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체 입자

Search Result 402,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Solid Descending Velocity by Gravity in a Vertical Downcomer (수직관에서 중력에 의한 고체하강속도)

  • Ryu, Ho-Jung;Park, Jaehyeon;Shun, Do-Won;Lee, Seung-Yong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50 no.3
    • /
    • pp.522-526
    • /
    • 2012
  • New experimental method to measure solid descending velocity in a vertical downcomer was presented and effects of downcomer diameter and particle properties on descending velocities for Geldart group A, B, and D particle have been measured and investigated. The effect of initial solid inventory on solid descending velocity was negligible. However, solid flow rate, solid circulation rate and solid descending velocity increased as the downcomer diameter increased. Moreover, solid descending velocity increased linearly as the downcomer diameter increased and showed distinguishable trend for Geldart group D particle from Geldart group A and B particles. Empirical correlations of solid descending velocity for Geldart group D and Geldart group A and B particles have been derived based on the measured values. The correlations could predict well the solid descending velocities.

Development of Solid Separator for Selective Solid Circulation in Two-interconnected Fluidized Beds System (2탑 유동층 시스템에서 선택적 고체순환을 위한 고체분리기 개발)

  • Ryu, Ho-Jung;Park, Young Cheol;Lee, Seung-Yong;Kim, Hong-Ki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47 no.2
    • /
    • pp.195-202
    • /
    • 2009
  • As a basic research of developing two-interconnected fluidized beds system for selective solid circulation, a solid separator was developed to separate fine and coarse particles by means of particle size difference with particle size separation system equipped with metal screen. The effects of gas velocity, height of solid separator, and separation area on the solid separation rate were investigated as well. The solid separation rate increased as the gas velocity, height of solid separator, and separation area increased. As the gas velocity and height of the solid separator increased, the variation of the solid separation rate was consistent with that of bubble size. Consequently, coarse($212{\sim}300{\mu}m$) and fine($63{\sim}106{\mu}m$) particles were separated using the solid separator and the solid separation rate was ranged from 4.4 to 127 g/min. We also proposed two interconnenced fluidized beds system for sorption enhanced water-gas shift process equipped with the developed solid separator.

Effects of Operating Variables on Solid Separation Rate in Two-interconnected Fluidized Beds System for Selective Solid Circulation (선택적 고체순환을 위한 2탑 유동층 시스템에서 고체분리속도에 미치는 조업변수들의 영향)

  • Ryu, Ho-Jung;Jin, Gyoung-Tae;Bae, Dal-Hee;Kim, Hong-Ki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47 no.3
    • /
    • pp.355-361
    • /
    • 2009
  • Effects of operating variables on solid separation rate in two-interconnected fluidized beds system for selective solid circulation have been investigated. Coarse(212~300 or $425{\sim}600{\mu}m$) and fine($63{\sim}106{\mu}m$) particles were separated using the solid separator and the solid separation rate was ranged from 66 to 987 g/min. The solid separation rate increased as the gas velocity through the solid injection nozzle, solid height, diameter of solid injection nozzle, particle size of coarse particles, aperture of the solid separator, and weight fraction of fines in the solid mixture increased. However, the effect of the fluidization velocity was negligible.

Effects of particle size and density on solid recycle characteristics of Loop-seal in a Circulating Fluidized Bed (순환유동층내 Loop-seal 에서의 고체재순환에 대한 입자크기 및 밀도의 영향)

  • 김성원;안정렬;김상돈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9.11a
    • /
    • pp.31-34
    • /
    • 1999
  • 기-고체간의 접촉효율이 높고, 층 내 전체에 걸쳐서 균일한 기-고의 접촉을 갖는 등 많은 장점이 있어 석탄연소로, 촉매반응기와 같은 여러 기-고 반응기에 적용이 확대되고 있는 순환유동층은 높은 유속에서 조업되므로 상승관내 고체입자들은 즉시 비산하게 된다. 따라서, 원활한 반응에 필요한 상승관내 적절한 고체체류량 유지를 위해 고체입자들 대부분은 싸이클론에서 포집 되어 고체재순환부에 의하여 상승관내로 재주입 된다.(중략)

  • PDF

Simulation of Solid Particle Sedimentation by Using Moving Particle Semi-implicit Method (고체 입자형 MPS법을 이용한 토사물 퇴적 시뮬레이션)

  • Kim, Kyung Sung;Yu, Sunjin;Ahn, Il-Hyu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4 no.1
    • /
    • pp.119-125
    • /
    • 2018
  • The particle base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method, which follow Lagrangian approach for fluid dynamics, fluid particle behavior by tracking all particle calculation physical quantities of each particle. According to basic concept of particle based CFD method, it is difficult to satisfy continuum theory and measure influences from neighboring particle. Article number density and weight function were used to solve aforementioned issue. Difficulties continuum mean simulate non-continuum particles such as solid including granular and sand. In this regard, the particle based CFD method modified solid particle problems by replacing viscous and surface tension forces friction and drag forces. In this paper, particle interaction model for solid particle friction model implemented to simulate solid particle problems. The broken dam problem, which is common to verify particle based CFD method, used fluid or solid particles. The angle of repose was observed in the simulation results the solid particle not fluid particle.

Characteristics of Axial Solid Hold-up Distribution in a CFB Riser with 3-Loops (3개의 순화고리를 갖는 순환유동층 상승관에서의 축방향 고체 체류랑 분포 특성)

  • 이종민;김재성;김시문;김종진;송규근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9 no.4
    • /
    • pp.348-357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동해화력 순환유동층 보일러와 유사한 3개의 사이클론을 갖는 직사각형 구조의 순환유동층 반응기를 이용하여 동해화력 운전조건 -연소로 공기 속도, 일-이차 공기비, 전체 고체량(inventory), 입도 및 입도분포 등- 에 따른 축방향 고체 체류량 및 순환량 등의 수력학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상승관에서의 공기유속(U$_{0}$)이 증가함에 따라, 또는 PA/[PA+SA]비가 증가함에 따라, 그리고 전체 고체량(inventory)이 증가함에 따라 고채 채류량 및 순환량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넓은 입도 분포를 갖는 석탄 회재의 경우는 균일한 입도 분포의 입자들에 비해 입자 비산량 및 고체 순환량이 작을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층내에서의 고체 체루량 분포를 감소지수 a 및 K를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었으며, a 및 K와 유속 및 입자간의 상관 특성치를 도출하여 유동 및 순환특성을 고찰하였다. 상기의 상관수는 균일한 입도의 모래에 비해 석탄회재가 비교적 큰 값을 나타내었으며, 상관수가 클수록 희박상 영역에서의 비산 및 고체 순환량이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다.

  • PDF

A Study on Performance of the Circulating Gas-Solid Fluidized Bed Heat Exchanger with Multiple Vertical Tubes (다관형 가스-고체입자 순환유동층 열교환기의 성능 연구)

  • 박상일;최경빈;고창복;김정근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2002.05a
    • /
    • pp.3-8
    • /
    • 2002
  • 산업체에서 배출되는 여러 가지 배가스에는 부식성 오염물질을 함유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러한 배가스로 부터의 폐열회수를 위하여 부식성 오염물질에 의한 열교환기에서의 파울링의 문제점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 세라믹과 같은 고체입자는 대개 내식성이 강하므로 부식성의 배가스에 사용이 가능하고 유동층 열교환기에서는 고체입자의 비표면적이 매우 크므로 전열효율이 매우 높은 것이 특징이다.(중략)

  • PDF

Characterization of Cavitation Damage on the Stainless steel alloy by Solid Particle Collapse (스테인리스강의 케비테이션 고체입자충격에 의한 침식손상 특성)

  • Hong, Seong-Mo;Han, Byeong-Seon;Lee, Min-Gu;Park, Jin-Ju;Lee, Sang-Hun;Lee, Chang-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7.11a
    • /
    • pp.28-28
    • /
    • 2007
  • 해수 임펠러(impeller) 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스테인리스강을 이용하여 케비테이션 발생 시 고체입자 충격에 의한 충격하중 및 침식손상을 조사하였다. 충격하중은 압전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되었으며, 고체입자충격의 경우 기포붕괴에 비해 전체적으로 높은 충격하중을 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충격하중과 침식손상과의 관계를 고찰하기 위해 침식표면에 형성된 침식핏(pit)을 측정하였으며, 고체입자충격 및 기포붕괴 조건에서의 임계충격하중을 구하였다.

  • PDF

Study on Effect of gas superficial velocity on particle behavior in three phased Slurry Bubble Column Reactor (3상 Slurry Bubble Column Reactor에서 기체유속에 따른 고체입자의 거동에 대한 연구)

  • Yang, Jung-Hoon;Yang, Jung-Il;Lee, Ho-Tae;Kim, Hak-Joo;Chun, Dong-Hyun;Jung, Heo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6a
    • /
    • pp.876-879
    • /
    • 2009
  • Fischer-Tropsch 합성 반응과 같은 slurry bubble column reactor에서는 반응 속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상간의 접촉 면적을 최대화함으로써 물질 전달을 원활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특히 Fischer-Tropsch 합성 반응에서는 반응물인 기체가 촉매로서 기능하는 고체 표면으로의 external mass transfer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반응기 내의 기체의 거동뿐만 아니라 고체인 촉매의 분포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반응기 내에 기체의 superficial velocity를 변화시키면서 기체의 hold up 뿐만 아니라 고체 입자의 분포특성에 대하여 관찰하였다. Superficial velocity가 증가함에따라 gas hold up의 경우, 일정하게 증가하다가 6 cm/sec 이상에서 그 증가폭이 감소하였다. 즉 6 cm/sec이상에서 turbulent flow regime을 형성하였다. 또한 고체입자의 분포 역시 기체의 superficial velocity가 증가함에따라 보다 균일하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