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골유착성 임플랜트

Search Result 27,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osseointegrated implant on stress distribution in different abutment designs and fixture diameters (각종 지대주 및 고정체 종류에 따른 골유착성 임플랜트의 응력 분포에 관한 삼차원 유한요소분석적 연구)

  • Kwon, Ho-Beom;Kim, Chang-Whe;Kim, Yung-Soo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34 no.4
    • /
    • pp.699-721
    • /
    • 1996
  • 브로네마르크가 골유착성 임플랜트를 소개한 이래로, 현재 골유착성 임플랜트에 의한 치료는 안전하고 안정적인 방법으로 여겨지고 있다. 골유착성 임플랜트를 이용한 초기의 치료는 무치악 환자의 저작기능 회복에 중점을 두어 왔다. 그러나 현재는 환자와 시대의 요구에 따라서 심미성이 주요한 관심사가 되었다. 그래서 표준 지대주보다 더 심미적인 지대주 시스템들이 개발되었다. 다양한 직경의 임플랜트 고정체에 관한 임상가들의 요구에 의해 직경 이 큰 고정체가 생산되기 시작했으며, 5mm의 직경을 갖는 고정체가 그 예이다. 골유착성 임플랜트를 사용하여 보철치료를 할 때, 골과 고정체의 계면은 보철물과 지대주에 가해지는 교합력을 인접골에 전달하게 되며, 이것은 계면에 생물학적인 반응을 야기할 수 있다. 임플랜트의 형태는 골흡수와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반응을 일으키지 않도록 고안되어야 하며, 임플랜트 자체가 교합력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골유착성 임플랜트 시스템을 임상에 사용하려고 할 때 이것의 생역학적 분석은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삼차원 유한요소분석적 방법을 사용하여 3.75mm직경을 갖는 고정체에 표준 지대주, 이세티콘 지대주, 마이러스콘 지대주를 연결한 모델과 5mm 직경을 갖는 고정체에 표준 지대주를 연결한 모델에 각각 수직하중, 경사하중, 수평하중을 가했을 때의 응력분포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모든 모델에서 금나사의 경부, 금원주, 지대주에 응력의 집중이 일어났다. 2. 임플랜트 고정체에서는 고정체 상방 2/3, 그리고 지대주와 접촉하는 고정체 상면에서 응력의 집중이 관찰되었다. 3. 골에서는 상부 피질골에 응력의 집중이 관찰되었으며, 해면골에서는 두드러진 응력의 집중을 보인 부위는 없었으나 고정체의 근단부 주위 해면골에서의 응력값이 비교적 높았다. 4. 5mm 직경의 고정체를 사용하지 않은 모델 중에서, 표준 지대주를 사용한 경우가 가장 응력분산에 유리하였으며 마이러스콘 지대주를 사용한 경우가 가장 불리하였다. 5. 3가지 하중 조건하에서 수평하중과 경사하중의 경우가 수직하중의 경우보다 더 높은 응력값이 관찰되었다. 6. 응력값은 골에서보다 임플랜트 내부에서 훨씬 높았다.

  • PDF

Effects of surface treatment on the osseointegration potential of orthodontic mini-implant (분사처리 후 산부식 표면처리된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의 골유착능에 관한 연구)

  • Jeon, Mi-Sun;Kang, Yoon-Goo;Mo, Sung-Seo;Lee, Keun-Bye;Kook, Yoon-Ah;Kim, Seong-Hun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38 no.5
    • /
    • pp.328-336
    • /
    • 200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torque resistance to removal of sandblasted large grit and acid etched (SLA) surface treated orthodontic mini-implants and smooth surface orthodontic mini-implants as well as performing histologic observations. Methods: Two groups of custom screw shaped orthodontic mini-implants (C-implant, 1.8 mm outer diameter $\times$ 9.5 mm length, Cimplant, Seoul, Korea) were designated. 22 SLA treated C-implants (SLA group) and 22 machined surface C-implants (machined group) were placed in the tibia metaphysis of 11 adult New Zealand white rabbits. Following a 6-week healing period, the rabbits were sacrificed. Subsequently, the C-implants were removed under reverse torque rotation with a digital torque measuring device and independent t-test was performed. Selected tissues were prepared for histologic observation. Results: The SLA group presented a higher mean removal torque value (6.286 Ncm) than the machined group (4.491 Ncm)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05). Histologic observation revealed a trend of more new bone formation in contact with the screw surface in the SLA group than the smooth group.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SLA surface treatment can enhance the osseintegration potential for C-orthodontic mini-implants.

3-D FEA of three different single tooth abutments : Cement-retained Vs Screw-retained (3종의 단일치아 수복용 지대주의 삼차원 유한요소법적연구 : 시멘트 유지헝 대 나사 유지형)

  • Lee, Jung-Min;Kim, Yung-Soo;Kim, Chang-Whe;Kim, Yong-Ho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37 no.2
    • /
    • pp.269-288
    • /
    • 1999
  • 현재 골 유착성 임플랜트는 안전하고 유용한 보철 수복 분야의 하나로 자리잡아 가고있다. 과거 완전 무치악 환자에게 있어서 저작 기능의 회복이란 면에 중점을 두었던 경향에서 현재 골유착 임플랜트의 높은 성공률에 의해 부문 무치악, 단일치 수복에 까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심미성과 인접치의 손상을 가하지 않는다는 면에서 단일치 수복에서 골유착 임플랜트 치료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단일치 수복에 있어서 심미성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면서 이런 수복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계통의 임플랜트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중 가장 기본적인 Branemark 계통의 CeraOne 지대주, 최근에 개발된 전부도재 지대주인 CerAdapt 전부주조 지대주인 UCLA 계통등은 높은 성공률을 보이며 많이 사용되고 있다. 임상가들에 의해 나사유지형 보철물이 착탈성이란 관점에서 선호되고 있다. 시멘트유지형 보철물에서는 나사공이 없는 온전한 교합면을 유지한다는 면과 교합력을 받는 면적에 있어서 더 넓은 면을 가진다는 점등 더 많은 장점을 가진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임상가들의 기호에 의해 선택되어지는 나사 유지형과 시멘트 유지형에 있어서 교합력이 야기하는 하중하에서 각각의 응력 분포를 분석할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이 연구는 단일치 수복에 사용되는 CeraOne, CerAdapt UCLA 계통에서 각각의 나사 유지형과 시멘트유지형에서의 응력분포를 삼차원 유한요소법으로 분석하고 상부 구조물에 가해지는 수직하중, 수평 하중, 경사 하중에 의해 야기되는 응력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CeraOne, CerAdapt, UCLA 지대주 모두 시멘트유지형보다 나사유지형에서 응력집중이 컸다. 2. CeraOne 시멘트유지형인 1번 모델에서 응력분산이 유리하였고, UCLA 나사 유지형인 6번 모델에서 가장 불리하였다. 3. 모든 모델에서 고정체 경부에서 가장 큰 응력 집중이 있었고 이것은 UCLA 지대주에서 가장 컸다. 4. 상부 구조물에서 주된 응력의 집중은 교합면에서 일어났다. 5. 골은 상부 피질골, 즉 고정체경부와 만나는 부위에서 가장 큰 응력의 집중이 일어났으며 수평, 경사 하중시 응력집중 양상은 힘을 가한 쪽의 반대쪽 고정체 경부에 응력이 집중되는 양상을 보였다. 6. 전체 모델과 골, 고정체 모두에서 수평 하중과 경사 하중시 보다는 수직 하중시 더 적은 응력값을 보였다.

  • PDF

The Effect of $OPB-K^{(R)}$ on the Osseointegration and Stability of Implant ($OPB-K^{(R)}$가 임플랜트의 골유착 및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Kang, Sung-Jin;Cho, In-Ho;Shin, Soo-Yeon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46 no.1
    • /
    • pp.31-41
    • /
    • 2008
  • Statement of problem: It has been proved that Pleurotus eryngii Quel and Eleutherococcus senticosus have antiinflammatory action and not only stimulates the proliferation and activity of osteoblast but inhibits the generation and activity of osteoclast in vitro. Pleurotus eryngii Quel and Eleutherococcus senticosus are the main component of $OPB-K^{(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OPB-K^{(R)}$ which enhances the healing rate of peri-implant bone and the bone mineral density.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six specially designed implants were installed in the tibia of rats. The group medicated with $OPB-K^{(R)}$ w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at without was the control group. hen the implant stability was measured by $Periotest^{(R)}$. Bone mineral density and histological measurement were conducted at the 2nd, 4th and 6th week $Periotest^{(R)}$ and bone mineral density value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with independent t-test at 95% confidence level(p<0.05).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iotest^{(R)}$. valu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t the 2nd week, however, on the 4th and 6th week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p<0.05). 2.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one mineral dens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t the 2nd and 4th week, however on the 6th week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p<0.05). 3. Histological analysis showed difference in osseointegration on the 4th and 6th week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 From th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the $OPB-K^{(R)}$ medicated group showed statistically better results in bone density and stability than the control group. Clinically it would be better to medicate $OPB-K^{(R)}$ to patients for a long period of time after implantation to get superior results.

The validation of Periotest values for the evaluation of orthodontic mini-implants' stability (즉시 부하 교정용 미니임플랜트의 안정성 평가를 위한 Periotest$^{(R)}$의 유효성)

  • Cha, Jung-Yul;Yu, Hyung-Seog;Hwang, Chung-Ju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40 no.3
    • /
    • pp.167-175
    • /
    • 2010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Periotest values for the prediction of orthodontic mini-implants' stability. Methods: Sixty orthodontic mini-implants (7.0 mm $\times$ $\emptyset1.45$ mm; ACR, Biomaterials Korea, Seoul, Korea) were inserted into the buccal alveolar bone of 5 twelve month-old beagle dogs. Insertion torque (IT) and Periotest values (PTV) were measured at the installation procedure, and removal torque (RT) and PTV were recorded after 12 weeks of orthodontic loading. To correlate PTV with variables, the cortical bone thickness (mm)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within the cortical bone and total bone area were calculated with the help of CT scanning. Results: The BMD and cortical bone thickness in mandibular alveolu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maxilla (p < 0.05). The PTV values ranged from -3.2 to 4.8 for 12 weeks of loading showing clinically stable mini-implants. PTV at inser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IT (-0.51), bone density (-0.48), cortical bone thickness (-0.42) (p < 0.05) in the mandible, but showed no correlation in the maxilla. PTV before removal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RT (-0.66) (p < 0.01) in the mandible. Conclusion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periotest is a useful method for the evaluation of mini-implant stability, but it can only be applied to limited areas with thick cortical and high density bone such as the mandi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