 미리 용어의 개념과 용어의 분류체계를 설정하고 등록 자료의 검색어를 미리 설정하여 자료의 원천 소유자가 자료를 등록 시 검사어휘를 참고하여 등록하거나 또는 등록되지 않는 용어의 자료인 경우 이 용어를 포탈에 신규로 등록한다. 검색용어의 난립을 피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신규등록은 포탈의 운영자가 어느 정도 제어할 필요가 있다. 검사어휘의 정립과 하천 관련된 분류체계는 하천공간정보 검색의 포탈을 위한 필수사항이다. 검사어휘의 정립의 주된 목적은 이질성의 극복이다. 이질성의 종류는 문법적 이질성, 데이터 형식과 구조 및 문맥적 이질성이 있다. 이 중에서 문맥적 이질성이 가장 넓고 어려운 문제이다. 단위는 분야마다 호칭이 다르고 채택하는 기준마다 다르다. 유사어는 전문용어라도 분야마다 다르다. 우리나라에서 서비스 인코딩시 국어와 영어를 어떻게 처리할 지에 대한 대책도 필요하다. 수문학의 시계열 자료를 다루는 CUAHSI/HIS의 온톨로지는 대 개념으로 물리학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인 분야로 분류하고 있다. 하천공간정보의 온톨로지 구축을 위해 데이터 분석 및 분류, 온톨로지 요소 설정, 온톨로지 데이터 테이블 작성, 클래스 생성 및 계층화, 클래스 계층화에 따른 속성 설정, 클래스에 적합한 개체 삽입, 논리 관계 확인 및 수정과 같은 과정으로 온톨로지 개발을 진행하고자 한다.

  • PDF

Land Value Analysis Using Space Syntax and GWR (공간구문론 및 지리적 가중회귀 기법을 이용한 지가분석)

  • Kim, Hye-Young;Jun, Chul-Mi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5 no.2
    • /
    • pp.35-45
    • /
    • 2012
  • Existing studies on land values tend to show the use of simple euclidean distances as the accessibility variable and OLS as the analysis method. However, applying such euclidean distance-based accessibility to dense CBD areas has limitations in the incorporating the characteristics of network structure whereas using OLS, the typical method for non-spatial data, tends to exclude spatial effects of spatial data. In this study, we analyzed land values focusing on the revised accessibility variables and the analytical technique that can include spatial effects. First, we adopted space syntax theory in order to consider not simple shortest distances along the streets but distances based on street network structure. Second, we compared OLS with GWR that includes spatial effects. Third, we used different size grid-cells for the spatial units considering MAUP theory and applied them to Gangnam-gu area. Each cell was analyzed for overall influence of independent variables using OLS, and coefficients were presented by GWR which enables local analysis and visualization. As a result, we found that suggested accessibility variables have a meaningful effects for land value analyses, and we were able to verify that GWR produces improved results compared to OLS. Also, we observed that the resulting values vary depending on the sizes of spatial units.

A View Interpolation Method for Multi-view Video of Large Disparity (변위 범위가 큰 다시점 비디오에 적합한 영상보간법)

  • Lee, Cheon;Oh, Kwan-Jung;Ho, Yo-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6.11a
    • /
    • pp.55-58
    • /
    • 2006
  • 차세대 방송서비스 개발의 일환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는 다시점 비디오 부호화(multi-view video coding, MVC) 방식은 인접한 여러 대의 카메라로 동시에 획득한 영상을 효과적으로 압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때, 중간시전 영상을 생성하여 부호화하는 과정의 참조영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다시점 비디오 특성에 맞는 영상보간 방법이 필요하다. 기존에 제안되었던 영상보간법은 변위의 검색범위를 초기에 설정하여 블록정합을 이용하여 화소 단위로 변위를 측정하기 때문에 카메라 사이의 거리가 크거나 객체의 움직임이 커서 변위의 변동이 심한 영상에서는 안정적인 화질의 영상을 얻기 어렵다. 또한, 고정된 크기의 블록을 이용하여 전체 변위를 측정하므로 객체의 변위차가 큰 영역에서 변위 오류가 많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여 보다 개선된 화질의 중간시점 영상을 얻기 위한 새로운 영상보간법을 제안한다. 영역분할을 이용한 초기의 변위측정 과정에서, 처음부터 최대 변위의 범위를 설정하는 대신에 블록 단위로 대략적인 변위륵 측정한 후에, 가변 블록을 이용하여 보다 세밀한 변위를 측정한다. 이 방법은 변위차가 큰 객체의 경계 부분에서 보다 정확하게 변위를 측정 할 수 있으므로, 화소 단위로 변위를 측정할 때 이전에 추한 변위 정보를 바탕으로 각 화소별로 검색 범위를 설정한다. 적응적으로 설정된 검색 범위를 이용하여 화소 단위의 변위를 측정하면 보다 개선된 변위를 얻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변위측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변위의 오류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각 단계별로 미디언 필터를 이용하여 변위 오류를 수정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기존의 영상보간 방법보다 화질이 약 $1{\sim}4dB$ 정도 개선되었다.필, 투명도 등을 위성원격탐사 자료와 GIS를 이용하여 공간분석을 실시하고, 공간분포도를 작성함으로써 대상해역의 해양환경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결과, 분석된 위성자료가 현장조사에 의한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영상자료분석을 통한 표층수온 추출은 대기 중의 수증기와 에어로졸에 의한 계산치의 오차가 반영되기 때문에 실측치 보다 낮게 평가 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이에 대한 검증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현지관측에 비해 막대한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위성영상해석방법을 이용한 방법은 해양수질파악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GIS를 이용하여 다양하고 복잡한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가시화하고, 이를 기초로 공간분석을 실시함으로써 환경요소별 공간분포에 대한 파악을 통해 수치모형실험을 이용한 각종 환경영향의 평가 및 예측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염총량관리 기본계획 시 구축된 모형 매개변수를 바탕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일차오차분석을 이용하여 수리매개변수와 수질매개변수의 수질항목별 상대적 기여도를 파악해 본 결과, 수리매개변수는 DO, BOD, 유기질소, 유기인 모든 항목에 일정 정도의 상대적 기여도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수질 모형의 적용 시 수리 매개변수 또한 수질 매개변수의 추정 시와 같이 보다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추정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주식투자기간은 24개월이하의 중단기가 적합함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행태적 측면과 투자성과측면의 실증결과를 통하여 한국주식시장에 있어서 시장수익률을 평균적으로 초과할 수 있는 거래전략은

  • PDF

A Study on the Spatial Units Adequacy for the Regional Pricing of Electricity: Based on Electricity Self-sufficiency Rates by Si·Gun·Gu (지역별 차등 전기요금제 적용을 위한 공간 단위 검토: 시·군·구별 전력 자급률을 기준으로)

  • Chung Sup Lee;Kang-Won Lee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6 no.2
    • /
    • pp.96-109
    • /
    • 2023
  • Recently, there has been a lot of discussion about the regional pricing of electricity and electricity self-sufficiency. In Korea, power generation facilities are highly ubiquitous and there is an imbalance between electricity production and consumption regions. So it is proposed to charge different price by region, instead of the current nationwide uniform price, and the regional electricity self-sufficiency rate is proposed as a criterion for identifying electricity production and consumption regions. However, many discussions set the spatial unit for measuring electricity self-sufficiency by 17 Si·Do, which needs to be analyzed for its appropriatenes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lectricity self-sufficiency rate using 17 provinces and 229 Si·Gun·Gu as the spatial uni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are 7 and 10 electricity producing and consuming regions at Si·Do level, but 38 and 191 at Si·Gun·Gu level. In addition, although the electricity self-sufficiency rate measurement has the advantage of identifying electricity production and consumption areas in a simple and intuitive way, we points out that it has some problems with the criteria for regional pricing of electricity.

An Explorator Spatial Analysis of Shigellosis (세균성 이질의 탐색적 공간분석)

  • 박기호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4 no.5
    • /
    • pp.473-491
    • /
    • 1999
  • 세균성 이질은 국내 제1종 법정 전염병으로 분류되어 관리되고 있는 질환으로서 1998년 이후 그 발병 사례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1999년 3월 부산시 사상구에서 집단 발병한 세균성 이질을 대상으로 하여, 각 환자들의 발병 시점과 장소의 분포패턴에 대한 지리학적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환자분포의 특징적 공간패턴과 그들의 시계열적 확산 양상 등을 탐색하기 위한 방법론은 보건지리학과 지도학 및 공간통계학에 기반을 둔 공간분석기법을 중심으로 설정하였다. 분석자료는 해당 지역의 수치지형도, 지적도, 인구 센서스 자료를 포함한 GIS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었다. 인구분포를 감안한 밀도구분도를 바탕으로 개별환자의 위치자료와 동 단위로 집계된 자료를 자료의 형태에 따라 분석기법을 달리하였으며, 환자 발생 밀도, 상대적 위험지수 등을 지도화하여 역학자료의 시각적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환자분포의 공간적 중심위치와 분산의 변화 등 기술적 통계분석과 함께 제1차 공간속성을 커널추정법으로 찾아보았다. 이와 더불어 ‘공간적 의존성’과 관련된 제2차 공간속성은 K-함수와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하여 군집성 등이 통계적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역학조사시 GIS의 활용사례가 제시되었으며, 모집단 인구를 고려한 확률지도 작성 기법과 다양한 데이터 가시화 방법, 그리고 시계열별 발생 환자들의 지리적 변이를 분석 하는데 따르는 문제들이 논의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