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구성방식

Search Result 686, Processing Time 0.057 second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ubic Panorama Virtual Reality (정육면체 파노라마 가상현실 설계 및 구현)

  • 이종찬;김응곤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05d
    • /
    • pp.721-725
    • /
    • 2002
  • 가상현실 기술에는 공간상에 가상현실을 구현하기 위한 파노라마 기술과 사물의 가상현실을 구현하기 위한 오브젝트 기술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현재까지의 기술 중 오브젝트 가상현실에 대하여서는 관찰자가 오브젝트론 상, 하, 좌, 우로 회전, 이동시키면서 확대, 축소 가능한 상태로 볼 수 있는 입체적인 접근 방법을 제공하지만, 파노라마 가상현실의 표현에 있어서는 제작 방식의 제한된 상황으로 천장과 바닥의 표현이 왜곡되거나 표현되지 못하는 단점을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파노라마의 기본적 개념과 파노라마 가상현실 제작과정을 통하여 상하 표현의 제한되는 단점을 파악하고, 상하의 표현을 근본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정육면체 타입의 새로운 데이터 형식을 제안하여 파노라마 가상현실 공간을 구성하도록 한다.

  • PDF

A Study on Analyzing Solution Spaces of Open-ended Tasks in Elementary Mathematics (초등 수학 개방형 과제의 해법 공간 분석 연구)

  • Kim, NamGyun;Kim, Su Ji;Song, Dong Hyun;Oh, Min Young;Lee, Hyun Jung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25 no.1
    • /
    • pp.81-100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framework for analyzing the solution spaces of open-ended task and to explore their usefulness and applicability based on the analysis of solution spaces constructed by students. Based on literature reviews and previous studies, researchers developed a framework for analyzing solution spaces (OMR-framework) organized into subspaces of outcome spaces, method spaces, representation spaces which could be used in structurally analyzing students' solutions of open-ended tasks. In our research, we developed open-ended tasks which had various outcomes and methods that could be solved by using the concepts of factors and multiples and assigned the tasks to 181 elementary school fifth and sixth grader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udent's solution spaces by applying the OMR-framework, it was possible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factors and multiples and their approach to reversible and constructive thinking. In addition to formal mathematical representations, various informal representations constructed by students were also analyzed. It was revealed that each space(outcome, method, and representation) had a unique set of characteristics, but were closely inter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process.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method of analyzing solution spaces of open-ended tasks of this study are useful for systemizing and analyzing the solution spaces and are applicable to the analysis of the solutions of open-ended tasks.

A MultiUser Internet Game (멀티 유저 인터넷 게임)

  • 김형민;김규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376-378
    • /
    • 2000
  • 멀티유저 인터넷 게임이란 서로 다른 장소에 있는 사람들과 인터넷이라는 가상의 공간에 모여서 하나의 게임을 즐기는 것을 말한다. 멀티유저 인터넷 게임은 현재 가장 각광받고 있으며 발전 가능성이 무한하다. 하지만 이 멀티유저 인터넷 게임을 위한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구축이 만만하지는 않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유저 인터넷 카드게임을 구현한다. 현재 발표되어 있는 여러 가지 멀티유저 인터넷 게임 서버들의 구조와 문제점들을 분석한다. 그리고 여러 가지 멀티유저 인터넷 카드게임 서버 설계의 표준이 될 수 잇는 메시지 전달 방식, 메시지의 구성 방법 등을 제시한다. 최종적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식으로 멀티유저 인터넷 카드게임을 구현할 것이다.

  • PDF

A Cell Loading Algorithm for Realtime Navigation in the Web-Based Virtual Space (웹기반 가상공간에서 실시간 네비게이션을 위한 셀 로딩 알고리즘)

  • Lee, Ki-Dong;Ha, Ju-Han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1B no.3
    • /
    • pp.337-344
    • /
    • 2004
  • Most of the virtual space constructed sufficiently realistic need a lot of memory space to navigate smoothly. And this kind of virtual space also requires real-time responsibility for the navigation as well as realism. In the off-line virtual system, real-time responsibility can be resolved by using large scale if secondary memory. In the web-based online virtual system, on the other hand, real-time responsibility is highly related to the latency time of network data communication. This induces the necessity of the algorithm for fast data loading. In this paper, we propose and verify the validity of the two methodology for cell leading algorith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mputer simulation, the algorithm using hexagonal type cell promotes the real-time responsibility over 30% than that of the rectangular type.

Subspace Method Based Preceding for Spatial Multiplexing with Limited Feedback (제한된 피드백 정보를 사용하는 공간 다중화를 위한 부 공간 방식 기반 Precoding 기법)

  • Mun Cheol;Seo Jeong-Tae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0 no.10A
    • /
    • pp.906-911
    • /
    • 2005
  • In this paper, for spatial multiplexing with limited feedback, we propose subspace method based preceding in which the active bases are selected at the receiver from a finite number of basis sets Down at both receiving and transmitting ends, conveyed to the transmitter using limited feedback, and assembled into a preceding matrix at the transmitter. The selected bases are conveyed to the transmitter using feedback information on both the index of the selected basis set, which defines the most appropriate set of coordinates for describing a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channel, and the principal bases maximizing the capacity in the selected basis set. We show that the proposed subspace method based preceding provides a capacity similar to that of the closed-loop MIMO even with limited feedback.

Subspace Method Based Precoding for MIMO Spatial Multiplexing (공간 다중화를 위한 부 공간 방식 Precoding 기법)

  • Mun Cheol;Jung Chang-Kyoo;Park DongHee;Kwak Yoonsi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9 no.6
    • /
    • pp.1161-1166
    • /
    • 2005
  • In this paper, for spatial multiplexing with limited feedback, we propose subspace based precoding in which the active bases are selected at the receiver from a finite number of basis sets known at both receiving and transmitting ends, conveyed to the transmitter using limited feedback, and assembled into a preceding matrix at the transmitter. The selected bases are conveyed to the transmitter using feedback information on both the index of a basis set, which indicates the most appropriate set of coordinates for describing a MIMO channel, and the active bases having the significant amounts of energy in the selected basis set. We show that the proposed subspace based precoding provides capacity similar to that of the closed-loop MIMO even with limited feedback.

A development of CO2 emission estimation model based on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street networks, building capacity and building usages (도로부문 이산화탄소 배출량 추정 모델의 개발: 도로망, 건물규모, 건물용도의 공간배치를 중심으로)

  • Kim, Young-Ook;Kim, Kyoung-Yong;Park, Hoon-Ta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6
    • /
    • pp.3879-3887
    • /
    • 2014
  • This paper presents a model to estimate the amount of $CO_2$ emitted by cars in cities. Based on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street networks, building masses and usages, it first develops a deductive model to combine them in a way to account for $CO_2$ emission amount by cars. It then proceed to validate model behaviours through a series of simulations on some ideal urban settings and finally calibrate it following its real application to the five case study cities in Korea. In contrast to the conventional 'top-down' approaches, we expect our model to have high utilities, particularly in the field of urban planning and design, where we cannot but deal directly with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urban components and microscopic human activities.

Development of a Cross-sectional River Data Management System based on Standardized River GeoSpatial Data Model (하천공간정보 표준 자료모형 기반의 하천단면자료 관리기술 개발 연구)

  • You, Ho Jun;Kim, D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07-107
    • /
    • 2017
  • 최근 과학 기술의 발달과 정보화로 인해 다양한 분야의 방대한 정보들이 디지털화되어 저장되고, 이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술에 대한 수요가 증대하고 있다. 특히, 수자원 분야에서도 지점 관측 형태의 직접 계측방식이 아닌 선, 면 형태의 간접 계측방식의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짧은 시간 동안 많은 수의 양질의 자료를 취득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과거에 비해 방대하고 연속적인 하천공간정보가 축척되었으며, 이를 저장하고 관리하고자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하천공간정보 중 하천단면자료는 하천기본계획수립 시 핵심이 되는 자료중 하나일 뿐만 아니라 하천의 흐름 특성을 해석하기 위한 여러 물리 모형의 입력 자료로서, 하천의 물이 흐르는 하도공간을 흐름방향의 횡방향으로 절단하였을 때 생기는 면을 기록한 자료이다. 국가에서는 하천단면자료 계측을 위해 많은 예산을 투입하고 있으며, 실제로 많은 수의 하천에서 하천단면자료를 계측하고 있다. 하지만 계측된 하천단면자료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도하는 응용프로그램용 파일(CAD)로 저장되어, 하천단면자료를 지속적으로 저장 관리 모니터링하기에는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하천단면자료를 지속적으로 저장 관리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을 목적으로 현재 개발 중인 하천공간정보 표준 자료모형과 하천공간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표준자료 전송 언어인 RiverML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입한 하천공간정보 표준 자료모형은 하천망을 기반으로 한 상호연계를 기본으로 하고 있어, 하천망을 구성하는 각 하천과 해당 하천의 단면자료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쉬우며, RiverML은 이와 유사하게 하천망을 기반으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기 쉬운 전송언어이다. 또한 국가에서 개발한 공간정보 오픈 플랫폼인 브이월드(Vworld)의 API를 활용하여 저장된 하천단면자료를 표출할 수 있게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하천단면자료 저장 관리 모니터링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개발을 통해 하천에서 계측되는 공간정보뿐만 아니라 하천의 시설물, 생태환경, 문화 등의 하천공간정보과 연계하여 효율적인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the Preference for the Way of Composing the Unit Plan for Apartment Houses by Lifestyle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공동주택 단위평면 공간구성방식에 관한 선호도 조사.연구)

  • Jun, Su-Young;Park, Seung-Hwan;Kim, Sung-Hwa;Choi, Moo-Hyuck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17 no.5
    • /
    • pp.147-157
    • /
    • 2006
  • A study on Composing Unit Spaces of Apartment Houses according to the Differentiation in Lifestyle by survey on prefere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composition models of unit spaces for 85m2 net area apartment houses by lifestyle types. This study set up a hypothesis that there is a critical divergence of preferences in composition types of unit spaces according to lifestyle. To prove the hypothesis, investigation on variable floor plans of apartments to extract spatial composition types of units and questionnaire survey on lifestyleand preferences for composition types were implemented. To extract several factors regarding, characteristics of lifestyle, factor analysis, was implemented for each variable.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to cluster interviewees by similarity of lifestyle. To identify and define how each factor reacts, ANOVA and cross tabulation analysis between factors and clusters were used. The type of spatial composition was analyzed by plane characteristic, spatial relation and spatial usability on the basis of apartment plate type. As a result, lifestyle was divided into three types: reasonable lifestyle, trend-seeking lifestyle and conservative lifestyle.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for the type of spati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lifestyle, preferred types and main districts were different. Therefore, the hypothesis was proved.

GIS를 이용한 철도 연변 낙석, 산사태 정보시스템 개발

  • 이사로;송원경;박종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Conference
    • /
    • 2001.03a
    • /
    • pp.221-230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하여 철도 연변 낙석, 산사태 관련 공간정보를 검색 및 출력 등 관리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철도 노선 중 낙석 및 산사태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경춘선, 영동선, 중앙선, 태백선, 정선선의 2.5km 혹은 5km 반경 지역에 대해 철도 관련 정보, 각종 지도 관련 정보, 지형분석 정보, 수문기상 정보, 현장 조사된 낙석 관련 정보 등 각종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구축된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철도 연변 낙석, 산사태 정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정보시스템은 보기환경, 테이블환경, 차트환경, 레이아웃환경, 프로젝트환경 등 5개로 구성되어 있다. 본 정보시스템의 기능은 구축된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입력, 검색, 출력 뿐 아니라 자료 변환, 자료 및 범례 편집, 라벨 생성, 화면 확대, 축소, 지도 작성, 그림 편집, 문자 DB 관리, 차트작성, 도움말 등 다양하다. 본 정보시스템은 ArcView의 스크립트 언어인 Avenue를 이용하여 개발되었고 풀다운 메뉴 및 아이콘 방식을 채택하여 사용자가 사용하기 쉽게 개발되었다. 구축된 공간 데이터베이스와 개발된 정보시스템은 낙석 및 산사태 관리 및 분석을 위한 기본 자료 및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