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골 유도성

Search Result 177,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Clinical Report on the Effect of CRS Usage in Degenerative Temporomanibular Joint Disease with Anterior Open Bite Applying Bone Scan (전치부 개교합을 보이는 퇴행성 관절질환에서 골스캔을 이용한 중심위교합장치의 효과 평가에 대한 임상례)

  • 박상배;김병국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3 no.3
    • /
    • pp.289-294
    • /
    • 1998
  • 본 증례는 측두하악관절의 퇘행성 변화를 보이는 환자에서 악교정 수술의 시행 전에 중심위교합장치를 통해 측두하악관절의 안정화를 유도하고, 또한 골스캔을 이용하여 장치의 치료효과를 평가한 임상증례이다. 환자는 24세의 여성으로 5년 전부터 전치부 개교합이 발생되기 시작하였고, 고형식 저작시 좌측 전이부에 간헐적인 통증이 발생한다는 주소로 본원에 내원하였다. 임상검사상 촉진시 양측 관절낭 후방부에 압통을 호소하였으며, 각각 50, 45mm의 최대개구량 및 최대무통성 개구량을 보였다. 좌측 악관절부에서 단순 관절 잡음, 우측 악관절부에서 염발음이 청취되었으며, 저항검사 및 부하 검사에서는 특기할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약 7mm의 전치부 개교합의 소견을 보였으며, 파노라마 사진과 횡두개 방사선 사진 소견상 양측 과두의 크기 및 하악지의 높이가 다소 작은 소견이 관찰되었고 자기공명영상 소견상 양측성 비정복성 관절원판의 전방전위가 관찰되었다. 1997년 10월 27일 첫 번째 골스캔 소견상 양측성 비정복성 관절원판의 전방위가 관찰되엇다. 골스캔의 전방 사진에서 Densitometer를 이용하여 좌, 우측 과두부위와 상악 골부위의 가장 어두운 부분의 흑화도를 측정하였다. 각각 3회씩 구하여 평균을 구하고 좌, 우측 과두 대 상악골의 흑화도의 비율을 계산하였다. 첫번째 골스캔의 평균 흑화도는 우측 과두, 좌측과두, 상악골이 각각 0.88, 0.81, 1.32 였다. 1997년 11월 4일 중심위교합장치를 장착하였고 지속적인 물리치료를 시행하였다. 1997년 12월 10일 두 번째 골 스캔을 평균 흑화도는 우측 과두, 좌측 과두, 상악골이 각각 0.33, 0.37, 088 이었다. 1998년 1월 30일 세 번째 골스캔 소견상 두 번째 골스캔과 비교하여 활성도가 감소된 소견을 보였다. 임상검사시 무통이었다. 1998년 2월 25일 술 전 교정 위해 중심위교합장치의 장작을 중지시켰다. 1998년 6월 5일 네 번째 골스캔 소견상 이전 검사들과 비교시 흡수가 감소된 소견을 보였다. 네 번째 골스캔의 평균 흑화도는 우측 과두, 좌측 과두, 상악골이 각각 0.24, 0.19, 0.85 였다. 현재 지속적인 관찰 중이며 본원 교정과에서 악교정수술 위한 술 전 교장을 시행중이다. 결국 첫 번째 골스캔의 과두 대 상악골의 평균 흑화도의 비율은 우측과 좌측이 각각 0.66, 0.61이었고 두 번째 골스캔에서는 우측과 좌측이 각각 0.37, 0.42였고, 네번째 골스캔에서는 우측과 좌측이 각각 0.28, 0.23 이었다. 각 골스캔의 과두 대 상악골의 평균 흑화도의 비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Standard t-test 와 ANOVA를 시행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첫 번째, 두 번째, 네 번째 골스캔으로 갈수록 좌, 우측 과두 대 상악골의 흑화도의 비율이 유의하게 감소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증례에서는 전치부 개교합이 발생되어 악교정수술이 필요한 환자에게 측두하악관절의 안정화를 위해 중심위교합장치를 사용함으로써 퇴행성 관절질환의 진행을 억제시킬 수 있고, 퇴행성 관절질환의 활성도에 대한 평가시 골스캔이 유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고 사료된다.

  • PDF

Osteogenic Differentiation of Bone Marrow Stem Cells Using Thermo-Sensitive Hydrogels (온도감응성 수화젤을 이용한 골수간엽줄기세포의 골분화 유도)

  • Kim, Sun-Kyung;Hyun, Hoon;Kim, Soon-Hee;Yoon, Sun-Jung;Kim, Moon-Suk;Rhee, John-M.;Khang, Gil-Son;Lee, Hai-Bang
    • Polymer(Korea)
    • /
    • v.30 no.3
    • /
    • pp.196-201
    • /
    • 2006
  • Poly (ethylene glycol)-based diblock and triblock thermo- sensitive polyester copolymers were investigated for application on tissue engineering and injectable biomaterials in drug delivery system due to their nontoxicity, biocompatibility and biodegradability. We synthesized the diblock copolymers consisting of methoxy poly (ethylene glycol) (MPEG) (Mn=750 g/mole) and poly $(\varepsilon-caprolactone)$ (PCL) by ring opening polymerization of $\varepsilon-CL$ with MPEG as an initiator in the presence of HCl $Et_2O$. The effect of diblock copolymers on in vivo osteogenic differentiation of rat bone marrow stromal cells (BMSCS) with and without the presence of osteogenic supplements (dexamethasone) was investigated. Thin sections were cut from paraffin embedded tissues and histological sections were stained by H&E, von Kossa,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osteocalcin. In conclusion, dexamethasone containing thermo- sensitive hydrogel might be improved osteogenic differentiation of BMSCs. We expect the osteoinduction effect to be excellent when it uses stem cell or other osteogenic materials.

다공성 타이타늄 지지체의 생체적합성에 관한 연구

  • Kim, Seung-Eon;Hyeon, Yong-Taek;Yun, Hui-Suk;Heo, Su-Jin;Lee, Si-U;Sin, Jeong-Uk;Kim, Yeong-Gon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9.05a
    • /
    • pp.49.1-49.1
    • /
    • 2009
  • 최근 손상된 생체조직의 재생 또는 대체를 위하여 다공성의 지지체(scaffold)를 이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지지체 재료는 조직 재생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생분해성 고분자, 생흡수성 세라믹스 또는 이들의 복합재료가 사용되고, 조직 대체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금속 또는 세라믹스 재료가 단독으로 사용된다. 현재 경조직 대체를 위한 임플란트 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금속재료 중 대부분이 타이타늄 또는 타이타늄 합금이다. 타이타늄은 비강도, 내식성이 우수하며, 생체 내 환경에서 부동태피막 재생 속도가 빠르고, 섬유상 결체조직 형성 두께가 얇아 생체의료용 소재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다공성 타이타늄은 기존 타이타늄 소재의 장점에 다공체의 구조적인 특성을 부가하여 하중을 받는 골 결손부에 사용될 경우 뼈와의 탄성계수 차이에서 기인하는 응력차폐(stress shielding) 효과를 최소화할 수 있고, 다공체 내부로 골조직 성장을 유도할 수 있어 지지체와 골조직이 일체화되는 골융합 효과의 극대화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공 구조를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고, 3차원적 연결 기공구조를 만들 수 있는 적층조형(layer manufacturing) 기술을 이용하여 3차원 다공성 타이타늄 지지체를 제조하였으며, 이에 대한 세포독성, 조골세포 증식능 등 in vitro 생체적합성을 평가하고, Rat model 을 이용한 in vivo 생체적합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지지체의 골조직 재생 유도성의 증대를 위한 생체활성처리 영향도 분석 평가하였다.

  • PDF

Evaluation of the Bone Defect Regeneration after Implantation with Cuttlebone in Rabbit (토끼에서 오적골 이식 후 골 결손부 재생 평가)

  • Won, Sangcheol;Lee, Joo-Myoung;Park, Hyunjung;Seo, Jongpil;Cheong, Jongtae
    •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
    • v.32 no.5
    • /
    • pp.410-416
    • /
    • 2015
  • Bone grafting is widely used to bridge major bone defects or to promote bone union. In the evaluation of bone defect regeneration, 5 mm-diameter defects were created in rabbit calvaria. Concerning biocompatibility, fibrous capsule thickness of CBHA (hydroxyapatite from cuttlebone) was significantly thinner than that of CB (cuttlebone) and CHA (hydroxyapatite from coral) (p < 0.05) at 2 and 4 weeks after implantation. Concerning 12-week total changes of radiologic gray-level histogram, CBHA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HA (p < 0.05). In the evaluation of bone defect regeneration, bone formation of CHA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B and CBHA (p < 0.05). Based on the clinical and histological results, CBHA would be a safe material for use inside the body and has more effective osteoconduction than CB. It is suggested that CBHA is a valuable bone graft material.

Salicylate Can Enhance Osteogenic Differentiation of Human Periosteum-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Salicylate가 성체줄기세포의 골분화에 미치는 영향)

  • Kim, Bo Gyu;Lee, A ram;Lee, Bo Young;Shim, Sungbo;Moon, Dong kyu;Hwang, Sun-Chul;Byun, June-Ho;Woo, Dong Kyu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8 no.12
    • /
    • pp.1455-1460
    • /
    • 2018
  • Due to a rapidly expanding aging population, the incidence of degenerative bone disease has increased, and efforts to handle the issue using regenerative medicine have become more important. In order to control various bone diseases such as osteoarthritis and osteoporosis, regenerative medicine utilizing adult stem cells has been extensively studied. And it is now clear that the mitochondrial energy metabolism, oxidative phosphorylation, is important for the process of stem cell differentiation. Interestingly, a recent study reported that salicylate promotes mitochondrial biogenesis by regulating the expression of $PGC-1{\alpha}$ in murine cells. However, the possible effects of salicylate on osteogenic differentiation through increased mitochondrial biogenesis in stem cells remain unknown. Thus, here we investigated whether salicylate could influence osteogenic differentiation and mitochondrial biogenesis of periosteum-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POMSCs). We found that salicylate treatments of POMSCs undergoing osteogenic differentiation increased the activity of alkaline phosphatase, a well-known early marker of bone cell differentiation. In addition, we observed that mitochondrial mass was increased by salicylate treatments in POMSCs.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alicylate can enhance osteogenic differentiation and mitochondrial biogenesis in POMSCs. Therefore, the findings in this study suggest that small molecules augmenting mitochondrial function such as salicylate can be a novel modulator for osteogenic differentiation and regenerative medicine.

Effects of Oyster Shell Extract on Papain-induced Osteoarthritis in C57BL/6J Mice (굴 패각 추출물이 Papain으로 유도된 골관절염 C57BL/6J Mice에 미치는 영향)

  • Lee, Se-Young;Kim, Hak-Ju;Han, Ji-S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2 no.8
    • /
    • pp.1183-1189
    • /
    • 2013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oyster shell extract (OSE) on papain-induced osteoarthritis in C57BL/6J mice. Osteoarthritis was induced in mice by a papain injection into the knee joint. The mice were divided into a total of five groups (n=8). The normal group was untreated, whereas the papain group (negative control) was induced with osteoarthritis and treated with water daily. The papain+DS group (positive control) was treated with diclofenac sodium. Papain+OSE groups were treated with OSE concentrations of 100 and 200 mg/kg/bw for 20 days. Proteoglycan content in articular cartilage was analyzed through safranine-O fast green staining and H&E staining. The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cartilage were measured by the Rudolphi score approach. The contents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interleukin (IL)-$1{\beta}$, and IL-6 in plasma were analyzed by the ELISA method. After experiments, body weights of the treated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with the normal group. Cartilage loss and joint instability significantly improved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the OSE-treated group compared with the papain group (P<0.05). Proteoglycan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SE-treated group than the papain group (P<0.05). Osteoarthritis scores of the OSE-treated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e papain group (P<0.05). TNF-${\alpha}$, IL-$1{\beta}$, and IL-6 content in the plasma of the papain+OSE treated group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compared with the papain group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OSE treatment might have anti-arthritic effects on papain-induced osteoarthritis in C57BL/6J mice.

Cirsium japonicum var. maackii Protects Against Osteoarthritic Development by Cartilage Degradation (엉겅퀴의 연골 분해에 의한 골관절염 진행의 억제 효과)

  • Park, Chan Hum;Yang, Chang Yeol;Yang, Siyoung;Yokozawa, Takako;Shin, Yu Su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93-93
    • /
    • 2019
  • 골관절염은 연골 파괴 및 연골 형성의 손상을 초래하는 산화 스트레스 세포사와 관련된 염증성 질환이다. 최근에, 엉겅퀴(Cirsium japonicum var. maackii)는 다양한 염증성 질환에 대하여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그러나, 연골 퇴행 및 골관절염 진행에 대한 엉겅퀴의 역할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골관절염 및 연골 분해 생쥐 모델에서 엉겅퀴의 보호 효과를 조사하였다. 먼저, 엉겅퀴의 활성 성분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건조된 엉겅퀴 지상부의 물 추출물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은 $149.2{\pm}24.1mg\;GAE/g$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27.9{\pm}2.0mg\;NE/g$을 함유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HPLC 분석으로부터 엉겅퀴 지상부 물 추출물의 주요 화합물은 플라보노이드 계열인 cirsimarin과 cirsimaritin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엉겅퀴 추출물은 조직 병리학적 분석에 의해 입증된 내측 반월판의 불안정화에 의해 유도된 골관절염 마우스 모델에서 연골파괴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엉겅퀴 추출물이 골관절염과 연골 파괴를 개선 또는 예방할 수 있는 새로운 식 의약 소재로의 개발 가능성을 제시한다.

  • PDF

Anti-osteoarthritis effect of Boswellia serrata gum resin extract in monosodium iodoacetate-induced osteoarthritic Sprague-Dawley rats (Monosodium iodoacetate 유도 골관절염 동물모델에서 보스웰리아 검레진 추출물의 항골관절염 효과 연구)

  • Jae In Jung;Ryong Kim;Eun Ji Kim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56 no.3
    • /
    • pp.231-246
    • /
    • 2023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steoarthritic effect of the ethanol extract of Boswellia serrata gum resin (FJH-UBS) enriched with keto-β-boswellic acid and 3-O-acetyl-11-keto-β-boswellic aci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Boswellia serrata extract by adding the process of removing oil with hexane, in the monosodium iodoacetate (MIA)-induced osteoarthritis rat model. Methods: Sprague-Dawley (SD) rats were orally administered 0, 40, or 80 mg of FJH-UBS/kg body weight (BW)/day for 5 weeks and injected with MIA intra-articularly into right knee joints on day 15 to induce osteoarthritis. Changes in the knee joint microarchitecture, cartilage degradation,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cytokines, and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in serum and synovia were observed. Results: Oral administration of FJH-UBS (80 mg/kg BW/day) reduced MIA-induced knee swelling and cartilage degradation and increased the expression of type II collagen and aggrecan in articular cartilage. Furthermore, FJH-UBS administration reduced MIA-induced increases in the serum levels of prostaglandin E2, leukotriene B4, interleukin (IL)-1β, IL-6, and MMP-13, and MIA-induced increases in the mRNA expressions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cyclooxygenase-2, 5-lipoxygenase, IL-1β, IL-6, TNF-α, MMP-2, MMP-9, and MMP-13 in the synovia of knee joints.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JH-UBS exerts its anti-osteoarthritic effects by suppressing the expressions of inflammatory cytokines and MMPs and, thus, cartilage degradation. Furthermore, they suggest that FJH-UBS has potential use as a functional food that improves joint and cartilage heal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