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골격구조

Search Result 401,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Orthodontics of mutilated molars (망가진 어금니의 교정(VI))

  • Park, Ui-Ung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37 no.12 s.367
    • /
    • pp.938-942
    • /
    • 1999
  • 교정치료의 진단과 치료계획에서 술자는 반드시 개개 환자의 골격구조(skeletal pattern), 이틀(denture pattern) 및 환경요인(environmental factor)등에 관한 적절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이번 호에는 마지막으로 환경요인에 관하여 간단하게 설명합니다.

  • PDF

The Patterns of Mandibular Movement in Relation to Maxillofacial Skeletal Structure (악안면부 골격구조에 따른 하악 개구운동 양상)

  • Kim, Byung-Gook;Kim, Jae-Hyung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5 no.3
    • /
    • pp.293-303
    • /
    • 2000
  • 앵글씨 분류에 따른 최대개구시 하악의 수직 변위에 대한 차이를 확인하고, 수직 하악운동에 영향을 주는 골격요소를 확인하기 위하여, 측두하악관절 및 저작계 이상에 대한 증상 및 병력이 없으며 발치 및 교정치료의 경험이 없는 광주지역 대학에 재학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앵글씨 구치부 관계에 근거하여 1급군(남:30명, 여:49명), 2급군(남:18명, 여:24명)과 3급군(남:18명, 여:33명)으로 분류하여 총 172명(연령 범주:20-30세)의 학생을 선택하였다. 전남대학교 병원 구강내과에서 사용하는 계측용자를 이용하여 최대 개구시 상하악 중절치 절단면간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대상자들의 진단모형을 만들어 상하악궁 길이와 폭경를 측정하였다. 대상자들에 대한 두부 규격방사선 사진을 촬영, 작도하고 방사선학적 지표를 계측, 비교분석하였다. 앵글씨 분류 1급군, 2급군 그리고 3급군 절치간 최대개구량은 3급군이 가장 컸으며 모든 군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컸다. 구치간 최대개구량은 앵글씨 분류 1급군, 2급군 그리고 3급군에서 각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모든 군에서 남자가 더 컸다. 앵글씨 분류 1급군과 2급군의 하악운동에서 총 하악골 길이, 하악지 길이, 하악 하연부 길이 그리고 상악궁 폭경이 변수로 나타났으며, 상하악궁 길이와는 역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앵글씨 분류 3급군의 하악운동에서 상하악궁 길이와 안면 부길이가 1급군과 2급군과는 다른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으며, 상악궁의 폭경과는 역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앵글씨 분류 각 군에서 하악개구운동은 안면 골격구조의 영향을 받으며, 각 군간에 영향을 주는 안면 골격 요소들은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골격적 요소들은 개구량 개선을 위한 진단과 치료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tudy on Properties of Epoxy Resin Compositions Containing Novolac Derivatives (바이페닐 유도체를 도입한 에폭시 수지 조성물의 특성에 관한 연구)

  • Choi, Su Jung;Kim, Young Chul
    •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 /
    • v.12 no.4
    • /
    • pp.138-143
    • /
    • 2011
  • Recently epoxy resin compositions having backbone of novolac derivatives with biphenylene compounds have been used as materials of eco-freindly EMC (Epoxy Molding Compound), because the cured epoxy resin compositions show the self-extinguishing without flame retardant additives. In this study, epoxy resin compositions were prepared and cured using novolac derivateves with biphenylene. Their propeties - structures of phenol derivatives and reactivity, thermal expansion, modulus, and thermal degradation - were obtained by DSC, DMA, TMA, TGA method. When both epoxy resin and hardenr had the biphenyl novolac structure, epoxy resin compositions showed low thermal expansion, good mechanical property, and combustion retardation.

3D Automatic Skeleton Extraction of Coronary Artery for Interactive Shape Analysis (관상동맥의 인터랙티브 형상 분석을 위한 3차원 골격의 자동 생성)

  • Lee, Jae-Jin;Kim, Jeong-Sik;Choi, Soo-Mi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541-546
    • /
    • 2006
  • 3차원 관상동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혈관의 분기점, 극단점, 혈관의 계층적 구조 관계를 함축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3차원 CT 혈관 조영 영상으로부터 관상동맥의 3차원 골격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먼저, CT혈관 조영술에 의해 획득된 슬라이스 이미지로부터 3차원 조작 및 수술 시뮬레이션 등을 위하여 혈관의 3차원 표면에 대한 메쉬 모델을 생성한다. 생성된 메쉬 모델이 임의로 변형된 후에도 자동으로 골격을 쉽게 추출할 수 있도록 메쉬 모델을 복셀화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렇게 얻어진 복셀 모델로부터 표면복셀을 결정하고 표면 복셀로부터 객체 복셀까지의 유클리드 거리값를 계산하여 유클리드 거리맵(EDM)을 계산한다. 계산된 EDM 으로부터 객체 복셀이 가지게 되는 최대 내접 구를 계산하여 Discrete Medial Surface을 생성하게 되는데 이것은 골격의 후보가 된다. 골격의 후보집합 복셀에 대하여 Dijkstra 최단 경로 결정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골격을 자동으로 추출하게 된다. 이렇게 추출된 3차원 골격은 관상동맥 수술 시뮬레이션 등의 다양한 형상 분석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PDF

미국의 인간공학 프로그램과 한국에서의 적용 방안

  • 정현욱;김유창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235-240
    • /
    • 2000
  • 산업구조의 변화로 인해 작업이 분업화되고, 공장자동화로 인한 단순반복 작업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근골격계질환(WMSD/sub s/)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업종의 근로자에게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근골격계질환은 미국의 경우 전체 산업재해의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고 작업자 보상비용만 한해 총 450~540억 달러를 지출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실태는 근골격계질환의 심각성에 비해 인식부족과 실태조사, 예방대책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근골격계질환을 체계적으로 접근하여 실태를 파악하고, 예방대책을 세우기 위해서는 인간공학 프로그램의 적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미국에서 시행예정인 인간공학 프로그램의 초안을 바탕으로 한국에서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한국에서 적용방안은 미국에서 행해진 시행착오를 줄이면서 한국에서 쉽게 근골격계질환의 실태를 조사하고, 기록을 유지하여 예방대책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중략)

  • PDF

A Study for Animation Using 3D Laser Scanned Body Data (인체 전신 레이저 스캔 데이터를 대상으로 한 인체 애니메이션 연구)

  • Yoon, Geun-Ho;Cho, Chang-Suk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5 no.10
    • /
    • pp.1257-1263
    • /
    • 2012
  • An implementation of animation module using the 3D body data scanned by laser scanner is reported in this paper. Characteristic points of the skeleton in human body were picked up as pivot point for 3D rotation. The body data set wes reconstructed as objects built in hierarchical tree structure, which is based on skeleton model. In order to implement the 3D animation of the laser scanned body data, the vertexes of the objects were connected as skeleton structure and animated to follow dynamic patterns inputted by user.

Vessel skeletonization in X-ray angiogram for coronary artery roadmap generation (관상동맥의 로드맵 형성을 위한 X-ray angiogram 에서의 혈관골격추출)

  • Yun, Hyun-Joo;Song, Soo-Min;Kim, Myou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1661-1664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computer-aided analysis 의 일환으로 X-ray 심혈관 조영도를 이용하여 관상동맥의 구조를 보여주는 방법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관상동맥 폐색증 환자들에게 시술되는 스텐트 삽입 시술이나 관상동맥 우회로 시술을 할 때에는 X-ray 의 조영 영상이 매우 중요한 시술의 기준이 되고 있으며, 조영 영상에서 혈관을 빠르고 정확하게 인식하는 것은 시술의 필수 조건이다. 이러한 시술중의 혈관구조 인식을 돕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심혈관 조영 영상으로부터 관상동맥의 골격을 추출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혈관 구조 추출을 위하여 3 단계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첫번째 단계에서는 조영도에서 잡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동질영역을 블러링할 수 있는 speckle reducing anisotropic diffusion 을 이용한 이미지 필터링을 수행한다. 이 필터링은 영상내 잡음을 제거하고 혈관의 경계선을 강화하여 정확한 영상인식을 가능하게 한다. 두번째 단계에서는 영상 내에서 보여지는 주요 혈관을 분할하는 것이다. 이 영상분할에는 canny edge detection 과 개선된 영역확장법(adaptive region growing)을 동시에 이용하는 복합적 분할기법이 수행된다. 세번째 단계에서는 형태학적 기법(Morphology)을 이용하여 분할결과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 골격화를 수행하여 정확한 혈관 구조를 추출해낸다. 실험을 위해서는 정상인의 관상동맥 영상 뿐 아니라 혈관이 가늘어지는 폐색이 관찰되는 환자의 영상에 대해서도 실험하였다. 또한 논문에서 제시한 알고리즘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실험 결과들은 의료진의 감수를 거쳤다.

  • PDF

선형 신경 회로망을 이용한 영상 Thinning 구현

  • 박병준;이정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0.05a
    • /
    • pp.27-30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선형 이진 신경회로망(Linear Binary Neural Network)을 이용하여 이진 영상으로부터 골격(skeleton)을 추출하는 병렬 구조를 제안하였다. 기존의 골격 추출 알고리즘으로부터 이진함수를 추출하고 이를 MSP Term Grouping Algorithm을 이용하여 학습시켰다. 결과에서는 기존의 역전파(Back-propagation) 학습알고리즘을 사용한 신경회로망보다 더 쉽게 하드웨어로 구현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Skeletal System of the Hermaphroditic Rivulus Rivulus ocellatus marmoratus (Teleostomi: Aplocheilidae) (암수동체성 점박이송아리 Rivulus ocellatus marmoratus (진구아강: 점박이송사리과)의 골격계)

  • 이승휘;박은호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2 no.3
    • /
    • pp.177-210
    • /
    • 1989
  • The complete osteology of the laboratory-reared hermaphroditic rivulus, Rivulus ocellatus marmoratus, was described. The skeletal system of this species consisted of more than 430 unit bones classified into 68 kinds. The osteological characters of this species were basically similar to those of the members of the Atherinomomha. The loss of circumorbitals, ectopterygoids, first pleural ribs and intermuscular bones was, however, noticed as the prominent features of this species. Anatomical and systematic implications of the observations were discus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