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골밀도 변화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22초

Streptococcus mutans로부터 분리한 Mutan이 흰쥐의 골결손부 치유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tan Isolated from Streptococcus mutans on the Healing of Bone Defect in Rat)

  • 권현정;김용현;한국일;정의길;한만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98-105
    • /
    • 2015
  • 본 연구는 외과적으로 형성된 흰쥐 하악골 결손부에 S.mutan에서 분리 정제된 mutan을 주사하고, ${\mu}CT$로 촬영하여 골결손부의 치유에 미치는 영향을 3차원 골 미세구조 지표로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흰쥐 치조골에 임계 크기 결손부인 1.5 mm 지름의 원형 결손부를 형성하여 대조군에는 동일량의 saline을 투여하고, 실험군으로 LPS와, mutan을 주사하여 골치유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수술 후 4주에 희생하고 치유 결과를 3차원 미세구조의 형태 계측학적 지표값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실험동물의 체중변화는 총 12회 투여 기간 동안 일정한 증가를 나타냈다. 8회차부터 mutan 처리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 9회차에는 mutan 처리군이 대조군과 LPS 처리군과 비교하여(p<0.05), 10~12회차에는 LPS 처리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체중증가를 나타냈다(p<0.01). Mutan이 생체 내에서 하악의 골치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mu}CT$를 통해 형태계측학적 지표 분석 결과, 대조군에 비해 LPS 처리군에서 뚜렷한 골결손부 치유 지연 및 골흡수 양상을 보였으며, mutan 처리군 은 LPS의 작용보다 미약하지만 골치유를 지연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mu}CT$를 통해 골밀도 분석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여 LPS와 muatn 처리군에서 낮은 골밀도치를 나타냈고, mutan은 LPS 처리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골밀도치를 보였다(p<0.01).

백서 두개골 결손부에서 bone morphogenetic protein-2의 전달체로서 macroporous biphasic calcium phosphate-block의 골재생효과 (The Effect of Recombinant Human Bone Morphogenetic Protein-2/Macroporous Biphasic Calcium Phosphate Block system on Bone Formation in Rat Calvarial Defects)

  • 이용준;정성원;채경준;조규성;김창성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7권sup2호
    • /
    • pp.397-407
    • /
    • 2007
  • 골형성 유도 단백질(bone morphogenetic protein, BMP)은 성장이나, 골형성과정에서 중용한 역할을 한다고 입증되었고 그것의 운반체에 대한 연구가 이뤄져 왔다. 하지만 수직압이 존재하는 곳에서 골증대술에 적용할 수 있을 만큼 강한 공간유지능력이 있는 운반체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았다. Macroporous biphasic calcium phosphate block (MBCP block)은 공간유지능력이 뛰어나며 강한 수직압을 견딜수 있는 골대체물질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MBCP block을 골형성유도 단백질(rhBMP-2)의 운반체로 사용하여 백서 두개골 결손부에 적용하였을 때, 골 형성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36마리의 웅성백서에서 8mm 지름을 갖는 임계크기의 두 개부 결손을 형성하였다. 20마리씩 2개의 군으로 나누어 MBCP block만 이식한 군, MBCP block을 운반체로 사용하여 농도 0.025mg/ml rhBMP-2를 이식한 군으로 나누어 술 후 2주와 8주에 치유결과를 조직학적, 조직계측학적으로 비교 관찰 하였다. 조직계측학적 관찰 결과, rhBMP-2/MBCP block 군에서 MBCP block군에서 보다 2, 8주 모두 골밀도(bone density)가 유의성있게 증가하였다 (P<0.01). 각 군에서도 8주째가 2주째보다 골밀도가 유의성있게 증가하였다(P<0.01). 총조직 형성량 (augmented area)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이 연구 결과, 백서 두개골 결손부에서 MBCP block은 rhBMP의 운반체로 사용하였을 때 신생골 형성에 유의한 효과가 있을뿐 아니라 공간유지능력이 우수해서 수직압이 존재하는 골증대술(bone augmentation)시 rhBMP의 운반체로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정상골밀도이하 중년비만여성환자의 기린다이어트시 골밀도 변화 (Change of Bone Mineral Density after Kirindiet therapy in Middle-Aged Obese Women under Normal Bone Mineral Density)

  • 최영민;심우진;김길수;윤유식;신승우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7-56
    • /
    • 2005
  •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bone mineral density(BMD) after 1 month Kirindiet therapy including very low calory diet(VLCD) in middle-aged obese women$(65>age{\geqq}40,\;BMI{\geqq}25)$ under normal $BMD(T-score{\leqq}0)$. Methods : We examined body weight, body fat, protein mass and BMD of 13 middle-aged obese women who visited to Kirin Oriental Hospital from Sep. 7. 2004 to Oct. 12. 2005 before and after 1 month Kirindiet therapy. Body weight, body fat and protein mass was checked by Inbody 4.0 and BMD was checked by quantitated computed tomography. Wilcoxon signed rank test was used for analyzing changes of body weight, body fat, protein mass and BMD before and after treatment. Results : Alter 1 month treatment body weight(-4.89Kg, -6.74%, p=0.001), body fat(-3.47Kg, p=0.001) and protein mass(-0.97Kg, p=0.006) was significantly reduced. BMD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cases(+4.87mg/cc, +4.16%, p=0.001). Though body weight, body fat and protein mass were significantly reduced, BMD was significantly increased(p<0.01). Conclusions : In this study, we can conclude that after 1 month Kirindiet therapy including VLCD, BMD in middle-aged obese women under normal BMD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spite of reduction of body weight, body fat and protein mass.

  • PDF

이중 에너지 X선 흡수계측법을 이용하여 폐경기간에 따른 골밀도 변화의 상관관계 연구 (Correlations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Changes in Postmenopausal Women Using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 정승훈;이태희;김동우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1권1호
    • /
    • pp.47-51
    • /
    • 2018
  •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osteoporosis management by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BMD) changes after menopause by dividing the T-score of bone mineral density measur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o. Between January 1, 2016 and July 31, 2017, women who visited the medical center of W Medical Center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postmenopausal period was divided into 5 groups, There were 18 patients within 5 years, 44 patients in 6~10 years, 134 patients in 11~15 years, 109 patients in 16~20 years and 21 patients in 21 years or older. And postmenopausal women. Bone mineral density (BMD) of the lumbar spine and femur was measured using a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The lowest value among lumbar spine 1, 2, 3 and 4 and the lowest value among the femoral neck, greater trochanter, total femur, and ward Values were measur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analyzed by using bivariate correlation coefficient method and one - way ANOVA. In 326 patients who underwent BMD, the correlation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and postmenopausal BMD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159, p<.01) with BMD of femur and BMD of lumbar sp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nopausal period and negative (-.208, p<.01) was show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12) between the postmenopausal femur bone density and the mean value of the lumbar spine BMD (p<.000). The relationship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postmenopausal women's postmenopausal status can be estimated by estimating the bone mineral density and using it as a basic data for osteoporosis management.

골다공증 유무와 골다공증 의사진단여부와의 진단 일치율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Diagnostic Agreement between Occurrence of Osteoporosis and Doctor's Diagnosis of Osteoporosis)

  • 김영란;박창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호
    • /
    • pp.281-286
    • /
    • 2019
  • 골다공증 진단 시 대퇴부위와 요추부위에서 골다공증에 대한 진단의 일치율을 파악하여, 측정부위선정과 관련된 오류를 조사하고 올바른 골다공증 진단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 중 제5기 1,2차년도를 사용하여 50세 이상 남성 1,637명, 여자 2,1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요추 및 대퇴부의 골다공증 유무와 골다공증 의사진단여부와의 일치율을 파악하기 위해 kappa test를 사용하였다. 여자는 요추와 대퇴부 모두에서 골다공증 진단의 일치를 보였으며, 요추가 대퇴부보다 진단 일치율이 높았다. 남성은 요추에서만 골다공증 진단의 일치를 보였다. 골밀도는 연령증가에 따라 변화되고 부위에 따라 서로 차이가 있으므로 골밀도 측정시 요추와 대퇴골에서 모두 측정을 해야 하며, 특히 요추를 중심으로 진단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조영증강 $^{18}F$-FDG PET/CT가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법을 이용한 골밀도 및 체성분 측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ntrast-Enhanced $^{18}F$-FDG PET/CT on Measurements of Whole Body Bone Mineral Density and Body Composition by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 김성수;이선도;이남주;신용철;모은희;이춘호
    • 핵의학기술
    • /
    • 제16권2호
    • /
    • pp.7-11
    • /
    • 2012
  • PET/CT에 사용되는 방사성의약품 FDG와 CT 조영제가 DXA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BMC, BMD, TFM, LBM 등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1년 12월부터 2012년 3월까지 본원 PET/CT를 시행한 환자 중 본 연구에 참여를 동의한 환자 총 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은 두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는데 첫 번째 집단은 17명으로 PET/CT 용 방사성의약품인 FDG 정맥 주사 전에 WB DXA를 시행한 다음 FDG 정맥주사 1시간 후 CT 조영제 사용 없이 PET/CT (Non-Contrast Enhancement $^{18}F$-FDG PET/CT)시행 후 즉시 다시 WB DXA를 진행하였다. 두 번째 집단은 총 5명으로 첫 번째 집단과 마찬가지로 FDG 정맥 주사 전 WB DXA를 시행한 다음 FDG 정맥 주사 1시간 후 CT 조영제 사용하여 PET/CT (Contrast Enhancement $^{18}F$-FDG PET/CT)시행 후 즉시 다시 WB DXA 진행하였다. 결과는 PET/CT 전 후 DXA에서 WB-BMC, WB-BMD, TFM 그리고 LBM 등을 측정하였고 각 항목의 변화율을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Non-Contrast Enhancement $^{18}F$-FDG PET/CT 전 후의 골밀도 및 체성분의 변화율은 WB-BMC, +2.4%; WB-BMD, +1.8%; TFM, -6.8%; LBM, +2.2%였고 각 항목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Contrast Enhancement $^{18}F$-FDG PET/CT 전 후의 변화율은 WB-BMC, +13.7%; WB-BMD, +9.3%; TFM, -34.1%; LBM, +13.6%였고 Contrast Enhancement $^{18}F$-FDG PET/CT 전과 후의 골밀도 및 체성분 측정치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Non-Contrast Enhancement $^{18}F$ PET/CT 후에는 DXA 시행은 결과에 영향이 없어 가능할 것이라 생각되어지나 Contrast Enhancement $^{18}F$-FDG PET/CT검사 후에 시행한 DXA 검사의 결과는 신뢰도가 감소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임프란트와 골밀도의 변화에 따른 응력분석 (The Stress Analysi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Implants and Bond Density)

  • 손충렬;백진성;신종연;박종빈;김일규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32-239
    • /
    • 200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imulated effects of axial and off-axial vertical loads at the implant/bone interface and the stress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bone density of a single-unit dental implant in the cylinder and square thread implants by 3D FEA The implants were placed in the mandibular model with 25mm in height, 15mm in width and 20mm in length; then the mandibular bone density was classified into the bone type : I, II III and IV. In addition, the force were applied into 0mm, 2mm, 4mm away from the center of the implants.

  • PDF

폴리칸이 중년 여성의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 12주간의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플라세보 대조 연구 (Effects of Polycan on bone Metabolism in healthy Perimenopausal Women: a 12-week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 김민걸;하기찬;백향임;김선영;김주완;김기영;조형래;채한정;채수완;김달식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97-304
    • /
    • 2011
  • 배경: 골다공증은 골대사의 불균형으로 인해 골 흡수가 골 형성보다 많아져 골밀도가 감소함으로서 발생한다. 골다공증의 이상적인 치료목표는 골형성을 증가시키거나 골소실을 방지하여 골량을 현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 발생되는 골소실을 에방하는 것이 골다공증의 원칙적이고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흑효모 중 $Aureobasidium$ $pullulans$으로부터 유래한 폴리칸(베타-글루칸)이 중년여성의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골대사에 대한 폴리칸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12주간의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플라세보 대조 임상연구를 수행하였다. 총 60명(폴리칸 투여군30명, 플라세보 투여군 30명)의 중년 여성 피험자가 등록되어 이 중 총 58명의 피험자가 최종적으로 12주간의 임상연구를 종료하였다. 결 과: 폴리칸(150 mg/d) 투여 12주 후, 폴리칸 투여군은 요 중 Deoxypyridinoline (DPD) 농도가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P$=0.014). 혈청 중 Osteocalcin(OSC) 농도는 두 군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bone-specific alkaline posphatase (bALP) 와 collagen type 1 cross-linked C-telopeptide (CTx)는 유의적 변화가 보이지 않았다. 폴리칸은 골밀도(BMD)와 혈청 부갑상선 호르몬(iPTH)에 대해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24시간 요 중 Ca 배설량은 폴리칸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28). 또한 폴리칸 투여군에서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HDL-cholesterol) 농도의 증가 경향 및 중성지방(triglyceride)의 유의적인 감소가 보였다. 임상연구 기간 중에 발생한 이상반응은 두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폴리칸이 골대사 및 지질에 대해 일부 개선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골다공증 예방 측면에서 보다 장기적인 임상연구와 피험자 수를 확대하여 골대사 및 지질대사에 대한 폴리칸의 예방적 효과를 규명할 필요가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개에서 발생한 양측성 경골조면 부분 견열골절의 방사선학적 변화 (Radiographic Changes of Bilateral Partial Avulsion Fracture of Tibial Tuberosity in a Dog)

  • 계서연;최미현;이남순;장재영;이혜경;김현욱;윤정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34-137
    • /
    • 2013
  • 4개월 된 수컷 진도 견에서 좌측 후지 파행이 발생하였다. 방사선 검사에서 양측 경골 견인 골단 아래 작은 골편이 관찰되었으나, 견인 골단의 변위는 없었다. 그 후 양측 경골 조면 부위의 골밀도는 방사선 투과성에서 비투과성으로 변화하였다. 좌측 경골은 수술 후 회복되었으나, 우측 경골은 보존적 처치로 자가 치료되었다. 본 환자는 경골조면의 부분 견열골절로 진단되었으며, 이는 개에서 'Osgood-Schlatter disease'로 불려져 왔던 질환이다. 이 증례는 환자의 경골조면 부분 견열골절의 순차적인 방사선학적 영상 변화에 대한 유용한 임상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산삼복합약침과 한약을 병행한 식이요법이 체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후향적 연구 (Effects of Dietary Therapy with Korean Herbal Medicine and Cultivated Wild Ginseng Pharmacopuncture on Change of Body Composition: A Retrospective Study)

  • 이진혁;김선종;임정아;신정민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6-92
    • /
    • 2022
  • 26명의 환자에게 8~12주동안 산삼복합약침과 한약을 병행한 식이요법을 시행하여 체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체성분 검사 결과 체중, BMI, 골격근량, 체지방량, 복부지방률, 내장지방단면적, 체지방률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체중이 감소하면서 골격근량이 감소하긴 하였으나 체지방량 위주의 감소로 골격근의 비율은 오히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태음조위탕을 증례에 맞게 가감하고, 하루 한 시간 혹은 만 보 걷기의 운동지도를 통해 하루 400~800 kal의 초저열량 식이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부작용 중 일시적인 현기증과 무기력감 외에 탈모, 부종, 설사, 월경 이상 등은 관찰되지 않았다. 향후 체성분 변화뿐만 아니라 생화학적 검사나 골밀도 검사를 통한 장기적인 탐색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