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골 이식재

Search Result 96,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The effect of enamel matrix derivative (EMD) in combination with deproteinized bovine bone material (DBBM) on the early wound healing of rabbit calvarial defects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와 혼합된 이종골 이식재가 토끼 두개골 결손부 초기 치유에 미치는 영향)

  • Kim, You-Seok;Jang, Hyun-Seon;Park, Ju-Chol;Kim, Heoung-Jung;Lee, Jong-Woo;Kim, Chong-Kwan;Kim, Byung-Ock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5 no.1
    • /
    • pp.199-216
    • /
    • 2005
  • 치주치료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상실된 치주조직의 형태적, 기능적 재건이다. 법랑기칠 단백질 유도체(enamel matrix derivative: EMD)는 치주 병소에 사용시 상피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며 치주인대 및 백악아세포를 활성화시켜 무세포성 백악질 및 치주인대와 골조직의 생성을 유도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법랑기질 단백칠 유도체는 골모세포의 증식 및 분화를 촉진시키며 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 및 mineralized nodule의 형성을 촉진시킨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토끼 두개골 결손부에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와 이종골 이식재를 이식한 후 골밀도를 방사선학적으로 분석하고, 신생골 형성 및 주변 조직 반응을 조직학적으로 관찰, 평가하고자 하였다. 토끼 두개골에 6mm trephine bur(외경 8mm)를 이용하여 경뇌막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하면서 4개의 결손부를 형성하였다. 아무것도 이식하지 않은 군을 음성 대조군으로, 이종골 이식재 ($Bio-Oss^{(R)}$, Geistlich, Wolhusen, Switzerland)을 이식한 군을 양성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 ($Emdogain^{(R)}$, Biora, Inc., Sweden)만 이식한 군과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와 이종골 이식재를 혼합하여 이식한 군을 설험군으로 설정하였다. 각각의 재료를 이식한 후 비흡수성 차폐막 ($Tefgen^{(R)}$, Lifecore Biomedical, Inc., U.S.A.)을 위치시키고 흡수성 봉합사로 일차봉합을 시행하였다. 각 군당 술 후 1, 2, 4주의 치유기간을 설정하였다. 동물을 희생시킨 후 두개골을 절제하여 먼저 방사선학적인 골밀도측정을 시행한 후 10% formalin에 고정한 후 통법에 따라 조직표본을 제작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1. 방사선학적인 평가에서 1, 2, 4주에 대조군과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만 이식한 군과 비교해 이종골 이식재만 이식한 군과 이종골 이식재에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를 이식한 군에서 더 큰 골의 밀도를 보이고 있었다 (P<0.01). 하지만, 동일한 시기에 대조군과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만 이식한 군과의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으며 (P>0.05), 이종골 이식재만 이식한 군과 이종골 이식재에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를 이식한 군의 차이 또한 발견할 수 없었다 (P>0.05). 2. 조직학적인 평가에서 1, 2, 4주에 대조군과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만 이식한 군과 비교해 이종골 이식재만 이식한 군과 이종골 이식재에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를 이식한군에서 골의 형성이 더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만 이식한 군이 대조군보다 2주에서 더 많은 신생골을 볼 수 있었으며, 이종골 이식재에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를 이식한 군이 이종골 이식재만 이식한 군보다 1, 2주에서 더 많은 신생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는 토끼 두개골 결손부 치유단계에서 초기 골 형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골 이식시에 법랑기질 단백질 유도체를 적용하는 것은 유용한 술식으로 사료된다.

Bone reaction to bovine hydroxyapatite grafted in the mandibular defects of beagle dogs. (성견의 하악 골 결손부에 이식한 생체 유래 골 이식재 (OCS-B)에 대한 치조골의 반응)

  • Byun, Yu-Kyung;Park, Jun-Beom;Kim, Tea-Il;Seol, Yang-Jo;Lee, Yong-Moo;Ku, Young;Lee, Hye-Ja;Chung, Chong-Pyoung;Han, Soo-Boo;Rhyu, In-Chul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6 no.1
    • /
    • pp.39-49
    • /
    • 2006
  • 1. 목 적 이 연구의 목적은 성견의 하악 골 결손부에 이식한 생체 유래 골 이식재에 대한 치조골의 반응을 알아보는 것이다. 2. 연구방법 및 재료 생후 1년 이상 된 성견 4마리의 하악 제2소구치 및 제 4 소구치를 발거하고 발치와에 금원심 폭경 8mm, 협설 폭경 5mm, 치조정에서의 깊이 6mm인 결손부를 형성하였다. 4주간의 자연 치유 후 판막을 형성하여 결손부의 크기를 확인하였다. 각각의 결손부 크기가 일정하도록 수정한 후 '이식재+차폐막'군에는 OCS-B을 이식하고 Bio-gide을 차단막으로 사용한 후 봉합하고 '이식재군'은 OCS-B 이식 후 차폐막 없이 봉합하였으며 '비이식'군은 아무런 처치없이 일차봉합하였다. 수술 4, 6주에 실험동물을 각각 희생시켜 실험부위를 적출하고 비탈회 연마 표본을 제작하여 골 치유 양성을 조직학적 및 조직계측학적으로 관찰하였다. 3. 연구결과 이식재 비이식군 및 이식군 모돼서 별다른 부작용없이 잘 치유되었다. 세 실험군 모두에서 술후 4주에 비교하여 술 후 6주에서의 결손부 산생골 형성량이 증가하였다. 술후 4주 소견에서 비이식군은 결손부 주변부위에서 골이 생성되어 나오는 양상을 보였으며 이식군은 이식재 주변으로 골침착 시작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술후 6주 소견에서 비이식군은 결손부 경계부로부터의 지속적인 골 생성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식군은 이식재 주변으로 침착된 골의 양이 많아지고 신생골이 가교를 형성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4. 결 론 차폐막 유무와 상관없이 OCS-B는 염증반응을 전혀 일으키지 않았으며 우수한 골 전도성을 보였다. 또한 결손부의 형태를 잘 유지하여 골재생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는 OCS-B가 골이식재로서의 필요조건을 갖추었음을 확인한 결과이며 보다 장기적인 관찰에서 OCS-B의 흡수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Effects of different sizes of Hydroxyapatite/$\beta$-Tricalcium phosphate particles on vertical bone augmentation (수직골 증대술에서 $\beta$-Tricalciumphosphate/Hydroxyapatite 골 이식재 입자 크기의 영향)

  • Huh, Jung-Bo;Jung, Dong-Hee;Kim, Ji-Sun;Shin, Sang-Wan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48 no.4
    • /
    • pp.259-265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different sizes of $\beta$-TCP/ HA particles on vertical bone augmentation using titanium mesh in the cranium of rabbits. Materials and methods: Six white rabbits weighing 5kg were used. Four circular grooves of 6mm diameter were made by trephine, and five small holes were drilled in the inner surface of each circular gooves. Different sizes of grafts (small 0.3 - 0.5 mm, medium 0.5 - 1.0, large 1.0 - 2.0 mm) were placed respectively in the experimental groups. Titanium mesh (height 3 mm, width 6 mm) was placed. After 8weeks healing period, the rabbits were euthanized, and the specimens were prepared for histological findings. New bone formation and remaining graft area were measured to calculate the ratio of areas occupying the inner space of titanium mesh. Mann-Whitney U-test and Wilcoxon signed rank-test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lpha$ = .05).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s with $\beta$-TCP/HA graft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new bone formation (P = .003). Comparing different sizes of $\beta$-TCP/HA,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erms of new bone formation. The vertical bone formation (i.e. new bone and graft area)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beta$-TCP/HA groups (P = .001). In comparison between different sizes of $\beta$-TCP/HA, medium size group had significantly greater area than large particle size group (P = .039). Conclusion: The use of $\beta$-TCP/HA with titanium mesh showed a higher vertical bone formation, particularly the medium sized $\beta$-TCP/HA particles (0.5 - 1.0 mm) produced better results in vertical bone augmentation.

Evaluation of the Volume Changes of Grafted Bone Materials in Sinus Augmentation Procedure Using Dental Cone-beam CT (치과용 Cone-beam CT를 이용한 상악동 골 이식 후 나타난 골 이식재의 부피 변화평가)

  • Ohn, Byung-Hun;Seon, Hwa-Kyeong;Chee, Young-Deok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 /
    • v.29 no.1
    • /
    • pp.23-36
    • /
    • 2013
  • To evaluate the 3-dimensional features of the grafted bone with maxillary sinus augmentation and to assess the 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bone resorption and the type of bone grafting source and implant, and the operation method.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patients receiving sinus augmentation procedures for implant positioning was conducted: radiographic analysis of the volume and area of bone grafts was performed. The volumetric remodeling.measured at 6 months after implant positioning as the percentage of residual bone graft.was correlated to type of graft materials and operation methods. 53 dental implants positioned with sinus bone graft in 15 patients at Wonkwang University Sanbon Dental Hospital. Computed tomography scans,taken implant positioning after 6 months, showed greater resorption values for the group of $Puros^{(R)}$ graft alone from the group of mixed with $Puros^{(R)}$ and various bone graft (P<0.05, respectively). And resorption values according to operation method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 Volume change ratio of bone graft showed greater values for the group of delayed implant position from the group of simultaneously implant placement with bone graft. Retrospective data analysis shows that the method of graft with $Puros^{(R)}$ alone may occur greater resorption of graft materials than mixed graft material with $Puros^{(R)}$ and other graft materials. The group of simultaneously implant placement with bone graft also display smaller resorption ratio of bone graft than the group of delayed implant placement.

Effect of platelet-rich plasma on bone regeneration in ovariectomized osteoporotic rats (골다공증 유발 쥐에서 혈소판 농축 혈장이 골 재생에 미치는 영향)

  • Cho, Jong-Moon;Kang, Jeong-Kyung;Suh, Kyu-Won;Ryu, Jae-Jun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48 no.1
    • /
    • pp.16-27
    • /
    • 2010
  • Purpose: The aim of this experimental study is to observe the effect of platelet-rich plasma (PRP) on early bone regeneration of rats both in normal condition and in osteoporosis induced by ovariectomy. Material and methods: Total 40 Sprague-Dawley female ra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A 8-mm-diameter calvarial critical-sized defect (CSD) was made by drilling with trephine at the center of calvaria in cranium of every rat. Every CSD was augmented with an osteoconductive synthetic alloplastic substitute ($MBCP^{TM}$) and PRP as follows. Group A; 10 non-ovariectomized rats grafted with only $MBCP^{TM}$. Group B; 10 non-ovariectomized rats grafted with $MBCP^{TM}$ and PRP. Group C; 10 ovariectomized rats grafted with only $MBCP^{TM}$. Group D; 10 ovariectomized rats grafted with $MBCP^{TM}$ and PRP. At 4 weeks after graft, every rat was sacrificed. And histomorphometric analysis was performed by measuring calcified area of new bone formation within the CSD. Results: Comparing four groups,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In non-ovariectomized groups, PRP showed a positive effect somewhat but not significant (P > .05). 2. In ovariectomized groups, PRP showed a positive effect significantly (P < .05). 3. In PRP untreated groups, ovariectomy diminished bone regeneration significantly (P < .05). 4. In PRP treated groups, ovariectomy diminished bone regeneration somewhat but not significant (P > .05). Conclusion: Within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PRP in combination with an osteoconductive synthetic alloplastic substitute has an effect on bone regeneration more significantly in ovariectomized osteoporotic rats than in normal rats.

Histologic findings of three-wall intrabony defects around dental implants using different grafting materials in beagle dogs (수종의 골이식재를 이용한 성견의 임플란트 주위 3면 골내낭의 조직학적 관찰)

  • Moon, Hee-Il;Moon, Sang-Kwon;Shim, Chang-sung;Shim, Jung-Sung;Lee, Yong-Keun;Cho, Kyu-Su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3 no.3
    • /
    • pp.439-455
    • /
    • 2003
  • 연구목적 : SLA surface dental implant 주위의 3면 골내낭에서 xenogeneic demineralized bone matric putty, porous ${\beta}$-tri-calcium phosphate, 새로이 개발된 non-crystalline calcium phosphate glass를 사용한 치료를 조직학적으로 비교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실험동물로는 15개월에서 18개월 사이의 12kg에서 15kg 정도되는 성견을 사용하였다. 20개의 SLA surface implant가 사용되었으며, 성견 하악의 양측에 각각 2개씩 사용되었다. 임플란트 식립전에, 각각의 임플란트 근심면에 straight fissure bur를 이용하여 표준화된 3면 골내앙(근원심 5mm ${\times}$협설 3mm ${\times}$깊이 3mm)을 형성하였다. 형성된 골 결손부에는 demineralized bone matrix putty, porous ${\beta}$-tri-calcium phosphate, non-crystalline calcium phosphate glass를 넣은 것을 각각 실험군으로, 이식재를 넣지 않은 것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8주 후에 실험 동물을 희생시키고 조직학적 관찰을 하였다. 결과 : 조직학적 소견상 임플란트 주위에 급성 염증 소견은 보이지 않았으며, non-crystalline calcium phosphate glass은 매우 적은량의 신생골을, ${\beta}$-TCP을 이용한 골내낭에서는 약간의 기저부에서 유래된 신생골이 관찰된다. ${\beta}$-TCP granules 가운데로 상당량의 측면의 골에서 유래된 신생골 형성이 보인다. xenogeneic DBM putty에서는 많은 량의 신생골이 기저부에 형성된 것을 볼수 있으나 대조군과의 차이는 크지 않다. 이식재의 종류와 상관없이 흡수되지 않은 이식재를 임플란트 주위에서 관찰할 수 있었다. 골내낭 안의 이식재들은 모두 connective tissue로 둘러 싸여 있었다. 모든 실험군에서 이식재에서 기인한 신생골 형성과 임플란트 표면에 신생 골유착의 조직학적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Limb Salvage Operation with Recycled Autogenous Bone Graft (자가골 재이식술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

  • Rhee, Seung-Koo;Kang, Yong-Koo;Suh, Yoo-Joon;Yoo, Jong-Min;Jung, In-Ho
    • The Journal of the Korean bone and joint tumor society
    • /
    • v.10 no.2
    • /
    • pp.96-106
    • /
    • 2004
  • Purpose: To determine the usefulness of limb salvage operation with recycled autogenous bone graft in musculoskeletal malignant tumors.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nine cases, who underwent limb salvage operation with recycled autogenous bone graft for the treatment of musculoskeletal malignant tumor between February 1990 and January 2003, were included. There were 18 males and 11 females and the mean age was 33 years (range, 10 to 65 year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51.8 months (range, 18 to 117 months). The Enneking stage was IIA in 10 cases and IIB in 19 cases. The recycling method of autogenous bone was deep freezing in 6 cases, autoclaving in 11 cases, pasteurization in 7 cases and the composite of autoclaving and vascularized fibular graft in 5 cases. The union of junctional site was evaluated radiologically and the functional results was analyzed by the grading system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Limb Salvages (ISOLS). Results: The mean union time was 7.2 months (range, 3 to 15 months). The union took 5.8 months (range, 4 to 8 months) in deep freezing, 9.7 months (range, 6 to 15 months) in autoclaving, 5.9 months (range, 4 to 8 months) in pasteurization, and 5 months (range, 4 to 8 months) in the composite of autoclaving and vascularized fibular graft. The mean functional evaluation percentage was 76.8% (range, 40 to 90%). It was 65.8% (range, 40 to 85%) in deep freezing, 76.6% (range, 40 to 90%) in autoclaving, 81.6% (range, 70 to 90%) in pasteurization, and 83.4% (range, 75 to 90%) in the composite of autoclaving and vascularized fibular graft. There were 6 cases of complications including 1 case of local recurrence, lung metastasis, infection, fracture, respectively and 2 cases of nonunion. Conclusion: The limb salvage operation with recycled autogenous bone graft is a useful treatment method for the musculoskeletal malignant tumors. Particularly, autoclaving is the most reliable sterilization method. The vascularized fibular graft can compensate decreased osteoinductivity and mechanical strength of recycled bone. So, the composite of autoclaving and vascularized bone graft seems to be a favorable treatment method for high grade malignant musculoskeletal tumors.

  • PDF

Histological Observations on Bone Healing with Bioactive Glass in Horizontal Ridge Augmentation;A Report of Four Cases (수평적 치조제증대술에 사용된 Bioactive glass의 골재생에 관한 조직학적 관찰;증례보고)

  • Park, Jin-Woo;Suh, Jo-You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6 no.3
    • /
    • pp.601-611
    • /
    • 2006
  • 임프란트 식립을 필요로 하는 환자의 수평적 치조제 결손의 증대를 위해 골유도재생술과 병용한 bioactive glass (BG) $(Biogran^{(R)})$ 이식의 골재생 양상을 각기 다른 치유기간을 부여한 4명의 환자에서 평가하였다. 6, 8, 10, 18개월의 치유기간 후 임프란트 식립부위에서 조직절편을 채득하여 골재생을 조직계측학적으로 평가하였다. 임프란트 식립을 위한 surgical reentry시 모든 이식부위는 임상적으로 명확한 수평적 치조제 폭경의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다. 하지만 조직학적 분석결과 BG는 불량한 골전도성을 나타내었다. 6, 8개월의 치유기간후, 이식부위에서 신생골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며(2.5%이하), 이식부와 기존 골의 경계부위에서 BG particle에 대한 신생골 성장과 결합양상 또는 관찰할 수 없었다. 10개월의 치유기간후 기존 골조직으로부터 성장한 신생골의 BG particle과의 직접적인 접촉양상을 일부 관찰할 수 있었다. 이식부는 13.2%의 광물화된 신생골조직을 보였고, 대부분의 BG particle은 결체조직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18개월의 치유기간이 부여된 환자의 조직절편에서 신생골은 이식부의 10.7%를 차지하여 비교적 낮은 신생골 형성양을 나타내었고, 이식부에 존재하는 잔존BG particle은 대부분은 결체조직으로, 일부분에서 광물화된 골조직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6, 8, 10, 18개월에서 잔존 BG particle양은 전체 이식부 면적에 대해서 각기 22.3%, 26.5%, 30.7%, 18.7%로 나타났다. 본 증례보고는 비록 한정적인 4명의 환자에서의 조직계측학적 평가결과이지만, 수평적 치조제 결손의 증대를 위해 골유도재생술과 병용한 bioactive glass이식은 불량한 골전도성으로 인해 효과적인 골재생을 위한 이식재로서는 적절하지 않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