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체 로켓

Search Result 285,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Numerical Modeling for Turbulent Combustion Processes of Vortex Hybrid Rocket (Vortex Hybrid 로켓 난류연소과정의 모델링 해석)

  • 조웅호;김후중;김용모;윤명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3.05a
    • /
    • pp.244-245
    • /
    • 2003
  • 고체나 액체 추진로켓에 비하여 하이브리드 추진 시스템은 작동조건의 안정성과 안전함등의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HTPB와 같은 고체연료는 제작 및 저장, 운송 그리고 장착상의 안정성을 가지고 있으며 하이브리드 로켓의 고체연료로의 산화제의 유입을 제어하면서 추력의 변화와 엔진내부의 연소중단과 재 점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하이브리드 엔진은 좀 더 경제적인 장치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하이브리드 로켓 엔진은 고체 추진 로켓에 비하여 낮은 연료 regression 율과 연소효율을 가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 요구되어지는 추력값과 연료유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고체연료의 표면적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기존의 하이브리드 엔진에서는 연료 그레인에 다수의 연소포트를 만들어 표면적을 증가시켰으나 이는 비 활용 공간의 증가와 추진제의 질량 및 체적분율의 상당한 감소를 초래한다. 지난 수십년간에 걸쳐 하이브리드 엔진에서 연료의 regression 특성 및 엔진 성능 향상을 위한 연구가 계속되어 왔으며 최근에 엔진의 체적 규제를 경감시키고 연료의 regression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선회유동을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로켓 엔진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선회유동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로켓은 고체연료 그레인에 대하여 평행하게 유입되는 기존의 하이브리드 로켓에 비하여 고체연료 벽면에서의 대류열전달이 현저하게 증가하게 되어 아주 높은 고체연료의 regression율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선회유동 하이브리드 로켓의 연소과정은 고체 연료의 열분해과정, 대류 열전달, 난류 혼합, 난류와 화학반응의 상호작용, soot의 생성 및 산화과정, soot 입자 및 연소가스에 의한 복사 열전달, 연소장과 음향장의 상호작용 등의 복잡한 물리적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물리적 과정 중 난류연소, 고체연료 벽면 근방에서의 대류 열전달 및 연소과정에서 생성되는 soot 입자로부터의 복사 열전달, 그리고 고체연료 열 분해시 표면반응들은 고체연료의 regression율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고체연료의 난류화염면의 위치와 폭, 그리고 비 예혼합 난류화염장에서 생성되는 soot의 체적분율의 예측은 난류연소모델, 열전달 모델, 그리고 regression율 모델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수치모델의 예측 능력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러한 물리적 과정을 정확히 모델링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vortex hybrid rocket내의 난류연소과정은 아래와 같은 Laminar Flamelet Model에 의해 모델링 하였다. 상세 화학반응 과정을 고려한 혼합분율 공간에서의 화염편의 화학종 및 에너지 보존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화염편 방정식과 혼합분률과 scalar dissipation rate의 관계식을 이용하여 혼합분률과 scalar dissipation rate에 따른 모든 reactive scalar들을 구하게 된다. 이러한 화염편 방정식들을 mixture fraction space에서 이산화시켜서 얻은 비선형 대수방정식은 TWOPNT(Grcar, 1992)로 계산돼 flamelet Library에 저장되게 된다. 저장된 laminar flamelet library를 이용하여 난류화염장의 열역학 상태량 평균치는 presumed PDF approach에 의해 구해진다. 본 연구에서는 강한 선회유동을 가지는 Hybrid Rocket 연소장내의 난류와 화학반응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Laminar Flamelet Model, 화학평형모델, 그리고 Eddy Dissipation Model을 이용한 수치해석결과를 체계적으로 비교하였다. 또한 Laminar Flamelet Model과 state-of-art 물리모델들을 이용하여 선회 유동을 갖는 하이브리드 로켓 엔진의 연소 및 Soot 생성 및 산화과정을 살펴보았으며 복사 열전달이 고체 연료 표면의 regression율에 미치는 영향도 살펴보았다. 특히 swirl강도, 산화제의 유입위치 그리고 선회유동의 형성방식이 하이브리드 로켓의 연소특성 및 regression rate에 미치는 영향을 상세히 해석하였다.

  • PDF

The Design of The Bell-Shaped Nozzle for The Maximum Thrust (추력 극대화를 위한 벨형 노즐 설계)

  • Kim Min-Chul;Park Soon-Ho;Lee Gui-Hwan;Lee Cho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5.11a
    • /
    • pp.487-490
    • /
    • 2005
  • The thrust Control in Solid Propellant Rocket is incomparably limited than that in Liquid Propellant Rocket. Because it is fixed that section to relate a combustion, that is a natural result. The control of a thrust directions in a Solid Propellant Rocket is not efficient for the purpose of a Solid Propellant Rocket. But it is a problem to solve that a weight on board should increase through the maximization of the thrust in a Solid Propellant Rocket.

  • PDF

Design Of 2-Stage Rocket Using Hybrid Rocket Motor and Solid Rocket Motor (하이브리드로켓 모터 및 고체로켓 모터를 이용한 2단 로켓 설계)

  • Go, Su-Han;Kim, Yeong-Jin;Mun, Seong-Gyun;Byeon, Min-Uk;Yu, Ji-Seung;Kim, Ga-Ram;Kim, Min-Cheol;Park, Jong-Su;Mun, Hui-Jang;Kim, Jin-Gon
    • 한국항공운항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5a
    • /
    • pp.14-1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하이브리드로켓 모터와 고체로켓 모터를 이용하여 목표 고도 1km인 2단 로켓 설계를 수행하였다. 비행 시나리오는 총 비행시간 51.59초, 1단부 로켓 연소시간은 3초이며 연소 종료 후 3초 뒤 단 분리를 수행하여 2단부 로켓 점화가 이루어져 총 3초간 연소가 진행된다. 1단부 모터는 하이브리드로켓으로써 5port의 HDPE를 연료 그레인으로 사용하였고 $LN_2O$를 산화제로 사용하였다. 2단부 모터는 고체로켓으로 KNSB(Sorbitol/$KNO_3$)추진제를 사용하였다. 단 분리는 영전자석을 이용하여 분리하며 2단부 모터의 점화는 광학 센서와 니크롬선 점화방식을 이용하여 점화하도록 설계하였다. 비행하는 동안 AVR를 이용해 압력, 가속도, GPS 등의 자료를 수집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 PDF

A Study on Thrust Characteristics of a Small solid Rocket with Variation of Grain Configuration (소형 고체 로켓 추진제의 그레인의 형상 변화에 따른 추력 특성 연구)

  • Go, Tae-Sig;Sim, Jin-Ho;Yong, Seung-Juu;Lee, Byung-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8.05a
    • /
    • pp.349-352
    • /
    • 2008
  • This work is to observe combustion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variation of the solid propellent grain configuration. The LRE (Liquid Rocket Engine) enables adjusting the thrust by controling the required fuel mass glow, but the SRM(Solid Rocket Motor)is not easy to adjust th thrust due to the difficulty of th fuel flow control by its combustion behavior even its configuration is simple. This difficulty can be partly solved by changing th size or the configuration of the propellant grain. In this study a proper grain configuration of a small solid rocket is selected through both the theoretical design and the experimental tests.

  • PDF

Research of the Improvement of Solid Fuel Regression Rate in Swirl Hybrid Rocket (선회류 하이브리드 로켓에서 고체 연료 후퇴율 향상에 대한 연구)

  • Park Jong-Won;Lee Choong-Won;Ku Kun-Woo;Yoon My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6.05a
    • /
    • pp.233-238
    • /
    • 2006
  • Hybrid rocket had many advantage with compared to solid and liquid rockets. In this study, swirl flow hybrid motor was designed and manufactured. And the methods of regression rate improvement were considered. Thrust was calculated with pressure of the combustion chamber and the regression rate was measured by using ultrasonic sensor technique in entire firing conditions. In this study, PMMA fuel and HTPB solid fuel were used in firing test.

  • PDF

유도탄 고체 추진기관의 세계적 연구동향

  • Kim, Jong-Uk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9 s.163
    • /
    • pp.32-37
    • /
    • 1992
  • 선진국의 유도탄 고체 추진기관의 연구 개발 동향 파악은 우리의 유도탄 추진기관 연구개발의 좌표확인과 나아갈 방향을 설정하는데 대단히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유도탄에 사용되는 고체 추진기관에 대한 세계적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습니다 연구 동향은 추진시스템과 추진기관 부시스템 및 부품 2가지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습니다. 추진시스템은 기존의 로켓과는 다른 닥티드로켓/램젯, 펄스 모타등의 새로운 추진시스템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였으며, 기존 고체 로켓 모타부품의 연구개발 및 동향을 기술하였습니다

  • PDF

A Study for Enhanced Performance of Micro Solid Rocket (마이크로 고체 로켓의 성능 향상을 위한 연구)

  • Jung Sung-Chul;Lee Min-Jae;Kim Youn-Ho;Huh Hwan-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6.05a
    • /
    • pp.393-397
    • /
    • 2006
  • In this study,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solid propellants using sorbitol and potassium nitrate were found out. Burning rate was calculated with several combustion experiments, also specific impulse and characteristic exhaust velocity were compared with theoretical value. Thrust measured with thrust measurement system using plate spring. Mixture ratio of propellants was varied in experiments, also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solid propellants which consulted experimental results was used micro solid rocket design having 1mm nozzle throat.

  • PDF

Development of Internal Ballistics Analysis Code using HLLC (HLLC를 사용한 내탄도 해석 코드 개발)

  • Yang, Sungmin;Cha, Seung-Won;Lee, Kang-Kyu;Roh, Tae-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17.05a
    • /
    • pp.778-780
    • /
    • 2017
  • In order to calculate the performance of the solid rocket motor, the internal ballistics analysis code using HLLC scheme has been developed. The result of applying the analysis code to the actual motor shape has been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performance of the solid rocket motor has been well calculated.

  • PDF

Research about the cooling of a small size rocket nozzle (소형로켓 노즐의 냉각에 관한 연구)

  • Go, Tae-Sig;Shim, Ji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7.04a
    • /
    • pp.365-369
    • /
    • 2007
  • The solid rocket interacts circumscriptively in terms of is many more than liquid rocket. It is uncontrollable than liquid rocket because all part of combustion is decided such as Mixture ratio of propellant, burning time and area. However, production cost is cheap and because authoritativeness security can be easy and enlarge the early speed that follow thrust-to-weight ratio, it is used comprehensively by small size rocket. Considered about nozzle cooling to control phenomenon that burn by thermal conduction in interior wall of nozzle that follow in thrust increase of solid rocket and erosion phenomenon by combustion gas of high speed.

  • PDF

A Study on Improvement of Performance of Sorbitol Model Rocket (솔비톨을 이용한 모델로켓의 성능향상에 대한 연구)

  • Park, Ju-Hyun;Kim, Tae-Su;Sohn, Chae-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6.11a
    • /
    • pp.419-422
    • /
    • 2006
  • Improvement of performance of sorbitol model rocket was studied. The rocket designed in this work was compared with the rocket manufactured previously with respect to the shape of body, grain of rocket motor, motor case and recovery system. From this comparative work, it is found that mass ratio is required to be increased and the rocket was designed under safety regul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