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곡물

Search Result 777,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미국, 사료용 옥수수 생산ㆍ유통동향

  • Kim, Tae-Gon
    • 사료
    • /
    • s.11
    • /
    • pp.52-57
    • /
    • 2004
  • 미국은 세계 최대의 사료곡물 생산국인 동시에 최대소비국이기도 하다. 풍부한 곡물생산국으로서의 우위성을 살려서 축산물 생산량도 세계 최대를 기록하고 있다. 옥수수는 미국이 세계생산의 41.6%, 수출의 68.29%를 차지할 정도로 미국에 집중되어 있다. 이러한 결과로 미국에서 기상이변 등에 의한 생산변동이 세계가격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력이 매우 높아지는 특징이 있다. 미국의 대표적 사료곡물인 옥수수를 중심으로 생산주기와 수급추이, 유통경로, 사료용 이용현황 등에 대하여 최근 상황을 정리한다.

  • PDF

2007 Price Risk Management & World Maize Outlook 세미나

  • Hong, Seong-Su
    • 사료
    • /
    • s.27
    • /
    • pp.81-85
    • /
    • 2007
  • 지난 5월 17,18일 양 일간에 걸쳐 한국사료협회(KFA)와 미국곡물협회(USGC)는 국내곡물 구매자들을 대상으로 급변하는 국제곡물시장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자 미국CBOT, USGC, Cargil티 Consultant의 발표와 Simulation을 병행하는 "2007 Price Risk Management & World Maize Outlook 세 미나"를 개최하였다. 이 에 본지에서는 세미나 내용을 요약.게재 한다.

  • PDF

국제곡물 가격동향과 사료가격동향

  • 한국오리협회
    • Monthly Duck's Village
    • /
    • s.71
    • /
    • pp.32-34
    • /
    • 2009
  • 2008년에는 미국발 금융위기와 한미 쇠고기 협상 여파로 축산인들의 앞날이 어찌 전개될지 아무도 모르는 상황에서 국제 곡물 가격은 천청부지로 상승하였다. 옥수수와 대두 같은 대표적인 사료작물들의 국제 가격이 큰 가격으로 상승하면서 사료 지급률이 30%가 채 되지 않는 국내 축산업계가 존폐의 기로에 서게 된 것. 국제 곡물 가격동향과 사료가격 동향을 통해 향후 전망 및 국내 축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대처 방안을 알아보고자 한다.

  • PDF

1983년도 미국의 농업생산과 사료곡물 전망

  • 이유방
    • KOREAN POULTRY JOURNAL
    • /
    • s.159
    • /
    • pp.48-52
    • /
    • 1983
  • 본 원고는 전 한국과학기술연구소 축산가공연구실장을 지낸 바 있는 미국 캘리포니아대학의 이유방 박사가 본지 독자와 국내 양계인들을 위해 특별히 기고한 원고로 우리나라 축산업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사료곡물현황과 미국의 농업생산에 대해 언급한 것으로 83/84 회기년도 사료곡물가격과 국내 사료가격 전망에 대해 논하고 있다.

  • PDF

논단 - 국제곡물가격 상승에 대응한 식량안보대책 세워야

  • Kim, Byeong-Ryul
    • Life and Agrochemicals
    • /
    • s.262
    • /
    • pp.10-13
    • /
    • 2010
  • 애그플레이션은 공급이 부족해서 발생하는 '희소성' 문제가 아니라 공급보다 수요가 그 이상 증가해서 발생하는 '풍요'의 문제에서 나타나는 식품가격 급등현상이다. 우리나라가 주도하는 곡물조달체계와 해외농업개발을 통해 곡물메이저 의존도를 낮추고 국가식품시스템 구축으로 유사시 식량확보대책 등 국가 차원의 식량안보체계가 절실하다.

  • PDF

세계 사료곡물 가격 안정세 예상 - 중국 사료곡물 수입국 움직임 가속화

  • Korea Poultry Association
    • KOREAN POULTRY JOURNAL
    • /
    • v.38 no.4 s.438
    • /
    • pp.90-95
    • /
    • 2006
  • 한미 FTA 1차 협상이 6월 5일(워싱턴)로 결정되고, 구체적인 일정들이 속속 구체화되면서 축산관련 업계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축산물을 모든 관세가 철폐될 경우 국내 축산물 시장은 미국산으로 채워질 것이고, 상대적으로 축산농가가 감소하면서 실업자 발생 등 엄청난 피해가 예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 사료회사들은 물량 감소로 공장 가동율이 당장 줄어들어 큰 타격을 받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 등 축산관련 전 업계에서 철저히 대비를 해 나가야 할 것이다. 본 고는 전 세계의 곡물 생산에 대한 추이를 살펴봄으로써 대부분의 사료원료를 외국으로부터 수입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현 주소를 파악하고, 이에대한 이해를 돕고자 지난 2월 미국사료곡물협회에서 마련한 '사료곡물 세미나' 발표 내용중 중요한 내용을 발췌 · 번역하여 게재한 것이다.

  • PDF

Research and Automatic Sacking Device for Combine Harvester (콤바인 곡물 포대 자동화에 관한 연구)

  • 김진현;김기동;조기현;이정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529-538
    • /
    • 2002
  • 콤바인 곡물 포대 자동화장치개발은 콤바인 운전자 및 작업자의 피로경감과 안전보호 및 작업성능의 향상을 기하기 위하여 행하여 졌으며, 본 연구의 개발은 기존의 콤바인 작업이 2명이 소요되는 것을 운전자 1명이 수확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노동력의 절감과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곡물 포대의 정 위치화를 위해서 용량형 근접위치센서를 설치하였으며, 포대의 과다이송에 따른 모터의 부하를 최소화 하기위해 선단부와 슈트부에 각각 위치센서를 설치하여 포대의 위치를 제어하였다. 2) 곡물 투입장치부의 작동은 공기압축기와 공압실린더를 이용한 공압시스템을 사용하였으며, 곡물의 투입량제어는 슈트부 게이트의 열림시간을 제어하여, 곡물의 투입량을 제어하였다. 3) 포대 배출장치는 이송장치로부터 이송되어진 충진된 포대를 제 2의 포대가 충진하는 영역 밖으로 밸트 컨베이어를 이용 이송하도록 하였다. 4) 포대는 B3 포대의 경우가 가장 투입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진을 한 경우가 하지 않은 경우보다 비교적 투입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포대 자동화장치에서는 포대의 가진 장치를 장착하지 않았으며, 실험은 인위적으로 가진을 하여 실행하였으며, 향후 전체적인 장치의 성능 향상을 위해서 포대의 가진 장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evelopment of Near Infrared Radiation Image Board for Performace Improvement of Grain Sorter (곡물선별기의 선별력 향상을 위한 근거리적외선 영상보드 개발)

  • Lee, Chae-Wook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18 no.1
    • /
    • pp.25-30
    • /
    • 2017
  • Currently, most of the grain sorter uses CCD optic camera to find defective product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use the CCD camera, and aim for improving the sorting power of the grain separator by using NIR(Near Infrared Radiation) sensor based on moisture content measurement algorithm. We intend to develop a system to develop an NFC imaging system in real time by developing an NIR imaging system and developing the grain sorter system that is considered to be defective in real time by checking the internal moisture content of the raw material in the real time.

  • PDF

Optimization of Drying and Storage System for Paddy Using the Grain Cooler (곡물냉각기를 이용한 벼 건조 및 저장시스템의 최적화)

  • 김동철;김의웅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11 no.2
    • /
    • pp.269-275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 optimization model using Box's Complex Algorithm, and to determine optimum operating conditions to minimize costs for the drying and storage system using the grain cooler. To minimize the system operation cost, the optimum moisture contents after the first drying were found to be from 17.2 to 19.8 %. And optimum drying and cooling capacities were obtained. The combination of the dryer and grain cooler was found to be economical, showing enhancement of the drying capacity over 50%, and decrease of drying cost over 10%. When the circulating grain dryers of 6 and 20 ton/batch were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grain cooler, the cost required for drying and storage system for paddy were 28,464∼33,317won/ton and 20,588∼26,511 won/ton, respectively, which was from 2.6 to 27.3% lower than that of conventional drying and storage system.

A Study on the Profile Design of Sweeping Auger for the Combined Grain Drying and Storage System (일체형 곡물 건조/저장 시스템 개발을 위한 나선형 배출기구의 가변 단면 형상 설계에 관한 연구)

  • Choi, Kab-Yong;Oh, Tae-Il;Shin, Sung-H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0 no.7
    • /
    • pp.1473-1479
    • /
    • 2009
  • This study have been carried out as a part of R&D project to develop a low cost high efficiency combined grain drying & storage system. The design of sweeping auger must meet the various conditions : capacity and dimensions of silo, discharging capacity of auger, operation conditions of auger such as revolution and rotation and density of grains and even the first-in & first-out of grains in the system. Through the experimental observations with the apparatus which enables the direct observation of discharging behavior of grains, the limitations of the performance of existing straight type auger was observed. Generalized mathematical model for the profile of new variable section sweeping auger was obtained, which ensures the uniform descending of grains and also meets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The experimental results with a prototype sweeping auger showed that the mathematical model for the variable section sweeping auger was quitely corr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