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곡선형

검색결과 1,310건 처리시간 0.035초

곡선형 지하철 터널환경에서 전파 특성의 측정과 분석 (Measurement and Analysis of Propagation Characteristics in Curved Subway Tunnel Environments)

  • 정회동;박노준;강영진;송문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8A호
    • /
    • pp.950-961
    • /
    • 2004
  • 이 논문에서는 최근 무선 통신 환경으로 증가하고 있는 지하철 터널 환경에서의 전파 특성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측정은 지하철 터널에서 2.45㎓와 5.8㎓의 주파수 대역을 가지고 수행하였다. 측정을 위해 사용된 터널의 길이는 LOS(line of sight: LOS)가 175m이고, NLOS(non line of sight: NLOS)가 270m이다. 지하철 터널은 곡선형이며, 그 단면은 마제형(horseshoe type)이다. 측정 시스템은 협대역 시스템과 광대역 시스템을 이용한다. 협대역 시스템은 경로손실(path loss: PL) 측정을 위해 사용되고 광대역 시스템은 전력지연프로파일(power delay profile: PDP) 측정을 위해 사용된다. 특히, 광대역 시스템은 슬라이딩 코릴레이션 기법을 기반으로 80MHz 칩율과 1023길이의 PN 시퀀스 발생기로 구성하였다. 안테나 빔 형태에 따른 전파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무지향성 안테나와 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하였다. 경로손실은 터널 환경의 순수한 경로손실만을 나타내었다. 지연 프로파일은 평균초과지연(Mean Exess Delay)와 RMS 지연확산(RMS delay spread)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가뭄빈도해석을 통한 가뭄심도-지속시간-생기빈도 곡선의 유도 (Derivation of Drought Severity-Duration-Frequency Curves Using Drought Frequency Analysis)

  • 이주헌;김창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4권11호
    • /
    • pp.889-90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에서 발생했던 과거 가뭄사상의 정량적 평가를 위한 가뭄심도-지속기간-생기빈도(Severity-Duration-Frequency, SDF) 곡선을 유도하기 위해서 가뭄지수를 이용한 빈도해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지점으로는 4대강 유역을 중심으로 하는 기상청 산하의 서울, 대전, 대구, 광주, 부산관측소를 선정하였으며 강수자료는 1974~2010년(37년)의 강수 자료를 이용하였다. 가뭄빈도해석에는 기상학적 가뭄지수인 SPI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를 선정하였으며 확률분포형에 대한 적합도 검정에서는 일반극치분포(GEV, Generalized Extreme Value)가 최적의 확률분포형으로 선정되었다. 가뭄지수의 빈도해석 통하여 유도된 주요 관측소별 SDF (Severity-Duration-Frequency) 곡선을 이용하여 과거의 주요 가뭄사상에 대한 재현기간을 제시하였으며 1994~1995년 가뭄의 경우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하는 극심한 가뭄으로서 광주관측소에서는 50~100년, 부산관측소에서는 100~200년의 높은 재현기간을 나타내었다. 그밖에 1988~1989년 가뭄의 경우 서울관측소에서는 300년의 재현기간을 나타내었다.

근접촉쌍성 AX Draconis의 광도곡선과 로쉬모형 (LIGHT CORVES AND ROCHE CONFIGURATIONS OF NEAR-CONTACT BINARY AX DRACONIS)

  • 김호일;이재우;김천휘;윤재혁;이우백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0권4호
    • /
    • pp.239-248
    • /
    • 2003
  • 2001년 3월부터 5월까지 총 11일간 소백산천문대의 61cm 망원경과 VR 필터를 사용하여 근접촉쌍성 AX Dra의 광도곡선을 완성하였다. 우리의 관측으로부터 7개(주극심 3개, 부극심 4개)의 새로운 극심시각과 최근의 관측자료에 맞는 광도요소를 결정하였다. Wilson-Devinney 쌍성모델과 q-search방법을 이용하여, 우리의 VR광도곡선을 다양한 로쉬모형과 질량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리는 식쌍성 AX Dra가 분리형이거나 반성은 로쉬로브를 채우고 주성은 거의 채운 준분리형인 FO Vir형 근접촉쌍성계임을 알아내었다. 또한, FO Vir형 근접촉쌍성계의 통계적인 연구(Shaw 1994)와 달리, 우리의 VR광도곡선은 모두 같은 형태의 O'Connell효과를 보이고 있으며 그 크기는 약 $0^{m}.008$정도이다.

교차로 좌회전 궤적에 따른 정지선 위치에 관한 연구 (Position of Stop Line according to the Left Turn Trajectory at Intersection)

  • 김기용;김동녕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9-39
    • /
    • 2000
  • 본 논문은 교차로 좌회전 궤적에 따른 정지선의 위치결정에 관한 연구로서 현행 교차로를 설계하는데 있어 좌회전 차량의 운행특성을 고려하지 못하는 불합리한 점을 지적하고, 좌회전 궤적을 고려한 차량정지선의 위치를 결정하는 기준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면적이 한정되어 있는 교차로상에서 좌회전궤적을 고려하여 이를 수용하려면 정지선의 형태가 일자형이 아닌 계단형의 모양을 보이게 되는데, 이때 후퇴하게 되는 정지선의 길이를 산정함에 있어 차종을 3가지로 분류하였고 그에 따른 설치곡선반경을 12m, 15m, 23m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교차로 연석선상을 기준으로 개별 차로의 폭 차로수의 조합을 고려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후퇴되는 차량정지선의 길이뿐 아니라 곡선반경의 설치방법을 제시함으로서 설계된 곡선반경을 노면상에 표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좌회전 궤적의 영향에 대한 연구는 교통류율과 안전성에 관계되는 것으로 불합리하게 설계된 좌회전 이동류에 대한 곡선반경은 좌회전 용량감소의 원인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운전자로 하여금 죄회전시에 불안정함을 느리게 하여 인근차로를 침범하게 되는 상충발생을 증가시키게 된다.

  • PDF

폭함수 단위도법을 이용한 청미천 수문곡선 산정 (Application of the Width Function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A Case Study of Cheongmi River)

  • 서용원;박준형;이동섭;김영오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4호
    • /
    • pp.1425-143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폭함수(width function)에 기초한 단위도법(WFIUH)을 이용하는 수문곡선 산정방법에 대하여 소개하고 실제 유역(청미천)에 적용하여 그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기존 집중형 모형과 비교하여 WFIUH는 매개변수를 물리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준분포형 모형으로 유역특성 및 강우의 시공간적 변동성을 수문곡선 산정에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공간적으로 균등한 강우를 가정하여 청미천 유역에 적용한 결과 관측치와 잘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범용 모형인 HEC-1와 비교하여 유사한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동강우에 대한 간단한 검토사례를 통해 WFIUH를 이용하여 강우이동이 수문곡선의 모양과 첨두유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것을 보였다.

임베디드 기반의 보행자 안전을 위한 전자감응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the Electronic Sensor System for Pedestrian Safety Based on Embedded)

  • 류승한;박성원;문건희;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1825-1830
    • /
    • 2015
  • 일부 보행자의 경우 보행자 신호등이 적색임에도 불구하고 무단횡단을 하거나 차도에 내려서서 보행 신호를 기다리기도 한다. 이럴 경우 자칫하면 교통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보행자가 차도로 진입할 경우 경고 안내 방송을 해주는 방식으로 채택해왔으나, 이 경우 교차로의 곡선형 횡단보도에는 설치가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카메라의 영상 검지 방식을 사용하여 보행자를 검지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보행철주 상단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보행자 검지구간을 설정한다. 또한, 획득한 이미지에 대해 소벨( Sobel) 영상 처리 방식을 이용하여 변환하고 변환한 이미지를 다른 이미지와 비교하여 보행자 검지방법을 선택하였다. 이 영상 검지 방식을 사용하면 곡선형 횡단보도에서 보행자를 검지하는데 효과적이다.

합리적 응력경도 산정을 위한 수평 곡선 I-형 거더의 플랜지 국부좌굴의 해석적 연구 (An Analytical Study of Flange Local Buckling of Horizontally Curved I-Girders for Estimate Resonable Stress Gradient)

  • 김희수;이기세;이정화;최준호;강영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6504-6510
    • /
    • 2015
  • 본 I-형 수평 곡선 거더는 휨모멘트뿐만 아니라 비틀림 모멘트를 동시에 저항하고 있으며, 플레이트 거더에 작용하는 비틀림 모멘트는 균일 비틀림과 불균일 비틀림의 조합으로 결정된다. 개단면으로서 I형 단면을 가진 플레이트 거더의 경우 불균일 모멘트에 의해서 플랜지에 작용하는 법선 응력은 불균일 분포를 보이며, 곡선거더 플랜지의 한쪽 연단은 휨 법선응력과 �� 법선응력이 중첩되어 일반적인 직선거더의 플랜지보다 더 빨리 항복하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다시 말해, 초기 곡률이 적용된 거더는 직선 거더에 비해 플랜지에 작용하는 응력분포가 저하되는 양상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플랜지의 세장비와 거더의 곡률 중심각을 매개변수로 하여, 수치해석을 통해 곡선 거더의 플랜지에 작용하는 응력의 저하양상을 살펴보았다.

중규모 저기압과 연관된 구름무리에 의한 호우의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diction of heavy rainfall due to cloud cluster associated with meso-low)

  • 이윤규;이태영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331-331
    • /
    • 2017
  • 2011 년부터 2014 년까지 4 년간의 여름철에 한반도에 비교적 많은 강수를 남긴 23 개의 중규모 저기압-구름무리 집중호우 사례를 선정하여, 이들 사례에서의 중규모 저기압 발생과 이동 그리고 그것에 동반된 강수계에 의한 강수 발생을 수치예측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WRF 모델을 이용하여 12 km와 4 km 수평격자 크기로 수치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각 사례에 대해 중규모 저기압이 발생한 시점을 초기 시각으로 하여 수치적분을 수행하였다. 수치실험 결과와 AWS 강수량 관측 자료를 $0.1^{\circ}{\times}0.1^{\circ}$ 격자에 각각 내삽한 후 비교하였다. 12 km 격자 실험에서는 25 mm/12h 문턱값에 대해 23개의 사례 중 9개 (39 %)만이 0.3이 넘는 성공임계지수(TS)를 나타냈고, 50 mm/12h 문턱값에 대해서는 17개 사례 중 7개 (41 %)의 사례에서 0.3이 넘는 TS가 나타났다. 4 km 실험에서는 25 mm/12h 문턱값에 대해 23개의 사례 중 10개 (43 %) 사례에서 0.3이 넘는 TS 값이 나타났고, 50 mm/12h 문턱값에 대해서는 17개 사례 중 7개 (41 %)로 나타나 WRF 모델의 수평격자 크기와 관계없이 비슷한 성능을 보였다. 중규모 저기압이 진행하는 경로에 따라 예측 능력에 차이가 나타났다. 23개 사례를 중규모 저기압 발생지점으로부터의 이동경로에 따라 준 직선 경로 사례 그룹, 곡선형 경로 사례 그룹, 정체사례 그룹으로 분류하여 각 그룹에 대해 예측 능력을 조사한 결과, 직전 경로 사례들에 대한 4km 격자 모델 예측은 55 %의 사례에서 0.3보다 큰 TS값을 보여, 30 %의 사례에서 0.3 이상의 TS 값을 보인 곡선형 경로 사례들에 대한 예측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예측 신뢰도를 보여 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