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춧가루

검색결과 217건 처리시간 0.031초

고춧가루 첨가량을 달리한 토마토소스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mato Sauce prepared with Different Quantities of Chili Pepper)

  • 전관수;최수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31-144
    • /
    • 2015
  • 고춧가루를 첨가하여 토마토소스를 제조한 후,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분은 고춧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조단백, 조지방, 조회분, 탄수화물은 증가하였다. pH는 고춧가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이는 유기산 감소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색도의 경우 L값, a값은 감소하였으며, b값은 증가하였다. Lycopene과 ${\beta}$-carotene은 고춧가루가 첨가됨에 따라 높아졌는데, 토마토뿐 아니라, 고춧가루의 적색도에서 카로티노이드계 색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높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DPPH radical 소거능 또한,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높았으며, 고춧가루가 가지는 항산화물질에 의한 것으로 보여진다. 고춧가루를 첨가한 토마토소스의 저장 기간에 따른 총 균수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총 균수는 모든 시료에서 대부분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고춧가루를 첨가하지 않은 con에 비해 3% 첨가한 TC3와 5% 첨가한 TC5 시료는 15일까지 3,500 cfu/g, 1,200 cfu/g 수준으로 다른 시료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형태를 보였으며, 이후 20일, 25일, 30일까지 총 세균수는 급증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고춧가루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성차이 검사에서 표면의 매끄러움 정도는 첨가량이 높아짐에 따라 낮은 강도를 보였으며, 입자감에서는 높은 강도를 보였는데, 고춧가루가 토마토 수분을 흡수하게 되면서 소스의 농도가 높아진 것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소스만 기호도 측정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고춧가루 2% 첨가한 TC2가 높은 기호도를 보였으나, 파스타면과 함께 측정한 결과, 3% 첨가한 TC3에서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고춧가루 첨가한 토마토소스 제조 시 고춧가루의 첨가량은 3%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사료되며, 고춧가루를 첨가시킨 매운 맛의 토마토소스는 토마토 가공 제품으로서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방사선 조사에 의한 고춧가루의 매운 맛 성분과 색의 변화

  • 이정희;성태화;김미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140.1-140
    • /
    • 2003
  • 방사선 조사에 의한 고춧가루의 매운맛 성분과 색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고춧가루 (Capsicum annuum) 를 진공상태에서 포장한 후, 3, 5 및 7 kGy 의 감마선을 조사하였다. Capsacinoids 함량을 HPLC에 의해 분석하였을 때, total capsanoids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capsaicin은 조사선량이 클수록 증가하였고, dihydrocapsaicin은 변화가 없었다. Scoville test에 의한 매운맛 평가 결과, 0, 3 및 5 kGy 로 조사된 고춧가루의 매운맛 강도는 유사하였으나, 7 kGy 조사된 고춧가루는 매운 맛 강도가 높게 평가되었다. 고춧가루의 붉은 색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색소인 capsanthin을 HPLC로 분석하였을 때, 변화가 없어 방사선 조사에 의한 영향은 없었다. 그러나 고춧가루의 붉은 색 정도를 색차 계로 측정하였을 때 Hunter a value (redness) 는 조사선량이 커질수록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치형 세라믹 롤러와 금속 롤러의 고추 분쇄생성물 특성분석 (An Analysis for Particulate Characteristic in Red Pepper Milling Using Ceramic and Metal Corrugation Rollers)

  • 강위수;양승기;목효균;이해익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1999년도 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34-239
    • /
    • 1999
  • 고추는 대부분 건고추를 굵은 고춧가루, 보통 고춧가루, 고운 고춧가루로 분쇄하여 김치류, 고추장 등의 발효식품과 양념류에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국민 일인당 연간 소비량은 고춧가루를 기준으로 2.5kg, 건고추를 기준으로 3.5kg에 이르고 있다. 건고추를 가루로 분쇄하는 방법은 종래 절구로 찧어 빻는 방법에서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1960년대 중반부터 국내 특유의 압축식 롤 밀(Roll Mill)형태의 분쇄방법으로 전환되었으며, 구미의 햄머 밀이나 디스크 밀에 의한 분쇄방법과는 차이가 있다. 이것은 소비형태에 의한 차이로서 우리는 발효식품의 숙성을 위하여 고춧가루의 수축복원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고추과피의 섬유질을 압축력과 전단력을 이용하여 분쇄하는 형태인 반면에, 구미에서는 고춧가루를 단순히 조미향신료의 첨가제로 사용하는 차이점 때문이다. (중략)

  • PDF

사과고추장의 배합비에 따른 관능적 특성과 물성 모니터링 (Monitoring on Organolepties and Rheology with Recipe of Apple Kochujang)

  • 이기동;이진만;정은재;정용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068-1074
    • /
    • 2000
  • 젊은 세대들이 좋아하는 우수한 품질의 사과고추장을 개발하고자 부원료로서 사과를 사용하여 사과고추장의 배합비에 따른 관능적 특성을 반응표면분석법으로 최적화하고 물리적 특성을 모니터링하였다. 실험조건은 고춧가루는 130~210 g, 메주가루는 50~80 g, 사과퓨레는125~205 g의 범위로 설정되었으며, 실험계획에 따라 제조된 사과고추장은 물리적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사과 고추장의 색상에 대한 관능평점은 고춧가루 140.61 g, 메줏가루 83.42 g 및 사과퓨레 169.05 g에서 가장 높았으며, 향에 대한 관능평점은 고춧가루 192.32 g, 메줏가루 56.14 g 및 사과퓨레 146.72 g에서 가장 높은 7.95를 나타내었다. 맛에 대한 관능평점은 고춧가루 함량 182 g, 메줏가루 함량 78 g 및 사과과즙 함량 199 g에서 가장 높은 7.46을 나타내었으며,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는 고춧가루 함량 200 g, 메줏가루 함량 57 g 및 사과과즙 함량 159 g에서 가장 높은 관능평점을 나타내었다. 사과고추장의 물리적 특성으로서 견고성은 고춧가루와 메줏가루의 함량이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고추장의 부착성과 거침성은 고춧가루 함량이 증가하고 사과과즙의 함량이 낮을수록 증가하였다.

  • PDF

한국인과 호주인의 매운맛 감지도에 대한 연구 (Comparison of Pungency Perception between Korean and Australian)

  • 김건희;방혜열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677-680
    • /
    • 2000
  • 본 실험은 매운맛에 대한 감지도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한국인과 호주인을 대상으로 capsaicin과 capsaicin을 함유한 고춧가루를 이용하여 관능검사를 한 것으로 먼저 농도를 달리한 capsaicin으로 관능검사를 한 후, capsaicin을 함유한 고춧가루를 이용하여 고춧가루 희석액과 고춧가루를 첨가한 죽, 고춧가루를 첨가한 국수를 평가함으로써 실생활에 있어 매운맛에 대한 감별력과 농도차와 조리방법에 따른 capsaicin의 감지도를 연구한 것이다. 그 결과 낮은 농도에서는 호주인이, 높은 농도에서는 한국인이 매운맛에 대한 인지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춧가루를 첨가한 3종의 평가에서 관능검사원들은 혼합액, 죽, 국수의 순으로 매운맛을 감지하였으며 죽과 국수의 경우 약한 농도일 때 고춧가루의 매운맛을 잘 느낄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국균(麴菌)의 효소생산(酵素生産) 및 생육(生育)에 미치는 고춧가루의 영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ffects of Red Pepper Powder on the Enzyme Production and Growth of Aspergillus Oryzae)

  • 이택수;박윤중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9권4호
    • /
    • pp.227-232
    • /
    • 1976
  • 고춧가루가 국균(麴菌)의 각종(各種) 효소생산(酵素生産) 및 균체생육(菌體生育)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할 목적(目的)으로 Aspergillus oryzae A (단모균)와 Aspergillus oryzae G(장모균) 균주를 고춧가루를 첨가한 밀기울 배지 및 Czapek-Dox 액체배지에 배양하여 그 효소력(酵素力), 건조균체중량 pH. 적정산도 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밀기울 고체배지에 $0.05{\sim}30%$ 농도(濃度)의 고춧가루를 첨가한 구에서는 무염기질(無鹽基質)에서의 중성 및 알카리 protease의 활성이 대조구(밀기울 단독 배양구)에 비하여 높았으나 Aspergillus oryzae G의 경우는 고춧가루 첨가시 무염기질(無鹽基質)에서의 산성 protease의 생성이 오히려 저하 되었다. 2. $0.05{\sim}10%$의 고춧가루 첨가시는 내염(耐鹽)기질에서의 중성 및 알카리 protease의 활성이 대조구에 비하여 높았다. 3. 고춧가루 첨가(添加)는 amylase활성(活性)에 별(別)로 효과(效果)가 없었다. 4. Cellulase활성은 밀기울 단독구에 비하여 고춧가루 첨가구(添加區)에서 전반적(全般的)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5. Czapek-Dox액체배지상(液體培地上)에서 각균(各菌)의 건조균체중량(乾燥菌體重量)은 고춧가루 첨가농도(添加濃度)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단모균은 장모균에 비해 그 증가 현상이 현저하였다. 6. 고춧가루는 Czapek-Dox 첨가배지((添加培地)의 pH를 저하(低下)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7. 고춧가루 첨가농도(添加濃度)가 증가함에 따라 Czapek-Dox 액체배지의 적정산도는 증가현상을 나타내었으며 장모균에 비하여 단모균의 경우 적정산도의 증가현상이 현저했다.

  • PDF

고춧가루의 색도측정(色度測定)과 품질(品質)과의 관계(關係) (Color Measurement of Red Pepper Powder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Quality)

  • 전재근;박상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2권1호
    • /
    • pp.18-23
    • /
    • 1979
  • 고춧가루의 품질(品質)을 평가(評價)할 수 있는 객관적(客觀的) 기준(基準)을 마련하기 위하여 고춧가루의 외관색도(外觀色度), 적색소(赤色素)인 capsanthin의 함량(含量)및 coliform bacteria의 오염도와의 관계를 연구(硏究)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1. 고춧가루의 육안판별방법(肉眼判別方法)은 개인간(個人間)의 색감(色感)의 차이(差異)로 인(因)하여 객관성(客觀性)이 없었다. 2. Capsanthin 함량(含量)에 따라 분류한 등급방법(等級方法)은 객관성(客觀性)을 보였으며 고춧가루의 품질평가(品質評價)에 기준(基準)이 될 수 있었고 외관색도(外觀色度)는 이 capsanthin 함량(含量)에 비례(比例)하였다. 3. 고춧가루의 외관색도(外觀色度)는 색도계(色度計)의 Hunter 값 a/b을 사용하여 수치(數値)로 표현(表現)할 수 있었으며 capsanthin의 함량(含量)과의 관계는 다음 식과 같으며 Capsanthin 함량(含量) (mg/g-고춧가루)=$0.257{\times}10^{0.703}(a/b)$ 고춧가루의 품질평가(品質評價)의 방법(方法)으로 응용(應用)할 수 있다. 4. 색도(色度)와 미생물(微生物)의 오염과의 관계는 명확(明確)하지 않았다.

  • PDF

김치의 품질에 미치는 반건조 고춧가루의 영향 (Effect of Semi-dry Red Pepper Powder on Quality of Kimchi)

  • 방병호;서정숙;정은자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46-154
    • /
    • 2005
  • 고춧가루를 보다 위생적이고, 영양소의 파괴를 막으며 또한 홍고추의 색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한반도와 부자의 2가지 품종을 이용하여 반건조 고춧가루를 제조한 후 화력건조 고추가루와 비타민 C, ASTA color 값, 총세균수를 비교하였으며, 또한 이 두 고춧가루로 김치를 제조하여 그 품질의 특성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타민 C 함량과 ASTA color 값은 반건조 고추가루가 화력 건조 고춧가루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총세균수에 있어서는 반건조 고춧가루가 더 낮은 수를 나타내었다. 또한 2가지 고춧가루로 김치를 제조한 후 $7^{\circ}C$에서 발효시키면서 PH, 총산도, 총세균수 및 젖산 균수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기존의 화력건조 고춧가루로 제조한 김치의 pH, 총산도, 총세균수 및 젖산균 수의 변화 등에서 별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한반도 품종에서 색을 제외한 맛$(3.85\pm0.21)$ 풍미$(3.42\pm0.26)$, 조직감$(3.96\pm0.23)$에서 반건조 고춧가루를 사용한 김치의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앞으로 반건조 고춧가루로 김치를 만들면,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관능적, 위생적으로 우수한 김치를 생산하여 김치 산업발전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고춧가루의 매운 맛 등급화를 위한 Mass Spectrometer를 바탕으로 한 전자코 분석 (Discrimination of Grading Pungency for Red Peppers Spice Using Electronic Nose Based on Mass Spectrometer)

  • 강진희;손희진;홍은정;노봉수
    • 산업식품공학
    • /
    • 제14권1호
    • /
    • pp.35-40
    • /
    • 2010
  • 고춧가루의 매운 맛 등급화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mass spectrometer를 바탕으로 한 전자코를 활용하여 순한 맛 고춧가루와 매운 맛 고춧가루의 비율 달리하여 측정하였다. 고춧가루의 질량 스펙트럼을 토대로 판별 함수 분석을 수행한 결과 매운 맛 고춧가루의 비율과 고춧가루의 무게에 따라 판별이 이루어졌으며 DF1의 $R^{2}$는 0.9946, F값은 355.65이고, DF2의 $R^2$는 0.9889, F값은 172.60으로 나타났다. 매운 맛 고춧가루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DF1의 양의 방향에서 음의 방향으로 이동되며 막대그래프상의 상대적 비교치와 비례적인 관계를 보여주었다. 한편 같은 비율에서 고춧가루의 무게가 증가할수록 DF2의 음의 방향에서 양의 방향으로 향하는 경향을 보이며 분리되었다. 고춧가루를 각각의 매운 맛 비율별로 2.0 g만을 취하여 분석한 결과, 매운 맛 비율이 증가할수록 DF1의 양의 방향에서 음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향을 보이며 분리가 되었고 DF1의 $R^{2}$는 0.9977, F값은 766.98이고 DF2 의 $R^{2}$는 0.8677, F값은 11.80으로 나타났다. Capsaicin을 무게를 달리하여 측정한 후 DFA를 수행한 결과 DF1의 $R^{2}$는 0.9890, F값은 165.17이고 DF2의 $R^{2}$는 0.9219, F값은 21.64로 나타났다. Capsaicin의 무게가 증가할수록 DF1의 양에 방향에서 음에 방향으로 향하는 경향으로 분리되어 MS를 바탕으로 한 전자코를 이용하여 고추의 매운 맛 등급화가 가능하였다. 전자코에 의한 분석결과는 HPLC에 의한 분석결과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R^{2}$=0.962).

머신러닝 기반 고춧가루 원산지 판별기법 (Detection of Red Pepper Powders Origin based on Machine Learning)

  • 유성민;박민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4호
    • /
    • pp.355-360
    • /
    • 2022
  • 최근 국내산 고추의 생산 비용 상승과 수입산 고추의 도입으로 고춧가루 원산지 허위표기 등의 피해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원산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별하는 문제가 대두되었다. 기존의 고춧가루 원산지 판별법의 경우 무기 및 유기성분을 실험적으로 대조 및 분석하여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든다는 한계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는 머신러닝을 도입하여 국내산, 수입산 고춧가루 분류를 제안한다. 고춧가루에 포함된 53가지 성분에 대하여 머신러닝 모델을 설계하고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어떠한 성분이 원산지 판별 시 중요하게 활용되는지 파악 할 수 있었다. 추후 고춧가루뿐만 아니라 다양한 식품으로 확장하여 원산지 판별에 드는 비용을 보다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