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골격구조

Search Result 40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Motion Simplification using Joint Posture Clustering (JPC) (관절 자세 군집화(JPC)를 활용한 모션 단순화 기법)

  • Ahn, Jung-Hyun;Wohn, Kwang-Yun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10 no.2
    • /
    • pp.42-50
    • /
    • 2004
  • 캐릭터 애니메이션 기술의 발달로 가상공간에 애니메이트되는 캐릭터의 수가 점점 증가되고 있으며, 캐릭터 자체 골격구조의 관절 개수와 캐릭터를 덮고 있는 메쉬의 폴리곤 개수도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실시간 가상환경에서 다수의 캐릭터를 전처리 과정 없이 시뮬레이션할 경우 전체 군중시스템 성능의 저하가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모션 다단계(motion level-of-detail) 기법을 제시한다. 모션 단순화 기법은 캐릭터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골격(관절)구조와 캐릭터의 형태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기하(메쉬)구조를 단순화 하는 방법으로 기존 동작과 단순화된 동작의 차이를 최소화 한다. 골격구조 단순화를 위한 JPC(joint posture clustering)방법은 특정 관절의 연속된 모션 시퀀스에서의 유사 자세 집단을 추출하여 하나의 자세로 표현하는 방법으로, 모션의 특성에 따라 동적으로 관절을 단순화하여 관절 시뮬레이션 시간을 줄이는 방법이다. JPC방법은 골격구조가 시간에 따라 동적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골격구조의 계층구조를 재 구축할 시간이 필요하지만, 기존 동작과 유사성을 잃지 않는 단순화된 동작 생성이 가능하다. 유사 자세 집단을 추출하기 위해 전체 모션 시퀀스에서 관절의 프레임간 자세 차이를 수식화하여 테이블 형태로 구성하고 이를 통해 기존 동작의 유사성을 잃지 않으며 관절의 단순화 율을 최대화 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또한, 실시간 군중 환경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시간에 따라 변형되는 캐릭터 메쉬의 단순화 기법을 적용한다. 실험결과 모션 다단계 기법은 실시간 군중환경에서 캐릭터의 수가 많고 복잡한 골격구조와 기하구조로 구성된 관절 궤적의 변화가 심하지 않은 동작에 대해 특히 효율적이다.

  • PDF

Skeleton Tree for Shape-Based Image Retrieval (모양 기반 영상검색을 위한 골격 나무 구조)

  • Park, Jong-Seung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4B no.4
    • /
    • pp.263-272
    • /
    • 2007
  • This paper proposes a skeleton-based hierarchical shape description scheme, called a skeleton tree, for accurate shape-based image retrieval. A skeleton tree represents an object shape as a hierarchical tree where high-level nodes describe parts of coarse trunk regions and low-level nodes describe fine details of boundary regions. Each node refines the shape of its parent node. Most of the noise disturbances are limited to bottom level nodes and the boundary noise is reduced by decreasing weights on the bottom levels. The similarity of two skeleton trees is computed by considering the best match of a skeleton tree to a sub-tree of another skeleton tree. The proposed method uses a hybrid similarity measure by employing both Fourier descriptors and moment invariants in computing the similarity of two skeleton trees. Several experimental results are presented demonstrating the validity of the skeleton tree scheme for the shape description and indexing.

Skeleton Extraction of 3D Coronary Artery for Topological Shape Analysis (3차원 관상동맥의 위상적인 형상분석을 위한 골격 추출)

  • Lee, Jae-Jin;Kim, Jeong-Sik;Choi, Soo-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700-702
    • /
    • 2005
  • 3차원 관상동맥처럼 위상 구조가 중요한 객체의 형상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혈관의 분기점, 극단점, 혈관의 계층적 구조 관계 등의 정보를 함축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골격 추출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3차원 CT 혈관조영술(3D CT Angiography)로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관상동맥의 3차원 골격을 추출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먼저, CT 혈관조영술부터 획득한 슬라이스 이미지로부터 3차원 조작 및 수술 시뮬레이션 등을 위하여 혈관의 3차원 표면에 대한 메쉬 모델을 생성한다. 생성된 메쉬 모델이 임의로 변형된 후에도 자동으로 골격을 쉽게 추출할 수 있도록 메쉬 모델을 복셀화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렇게 얻어진 복셀모델로부터 유클리디언 거리 맵을 구성하여 discrete medial surface (DMS)을 생성하고 최종적으로 골격을 추출하게 된다. 이렇게 추출된 3차원 골격은 관상동맥 수술 시뮬레이션 등에서 다양한 형상 분석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PDF

Synthesis and Their Catalytic Performance on Microporous Materials(CHA, ERI and MTT types) (마이크로다공성재료의 합성과 촉매적성능 (CHA, ERI, and MTT types))

  • Kang, Mi-Sook;Park, Jong-Yul;Um, Myeong-Heon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9 no.2
    • /
    • pp.117-123
    • /
    • 1999
  • This work was focused on the synthesis and their catalytic performance on microporous materials having various pore types and dimensions in structures, such as the SAPO-34 and the SAPO-44 with CHA type, the SAPO-17 with ERI type of three dimensional structures, and the ZSM-23 with MTT type of one dimensional structure. Synthesized materials exhibited various acidities and the selectivities to olefin in methanol conversion. As a result, the order of their acid strength was as follows; SAPO-44>SAPO-34>SAPO-17>ZSM-5. On the other hand, the CHA type materials, such as SAPO-34 and SAPO-44, had high selectivity to light olefins(ethylene or propylene), and ZSM-23 with MTT typ of one dimensional structure showed high selectivity to paraffins over $\textrm{C}_{5}$~. This result is a proof that the structure in material had strong influence on catalytic performance. In addition, a surprising result is that the catalytic selectivity to ethylene enhanced on Ni-corporated materials compared with the non-corporated.

  • PDF

Human Body Modeling Using Skin-Skeleton Binding Technique (스킨-스켈레턴 바인딩 기법을 이용한 인체 모델링)

  • Choi, Hae-Ock;Yoo, Tae-Sun;Jun, Byoung-Min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5 no.7
    • /
    • pp.1873-1882
    • /
    • 1998
  • 사실감있는 인체 모델과 동작제어 기술은 컴퓨터 그래픽스와 가상현실감 및 시뮬레이션등의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인체의 모델링과 이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술은 관절 구조의 인체를 뼈대와 관절 그리고 이를 둘러싸고 있는 피부로 모델링하고 운동학에 기반하여 각 관절을 제어하여 인체의 동작을 생성한다. 본 논문에서는 인체의 모델링을 위한 스킨-스켈레턴 바인딩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인체의 골격구조를 관리하기 위한 일반적인 계층적 다관절체 데이터 구조를 설계하고, 골격 데이터에 피부를 입히기 위한 스킨-tm켈레던 바인딩 알고리즘을 설계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전처리, 세그멘테이션과 바인딩의 세기능 모듈로 구성된다. 바인딩 가능한 요소들의 효율적인 탐색을 위하여 분할해결 방식을 적용한 후보 테이블을 이용하였다. 20개의 관절로 이루어진 인체 골격 데이터와 Inventor 포맷의 인체 피부 데이터로 알고리즘을 실험하였다.

  • PDF

A Hardware Architecture for Retaining the Connectivity in Gray-Scale Image (그레이 레벨 연결성 복원 하드웨어 구조)

  • 김성훈;양영일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3 no.4
    • /
    • pp.23-28
    • /
    • 2002
  • In this paper, we have proposed the hardware architecture which implements the algorithm for retaining the connectivity which prevents the disconnection in the gray-scale image thinning. To extract the skeleton from the image in a real tim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onnectivity of the skeleton in a real time. The proposed architecture finds the connectivity number in the 4-clock period. The architecture consists of three blocks, PS(Parallel to Serial) Converter and Stare Generator and Ridge Checker. The PS Converter changes the 3$\times$3 gray level image to four sets of image pixels. The State Generator examines the connectivity of the central pixel by searching the data from the PS Converter. The Ridge Checker determines whether the central pixel is on the skeleton or not. The proposed architecture finds the connectivity of the central pixel in a 3$\times$3 gray level image in the 4-clocks. The total circuits are verified by the design tools and operate correctly.

  • PDF

Strength and Deformation Characteristic of Two-Phase Mixture Soil (폐기물을 포함한 이종혼합토의 강도·변형특성)

  • Lee, Ki-Ho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2 no.2
    • /
    • pp.33-39
    • /
    • 2001
  • In order to utilize mass of oyster shells for a partial substitute material for reclamation, the shear characteristics of two-phase mixture soil with oyster shells were investigated with $\overline{CU}$ test. From various experiments, it was found that the increase of mixed ratio of oyster shells causes the shear strength of mixed soil. And this phenomenon not only depends on friction due to confining pressure such as pure clay but also is influenced by shaping skeleton of oyster shells. Also, it was discovered that there were many influences by clay-oyster shell mixture from the study of the secant modulus and dilatancy characteristics of mixed soil. In addition, variation of oyster shell skeleton during shearing stage is examined applying modifying coefficient concept.

  • PDF

MD Simulation Study for Preferred Structure of Glycerol Backbone in 1,2-dioleoyl-sn-glycero-3-phosphocholine (DOPC) Molecule According to Solvent Properties (용매 특성에 따른 1,2-dioleoyl-sn-glycero-3-phosphocholine (DOPC) 분자에서 글리세롤 골격 구조에 대한 MD 시뮬레이션 연구)

  • Yang, Ji-yun;Huh, Eugene;Ahn, Ik-sung;Mhin, Byung-jin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65 no.3
    • /
    • pp.179-184
    • /
    • 2021
  • In this study, the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 of 1,2-dioleoyl-sn-glycero-3-phosphocholine (DOPC) single molecule was conducted by changing the solvent properti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the glycerol backbone structure in phospholipids according to the solvent properties. DOPC has three different conformations according to glycerol C1-C2 bond: A(θ3 = trans, θ4 = gauche), B(θ3 = gauche, θ4 = gauche-), C(θ3 = gauche-, θ4 = trans). Changes in the glycerol backbone structure of the DOPC were examined using the solvent's dielectric constant and surface tension constant as variables. As a result, the population of the B structure increased as the dielectric constant increased. The reason is that the solvation energy of the B structure is larger than that of A. In addition, as the surface tension constant increased, the population of the B structure increased because the surface area of B was smaller than that of A.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are expected to be used in the study of phospholipid structure in the future.

Orthodontics of mutilated molars (망가진 어금니의 교정(V))

  • Park, Ui-Ung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37 no.11 s.366
    • /
    • pp.818-822
    • /
    • 1999
  • 지난 호까지 4회에 걸쳐 두부계측 분석으로 악안면 골격구조(skeletal pattern)를 이해하기 위하여 모교정의 진단법인 ODI/APDI/CF에 관하여 소개를 하였습니다. 이번 호에는 이틀(denture pattern)에 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