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골반

검색결과 739건 처리시간 0.032초

성별과 나이에 따른 골반 형태 변화와 골반 변위 -방사선영상을 이용한 골반 계측- (Change of Morphologic Pelvis and Deviation According to Gender, Age -Radiological Pelvimetry-)

  • 강영한;김선칠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4권2호
    • /
    • pp.91-96
    • /
    • 2011
  • 정상인의 골반 정면 영상을 계측하여 성별과 나이에 따라 골반의 형태적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나이에 따라 골반의 변위가 발생하는지 남녀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정상인 총 382명(남성 194명, 여성 188명)을 대상으로 골반정면 단순촬영을 시행하여 PACS 영상에서 최대골반너비(MPB), 엉덩뼈너비(SB), 위골반공가로지름(TD), 넙다리뼈머리사이거리(DFH)를 측정하여 골반계측을 시행하였다. 성별에 따른 골반 계측 차이는 평균비교분석, 나이와 계측치의 관계는 상관분석을 하였다. 골반의 변위는 ANOVA test를 시행하였다. 최대골반너비는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남성 엉덩뼈너비의 평균은 97.76 mm이었고, 여성은 102.00 mm으로 여성에서 엉덩뼈너비가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위골반공가로지름의 평균은 남성 138.00 mm, 여성 149.79 mm이었고, 넙다리뼈머리사이거리는 남성 141.94 mm, 여성 150.39 mm로 나타났고, 위골반공가로지름과 넙다리뼈머리사이거리는 여성에서 유의하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나이와 골반계측에서는 넙다리뼈머리 사이거리가 남성(r = -0.280)과 여성(r = -0.207)에서 각각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나이에 따른 골반 변위는 남성 50대에서 변위가 크게 나타났고, 여성은 60대, 70대에서 변위가 크게 나타났다. 엉덩뼈너비와 위골반공가로지름, 넙다리뼈머리사이거리는 남성보다 여성에서 더 크게 나타났고, 골반의 크기가 큰 사람은 최대골반너비와 엉덩뼈너비, 위골반공가로지름, 넙다리뼈머리사이거리도 컸다. 나이가 많을수록 변위가 크게 나타났고, 이는 노화의 과정이라고 판단된다.

골반강 협착증으로 인해 발생한 변비를 가진 고양이에서의 골반강 확장술을 이용한 치료 증례 (Pelvic Symphyseal Distraction Osteotomy for Constipation Management Secondary to Pelvic Stenosis)

  • 오광선;최성진;김남수;김민수;이기창;이해범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27-530
    • /
    • 2014
  • 7살 중성화된 수컷 한국집 고양이가 6개월동안 지속된 변비를 주증으로 본원에 내원하였다. 직장검사에서 골반강의 우측 외측부분의 좁아짐을 보였고, 방사선검사에서는 골반골절의 부정유합으로 인한 골반강의 협착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골반강 직경 비율은 0.68이었다. 직장검사와 방사선검사를 기반으로 골반강 협착으로 인한 변비로 진단하였다. 그래서 골반결합을 절골하여 골반강 확장술을 시행하였고 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장골 절골술도 함께 시행하였다. 확장된 골반강을 유지하기 위하여 골반결합 사이에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를 성형하여 구조물로 삽입하였다. 절골 한 장골은 뼈판과 나사를 이용하여 다시 고정시켜주었다. 방사선 검사에서 술 후 골반강 직경 비율은 0.91로 증가했음을 알 수 있었다. 술 후 처치로는 항생제, 진통소염제, 락툴로오스경구제 투여와 함께 수액요법을 시행하였다. 환자는 골반강 확장술 후 일주일부터 정상적인 배변을 보였고, 그 이후 6개월동안 재발은 없었다. 이 증례를 바탕으로 골반강 확장술은 골반골절의 부정유합으로 인한 골반강 협착에 따라 발생한 변비에서 유용한 치료법으로 사료된다.

골반바닥근 운동방법이 골반바닥근과 몸통근육의 근두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합적 연구 (The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Three Pelvic Floor Muscle Excercise on Thickness of Pelvic Floor Muscle and Abdominal Muscles)

  • 강시은;심재훈;정성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105-11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초음파 영상 분석을 통해 세 가지 골반바닥근 수축 운동이 골반바닥근과 배가로근, 배속빗근, 그리고 배바깥빗근의 두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골반바닥근과 몸통 근육들의 근두께는 초음파 영상 장비를 이용하여 안정시, 전통적 골반바닥근 수축[운동 A]시, 엉덩 모음근과 골반바닥근 동시 수축[운동 B]시, 실시간 초음파 영상장비를 이용한 골반바닥근 수축 유도[운동 C])시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다른 운동들에 비해 운동 C 수행 시 안정 시 보다 가장 크게 골반바닥근의 두께가 감소하였고(p<.05), 배가로근 역시 다른 운동들에 비해 운동 C 수행 시 안정 시 보다 근두께가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p<.05).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수행한 세 가지 골반바닥근 수축 방법들 중에서 실시간 초음파 영상 장비를 이용하여 골반바닥근 수축을 유도하는 운동 C 방법이 골반바닥근 수축을 통한 여성들의 오줌새기를 개선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추천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남성 골반강의 자기공명영상

  • 김보현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3권1호
    • /
    • pp.28-40
    • /
    • 1999
  • MRI는 주로 부인과 질환의 진단에 이용되어 왔으나 뛰어난 연조직 대조도와 다면 영상 능력으로 남성 골반강의 평가에서도 그 활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남성 골반강 MRI는 전립선을 중심으로 발전되어 왔으나 음경과 음낭, 요도 등을 침범한 외상, 종양 등의 질환에 매우 유용하므로 이들 부위에서의 MRI 이용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는 전립선, 음경, 음낭 등의 남성 골반강 장기를 평가하는데 필요한 검사기법, 정상 해부학, 이상 질환의 MRI 소견 등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 PDF

골반교정이 중년 여성의 만성요통과 척추골반지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lvic adjustment on chronic low back pain and spino-pelvic parameters in middle-aged women)

  • 서윤교;김재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347-355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골반 교정이 중년 여성의 만성 요통과 척추 골반 지표들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만성 요통이 있는 중년 여성 38명을 실험군(20명)과 무처치 대조군(18명)에 무선 할당하여 실험군에게는 골반 교정을 주 4회, 8주 간 시술하였다. 시술 전과 8주 후에 요통은 시각적 상사 척도와 Oswestry 요통 장애 지수로 측정하였고, 그 외 요부 유연성, 염증인자인 혈중 C-reactive protein (CRP) 및 척추 골반 지표들을 평가하였다. 처치 8주 후 대조군에 비하여 골반 교정군에서 요통 강도, 요통 장애 지수 및 요부 유연성 모두가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혈중 CRP의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척추 골반 지표들을 분석한 결과 골반 교정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요추전만각, 천골경사 및 골반균형지표는 유의하게 변화된 반면, 골반입사각의 변화가 뚜렷하지 않았다. 따라서 골반 교정은 요통 환자의 통증 경감과 기능 향상에 효과적일 것이며, 척추 골반 정렬의 변화의 결과일 것이다.

자궁근종과 골반염에 동반된 골반내 폐흡충증 1례 (A case of pelvic paragonimiasis combined with myoma uteri and pelvic inflammatory disease)

  • 이연희;박은희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3호
    • /
    • pp.295-297
    • /
    • 1993
  • 폐흡충은 주로 폐장내에 기생하지만 때로는 폐 이외의 다른 장관조직을 침범하기도 한다. 평소 하복부 동통을 호소하던 51세 여자 환자가 부인과적으로 자궁근종과 만성골반염으로 진단되어 전자궁적출술을 시행받았다 수술시 자궁근종이 있었고 골반조직은 만성골반염으로 인하여 자궁 및 자궁부속기와 대망막간에 심한 유착소견을 보였고 굘반 유착부위 대망막 조직생검에서 우연히 폐흡충란을 발견하였다 골반내 이소기생 폐흡충증은 비교적 드문 예로써 수술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본 례의 골반염증은 만성폐홉충증에 의한 것이라고 추정해 볼 수 있어 문헌고찰과 함께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골반환 손상과 동반된 고환 탈구 (Testicular Dislocation Associated with Pelvic Ring Injury)

  • 김범수;이호형;김성태;임현규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6호
    • /
    • pp.540-544
    • /
    • 2020
  • 불안정성 골반환 손상은 고에너지 외상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종종 비뇨기과적인 손상을 동반하기도 한다. 비뇨기과적 손상으로는 방광, 요관, 요도 손상이 흔하다. 고환 탈구는 골반환 손상에 동반될 수 있으나 매우 드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 경우 고환의 탈구로 인한 통증을 환자가 호소하여도 골반환 손상에 의한 통증으로 간과되기가 쉽다. 고환 탈구가 조기에 진단되지 않아 치료가 지연되면 고환 괴사 등과 같은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를 요한다. 본 저자들은 골반환 손상에 동반된 고환 탈구환자를 경험하여 이에 대한 증례보고를 하고자 한다

골반 외상 인터벤션 (Interventional Management for Pelvic Trauma)

  • 황정한;김정호;박수영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4호
    • /
    • pp.835-845
    • /
    • 2023
  • 골반 외상은 대부분 고에너지 손상을 동반하며, 이에 따른 치명률 및 사망률이 높은 편이다. 관련된 출혈은 대부분 골반내 정맥이 손상되거나 해면골이 골절되어 발생하고 혈종에 의해 안정화되지만, 10%-20%에서 동맥 출혈이 동반되며, 골반 용적이 증가된 상태에서 동맥 출혈이 지속된다면 이로 인한 사망률은 36%-54%까지 증가한다. 골반의 해부학적 구조상 다양하고 풍부한 혈관이 분포되어 있고, 골반 외상 환자 대부분이 많은 양의 혈종을 동반하기 때문에, 수술적 치료는 시야 확보의 어려움과 눌림 효과에 따른 지혈효과를 없애 출혈을 더 조장할 수 있어, 1차적으로 인터벤션 치료가 권고되고 있다. 또한 출혈의 위치가 대부분 골절된 부분이기 때문에 CT를 통해 시술 전 출혈 부위를 특정하여 빠른 시간 내에 출혈에 대한 색전술을 시행할 수 있다. 이처럼 올바른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골반 외상 환자에 있어 인터벤션 치료는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해 골반 외상에 대한 올바른 진단 및 인터벤션 치료의 유용성과 고려 사항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개의 고관절 이형성 치료를 위한 변형 3중 골반 절골술의 적용 (Application of a Modified Triple Pelvic Osteotomy for Treatment of Hip Dysplasia in Dogs)

  • 김영삼;임지혜;정창수;변예은;김곡우;영강승호;권오경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28-335
    • /
    • 2005
  • 개의 양측성 고관절 이형성을 치료하기 위해 실시하는 슬로컴의 편측 3중 골반 절골술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변형 3중 골반 절골술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변형 3중 골반 절골술은 양측 장골 절골술과 치골결합 절골술을 동시에 실시하는 방법이다. 변형 3중 골반 절골술을 실시한 36마리와 편측 3중 골반 절골술을 실시한 7마리의 개에 대한 품고, 체중, 수술 시간, 골 유합기간, 복합증 등의 자료를 조사, 기록하였다 임상 증상과 고관절 이형성의 등급, Norberg angle, percentage of femoral head coverage, 골반 직경에 대해 수술 전, 직후, 수술 후 2, 4, 8, 12, 24주에 각각 측정, 기록하였다. 편측 3중 골반 절골술을 실시한 개체의 평균 연령과 체중은 각각 $9.0\pm4.9$개월, $24.8\pm7.5kg$ (n=7)이었다. 수술 후 평균 $3.0\pm1.0$일에 스스로 일어서고 $8.3\pm0.6$일부터는 걸을 수 있었다(n=3). 수술 전과 24주 후의 평균 임상 증상 등급은 각각 $2.2\pm0.42$ (n=6), $3.5\pm0.7$ (n=2)이었다. 평균 수술 시간은 $107.3\pm38.9$분 (n=4)이었다. 변형 3중 골반 절골술을 실시한 개체의 평균 연령과 체중은 각각 $8.7\pm3.0$개월, $26.9\pm7.6kg$ (n=36)이었다. 이중 25마리는 수술 후 평균 $4.9\pm3.7$일부터 스스로 일어날 수 있었고 평균 $7.3\pm4.8$일 후부터 보행이 가능하였다 변형 3중 골반 절골술을 실시한 개체의 수술 전과 24주 후의 평균 임상 증상 등급은 각각 $2.3\pm1.5$ (n=27), $3.2\pm0.7$ (n=9)로 수술 전보다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P<0.01). 평균 수술 시간은 $143\pm42.8$분(n=24)으로 두 번의 편측 3중 골반 절골술보다 단축되었다 변형 3중 골반 절골술을 실시한 개체의 수술 전 방사선학적 평균 고관절 등급은 양측 모두 $3.2\pm0.9$이었고 수술 직후의 좌 우측 평균 고관절 등급은 각각 $2.7\pml.1,\;2.7\pm0.9$ (n=36) 이었다. 수술 직후와 2, 4, 8, 12, 24주 후의 고관절 등급이 수술 전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P<0.01). 수술 후 정기적인 검사 시에 측정한 Norberg angle, percentage of femoral head coverage도 수술 전과 비교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P<0.01). 변형 3중 골반 절골술 직후의 평균 골반직경은 수술 전의 골반직경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1)(n=36) 수술 후 평균 9.3L2.7주에 절골선 유합이 종료되었다(n=21). 반면 편측 3중 골반 절골술을 실시한 경우에는 수술 후 골반경이 수술 전과 비교해 증가하지 않았다. 변형 3중 골반 절골술후에 장액종 형성(1마리), 스크류 변위(4마리), 스크류 부러짐(1마리), 편측성 신경마비(1마리)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변형 3중 골반 절골술은 개의 고관절 이형성의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라 사료된다.

복부-골반 CT검사 시 피폭선량 최적화에 관한 프로토콜 연구 (Research of Protocols for Optimization of Exposure Dose in Abdominopelvic CT -)

  • 홍동희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0권2호
    • /
    • pp.245-251
    • /
    • 2017
  • 복부-골반 CT검사 시 피폭선량을 측정해 보고, 영상 판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복부와 골반의 피폭선량 최적화를 위한 프로토콜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존 임상의 스캔 방식인 120 kVp, AEC(auto exposure control) 기법을 이용한 복부-골반을 1 phase로 스캔을 하였고, 새로 제시한 2 phase 스캔 방식은 1 phase 복부검사와 2 phase 골반검사로 각각 나누어 복부검사는 관전압 120 kVp, AEC, 골반검사는 120 kVp, 100, 150, 200, 250, 300, 350, 400 mA로 고정 관전류 기법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스캔 시 측정된 $CTDI_{VOL}$, DLP 값을 이용해 선량값을 비교하였고, 각 스캔 영상에서 CT 감약계수와 노이즈, SNR의 평균값을 구해 영상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는 2 phase 스캔 시 1 phase 스캔 시보다 $CTDI_{VOL}$ 값은 복부에서 26%, 골반 100~250 mA에서 1.8~59.5% 감소, 300~400 mA에서 12.7~30% 증가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DLP값은 2 phase 스캔 시 1 phase 스캔 시보다 복부에서 약 53%, 골반에서 약 41~81% 감소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SNR은 심장주변에서 2 phase 스캔 시, 골반주변에서는 1 phase 스캔 시, 상복부와 하복부에서 1 phase 스캔 시보다 2 phase 200~250 mA 스캔 시 높게 나타났다. 또한, CT Number와 노이즈는 전반적으로 비슷한 양상을 보였지만, 골반 주변에서 노이즈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2 phase의 골반주변 250 mA 스캔 시 1 phase와 비슷한 노이즈값을 나타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기에 통상적인 1 phase 400 mA보다 골반을 분리시켜 250 mA 스캔 시 화질에 차이 없이 피폭선량 감소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그러므로 잦은 복부-골반 CT를 시행하는 환자 혹은 가임기여성, 소아의 골반은 피폭을 줄이면서 화질차이 없이 검사를 위한 2 phase 검사를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