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골재원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24초

전국 골재산지 권역별 콘크리트용 골재의 물성 평가 (Evaluation of Aggregates Properties Depending on Producing Sectors and Regions in Korea)

  • 한민철;이준석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499-50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지역별 4개 권역에서 유통되고 있는 골재를 임의로 선정하여 관련 골재 KS의 품질 항목을 기준으로 적합 부적합 여부 및 품질 실태를 확인하고 골재 품질 확보의 필요성에 대한 실증적인 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각 권역의 골재원에 따른 골재의 물성을 평가한 결과 골재가 유통되는 지역 및 골재원의 특성에 따라 골재의 품질은 다소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일부 골재의 품질 수준은 열악하였고, 상당수의 골재가 관련 KS의 기준에 부적합한 비 KS 골재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골재의 유통과정 중 입도나 조립률을 검사하지 않는 골재채취법은 저품질의 불량 골재도 유통할 수 있는 근거가 되기에 기준에 부적합한 골재도 유통이 가능하여, 국내 골재의 품질 실태가 매우 우려스러운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른 각 골재원에 따른 골재의 KS 품질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2019년도 국내 골재 수급 분석 (II) - 시군구단위 분석 - (Analysis of Domestic Aggregate Production of Korea in 2019 (II) - by Local Governments)

  • 홍세선;이진영
    • 자원환경지질
    • /
    • 제54권4호
    • /
    • pp.427-439
    • /
    • 2021
  • 이번 연구에서는 골재채취통계를 기초로 하여 골재의 채취현황을 분석하고, 향후 골재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수급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2019년에는 전국 229개 시군구 중 약 65%인 148개 시군구에서 한 종류 이상의 골재를 개발하였다. 7대 광역시에서는 19개 시군구에서 골재를 개발되었다. 광역시를 제외하면 8개도의 155개 시군 중 83%인 129개 시군에서 골재개발이 이루어져 우리나라의 대부분 시군에서 골재를 개발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모래는 110개 시군구에서, 자갈은 132개 시군구에서 개발되었다. 골재원별로 볼 때 하천골재는 4개 시군구, 육상골재는 42개 시군구, 산림골재는 75개 시군구, 선별파쇄골재는 105개 시군구, 선별세척골재는 15개 시군구에서 개발되었다. 또한 육지원 골재의 채취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시군구는 81개 지역이다. 골재원별로 볼 때 한 종류의 골재만 개발하는 시군구는 71개, 두 종류의 골재를 개발하는 시군구는 55개, 3종류 이상은 22개 시군구이다. 2019년에 골재의 개발이 가장 많은 지역은 울주군이며, 그 다음으로 화성시, 청주시, 포천시, 파주시, 용인시, 김해시, 광주시의 순이다. 100만m3 이상의 골재를 개발한 지역은 41개 시군구로 시군구은 골재채취 시군구의 약 28%이지만 골재개발량은 2019년도 총 개발량의 약 70%를 점유한다. 이는 각 시군의 골재채취가 대형화, 집중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우리나라 골재산업의 현황 (The Current Status of Aggregate Industry in Korea)

  • 오재현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5권4호
    • /
    • pp.80-86
    • /
    • 2016
  • 우리나라 골재산업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골재채취법 및 산지관리법, 골재공급실적과 2016년도 골재원별 공급계획을 그리고 지역별 골재가격 동향을 조사하였다. 골재산업 중에서도 산림골재의 비중이 매년 신장하고 있으며, 산림골재가 골재산업을 주도하고 있다. 한편, 골재산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우리나라 산림골재산업의 대표적 기업으로 매년 200 ~ 300만$m^3$의 품질 높은 골재를 수도권에 공급하고 있는 (주)삼표산업 화성사업소(화성석산)의 골재생산 프로세스를 기술하였다.

파쇄횟수가 순환골재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Material Properties on the Crushing Effect of Recycled Aggregates)

  • 원철;박상준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125-130
    • /
    • 2010
  • 최근 천연골재의 부족현상과 더불어 도심지의 재개발 재건축 사업 등이 진행됨에 따라 발생하는 막대한량의 폐콘크리트는 현재 당면하고 있는 심각한 문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콘크리트의 배합조건 및 골재특성이 콘크리트의 유동 및 강도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목적으로 동일 배합조건의 공시체를 제작하여 6개월간 폭로시킨 후, 파쇄하여 순환 골재로 사용함으로서 원콘크리트에 적용된 콘크리트의 특성이 순환골재의 기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아울러 천연골재와의 혼합비율에 따른 품질개선 효과 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순환골재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방안보다는 양질의 천연골재와 함께 적정비율 혼합하고, 여기에 물-결합재비가 다소 큰 일반강도 범위의 콘크리트에 대상으로 활용하는 것이 유효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骨材로써 廢콘크리트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基本的인 實驗 特性 (Basic Experimental Properties of Concrete using Waste Concrete as Aggregate)

  • 구봉근;나재웅;신재인;박재성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0권1호
    • /
    • pp.16-24
    • /
    • 2001
  • 본 연구는 재생골재를 콘크리트의 구조체로 이용하기 위한 기본적인 공학적 특성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조체의 일부로 사용할 경우 내구성과 인성, 특히 강도에 문제가 발생하므로 혼합 물질간의 최적배합비를 산출할 필요성이 있고, 원콘크리트의 물성과 생산방법에 따라 공학적 특성이 다르므로 원콘크리트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와 생산방법의 차이에 따른 재생골재의 역학특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콘크리트 구조체의 한 구성원으로 사용된 재생골재의 성분을 물리적 ·화학적 방법을 통해 분석한 후, 총 2계열의 콘크리트 공시체를 제작하여 압축강도를 비롯한 여러 실험값을 산출하여 그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재생골재를 사용한 구조체의 해석, 설계 및 시공에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인천광역시 및 인근 지역의 건설용 골재 유통현황 분석 연구 (Study on the Distribution Status of Construction Aggregate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Nearby Areas)

  • 백철승;유병운;김건기;장유정;이진영
    • 자원환경지질
    • /
    • 제57권2호
    • /
    • pp.219-231
    • /
    • 2024
  • 인천광역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레미콘 사업장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골재 운반거리 및 생산형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골재 유통 특성과 현황을 해석하였다. 그 결과 수요지 도달거리가 20km 이내인 인천, 시흥, 부천, 김포, 시흥 지역은 생산과 타지역간 거래가 많은 양방향 유통형태를 가지며 20~50km인 파주, 용인, 양주, 포천 지역은 인천으로만 골재를 공급하는 단방향 유통형태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생산형태별 유통량 조사결과 인천지역에서 유통되는 자갈의 85% 이상이 건설현장에서 배출되는 암석으로 만든 부순골재로 공급망이 많이 편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장기적으로 골재공급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며 적절한 골재 유통시장 형성을 위한 정책적 해결방안이 필요하다.

잔골재 종류가 콘크리트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Type of Fine Aggregate on Concrete Properties)

  • 고경택;류금성;윤기원;한천구;이장화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459-467
    • /
    • 2006
  • 최근 하천골재의 부존량 감소와 건설수요의 증가로 양질의 모래가 고갈되었고, 바닷모래와 같이 자연상태에서 얻을 수 있는 골재도 그 품질이 저급화되면서 골재의 품질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잔골재를 바닷모래에만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는 공급원의 편중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으며, 바닷모래를 대체할 수 있는 골재원을 하루빨리 발굴할 필요가 있다. 한편 국내 건설현장에는 다양한 잔골재가 콘크리트에 사용되고 있으나, 이런 잔골재가 콘크리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체계적으로 검토한 연구가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국내 건설현장에서 비교적 많이 사용되고 있는 잔골재가 콘크리트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할 목적으로 잔골재 종류가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물성 및 경화된 콘크리트의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순모래는 바닷모래 및 강모래와 같은 천연골재에 비해 콘크리트의 유동성과 공기 연행성을 저하시키거나 블리딩을 증가시키고, 특히 입도 입형이 불량한 부순모래를 사용한 경우에는 더욱 콘크리트의 물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W/C 55%, 45%에서 잔골재 종류가 강도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으나, W/C 35%에서 부순모래는 천연골재에 비해 강도를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입도 입형이 불량한 부순모래를 천연골재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특성을 향상시키며, 강도에도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재생콘크리트의 강도발현 및 건조수축 특성연구 (A Study on Strength Development and Drying Shrinkages of Recycled Concrete)

  • 이진용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217-223
    • /
    • 1997
  • 재생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휨강도는 재생골재의 혼입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플라이애쉬를 혼화재로 사용할 때 그 양이 증가할수록 재생콘크리트의 조기 압축강도는 떨어졌다. 골재원에 따른 압축강도는 재생골재의 혼입량이 적을수록, 양생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엿으나, 전반적으로 비슷한 강도변화의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재생콘크리트의 휨강도 발현은 보통 콘크리트와 비슷하나, 휨강도에 대한 압축강도비는 보통 콘크리트에 비하여 낮았다. 재생콘크리트의 건조수축은 재생골재의 혼입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 특히 재령2주와3주사이에 건조수축량이 보통 콘크리트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국내 남부지역의 골재원 변화에 따른 보통콘크리트의 기초 및 강도특성 (Basic and Strength Properties of aggregates from Various locations in sud-Korea)

  • 조만기;송원루;박용준;이홍규;한민철;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5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45-146
    • /
    • 2015
  • When using non KS aggregate muck pile in general, compared to when using KS aggregate, when obtaining an identical slump a high unit quantity of water was confirmed, and when designing the concrete mix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decreased due to an increase in W/B. Therefore because the use of non KS aggregate decreases the liquidity, strength and durability etc. qualities of concrete from an overall performance point of view, there is a need for the used of KS aggregate and when using aggregate that does not adhere to KS standards, it is determined there is a need for appropriate concrete mix design and care.

  • PDF

골재원 및 단위결합재량 변화가 일반강도 콘크리트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at Changes in Aggregate Material and Unit Binder Weight Have on the Material Properties of Regular Strength Concrete)

  • 박용준;김상섭;이명호;조만기;한민철;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5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7-18
    • /
    • 2015
  • In the case of concrete recently manufactured with a concrete mixing truck, although aggregate and cement are used as the main ingredients, from a costs savings perspective, low quality aggregates are processed and used as concrete aggregate. In the case of these low quality aggregates, the unit volume and unit binder weights are increased for manufacturing, and due to this problems such as dry shrinking of the architecture and economic infeasibility have arisen. Therefore by changing the aggregate material and the unit binder weights that are currently being distributed, this research analyzes the influence on concret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