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지도(古地圖)

검색결과 294건 처리시간 0.029초

국내 도서관·박물관 소장 고지도의 현황 및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Utilization of Old Map in Library and Museums in Korea)

  • 김지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97-125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고지도에 대한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 나아가 고지도를 이용한 서비스 및 정보제공 등 고지도의 효율적인 활용방안에 대하여 논의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하여 고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국내 기관의 정보검색시스템을 조사하고 해당 웹 사이트에서 고지도 자료 검색 및 정보 접근 방법을 탐색하였다. 이 외에 각 기관의 홈페이지와 도록 및 연구서, 간행물 등을 참고하여 국내 도서관 및 박물관의 고지도 소장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국 국·공립 및 대학 도서관과 박물관 등 76개 기관에 약 2,200여점의 고지도가 소장되어 있었다. 고지도 소장 각 기관에서는 영인본 간행, 전시회 및 도록, 목록 및 총서 등의 연구서 편집서의 간행 등 출판사업을 수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고지도의 희귀성, 유일본 등의 자료적 특성으로 원문 자료의 열람 및 이용이 제한적이다. 고지도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첫째, 고지도 정보서비스 접근성 향상 및 학술정보서비스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지역의 정체성을 반영한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자료로 고지도 활용을 제안한다. 셋째, 고지도 자료에 대한 지식과 인문학적 소양을 바탕으로 정보를 선별하여 제공하는 전문인력 양성이 필요하다.

고지도 계통 연구를 활용한 기술요소에 관한 연구 - 프랑스국립도서관 소장 「영연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scription Elements Using Genealogy Research of Old Maps: Focused on 「Yeongyeondo」 in National Library of France)

  • 유종연;정연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199-224
    • /
    • 2024
  • 해외 소장 한국 고지도는 자료의 물리적 접근이 어려운 점과 고지도의 추상성 등으로 인해 연구하는데 제약이 있다. 따라서 서지사항이나 기술요소에 좀 더 자세하고 전문적인 특성이 반영되어 이를 통해 고지도 연구에 도움이 되는 정보가 제공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한국고지도의 계통을 연구할 때 필요한 고지도의 요소를 해주신본 계통의 고지도를 바탕으로 분석하여 고지도 기술요소로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도출된 총 8개 영역의 56개 고지도 기술요소를 바탕으로 국내에 잘 알려지지 않은 해외 소재 주요 고지도인 프랑스국립도서관 소장 「영연도」에 적용한 후, 고지도 연구의 접근성과 활용성에 도움이 되는 고지도 기술요소 최종안을 제안하였다.

예천군지역의 역사적 변천과정 -고지도와 지리지의 비교분석

  • 이한방
    • 대한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리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요약집
    • /
    • pp.99-105
    • /
    • 2002
  • 변화의 속도가 느려서 장기지속적인 전체사의 바탕을 형성하고 있는 지리적 환경에 대한 적응결과로서의 지표경관을 도면상에 표현한 고지는 당시대인들의 세계관과 공간인식을 반영하고 있다. 인간을 둘러싼 지리적 환경은 장기적으로 벼하는 구조이다. 장기지속의 구조사는 지리지와 고지도에 잘 표현되어 있다. 지리지와 고지도에 대한 문헌조사와 현지야외답사를 통하여 경관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지역성과 한국전통지역사회의 원형을 파악하고자 한다. 기존의 연구자들에 의하여 정상기의 동국지도,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북방영토인식, 군현지도, 시대상의 복원과 지리환경 인식, 회화의 측면에서 본 고지도, 지명과 영토문제, 서양식 세계지도의 전래과정등의 연구주제들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기왕의 연구는 고지도에 대한 전체적인 현황 파악과 해제, 전체적인 유형 분류, 특정주제에 대한 고지도 이용 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고 구체적인 지역사회에 대하여 고지도를 통시대적으로 비교 분석한 연구는 드문 편이다. 사라져가고 있는 전통경관과 자연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은 촌락경관이 남아 있는 지역사회경관에 대한 고지도와 지리지를 활용한 연구가 시급하다. 고지도는 옛 지명, 산천, 도로, 역원, 행정구역, 역사적 위치의 파악과 문화경과 복원의 기초자료로서의 의미가 크므로 지역사회 단위의 연구가 필요하다. 19세기 말엽에 편찬된 읍지와 지도는 서양과 일본의 침략으로 변모되기 이전의 한국 각 지역의 모습을 추적하고 복원하는데 긴요한 역사적 자료이다. 현대 한국지역사회의 바탕을 이루고 있는 지난 400년간의 지역변화를 고지도와 지리지.읍지를 통하여 살펴봄으로써 변한 것과 변하지 않는 것을 분석하여 시대상의 복원과 지역사회의 정체성 확립에 일조하고자 한다.곡물의 여러 줄기가 합수하고 물이 역류하지 않으며 잘 감아도는 곳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명당의 기본적인 원리는 장풍(藏風)과 득수득파(得水得破)이다. 장풍과 득수란 '국'(局), 즉 산줄기와 수계로 이루어진 일정한 범위 속에 만물이 생태계 속에서 살아가는 모습인 '체형(體形)'의 의미가 나타나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의미는 시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면적의 52%를 점유하여 감자 재배지의 핵심지를 이룬다. 4. 한국 감자 재배지역 중심지의 지리적 특징은, 높은 산지지역의 산록완사면에 밭작물로 재배된다는 점과 교통이 불편한 지역으로서 도시화와 산업화 지역의 그늘 지역이 대부분이다. 강원도의 감자 재배지는 감자재배에 적합한 자연환경과 화전농업의 전통, 감자 재배기술의 전파,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지원하는 각종 연구소 분포와 영농지도, 씨감자 생산과 협동조합의 판로 개척, 도로 개설과 포장 등의 인문지리적 요인이 영농조건을 개선하고 감자 판매를 위한 시장접근을 용이하게 하여, 남한 최대의 감자 재배지역을 형성하였다. 제주도는 산지지형과 따뜻한 기온으로 2기작이 가능하고, 감자가공 공장설립과 교통발달에 따른 육지 시장과의 접근이 용이해졌기 때문에 남한에서 2번째로 큰 감자재배지역이 되었다.(요약 및 결론에서 발췌)그람양성균에서 효과적이었으며, 농도별 항균력시험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례하여 저해율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첨가농도를 달리하여 미생물의 생육도를 측정한 결과, fraction II磎꼭\ulcorner경우 그람양성균에 대해 500 ppm 이상에서 뚜렷한 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서 뚜렷한 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min/+}$계 수컷 이형접합체 형질전환 마우스에 AIN-76A 정제사료만을 투

  • PDF

기하학적 변환에 의한 한반도 고지도의 전체 영역 평가 기법 (Evaluation Method for Entire Region of Antique Korean Peninsula Maps Using Geometrical Transformation)

  • 이대호;오일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211-218
    • /
    • 2011
  • 한반도 고지도들은 많은 역사적 의미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것을 분석하여 역사적인 사실들을 추정할 수 있다. 하지만, 고지도는 국부적인 영역들을 결합하여 전체적인 영토를 표현하기 때문에, 현재의 지도와 직접적으로 비교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평가할 대상 고지도를 기준 지도의 특성에 맞게 회전, 크기 변환 및 위치이동을 수행하여 쉽게 영역을 비교할 수 있도록 변환한다. 한반도 영역의 주축을 계산하여 기준 지도의 주축의 차이만큼 회전하고, 외곽 사각형의 비율을 이용하여 비대칭적으로 폭과 높이의 크기를 수정한다. 마지막으로 영역의 중심을 일치하여 두 영역을 겹치고, 두 가지 유사도 수식을 이용하여 고지도를 평가한다. 실험 결과에서 영역 비율과 휘어짐 각도차의 유사도가 현대에 가까워지면서 유사도가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제안하는 기법은 한반도의 고지도를 사료로 분석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고지도를 이용한 웹기반 정보검색시스템 구축 방안 -경희대학교 혜정박물관 사례를 중심으로- (Construction of Web-Based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Using Old Maps :Focusing on Kyung Hee University Hyejung Museum)

  • 오일환;이승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56-64
    • /
    • 2011
  • 고지도는 인문학적 자료이면서 과학성을 가진 정보기록의 문화유산이다. 그러나 고지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웹기반 정보 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고지도를 소장하고 있는 주요기관의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고지도 자료의 정보현황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통일화된 지도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웹기반 정보시스템 구축방안을 모색하였다. 고지도에 대한 정보체계의 구축은 자료의 다양성과 복잡성으로 인하여 분류항목과 정보검색체계의 표준화가 쉽지 않아서 공학적 정보관리의 중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이에 고지도 자료의 인문학적 정보를 전산화하고 체계화하려는 시도와 융합적 통찰은 매우 중요하고 필요하다. 이 연구는 고지도 자료에 대한 인문학적 정보를 전산화 기술과의 융합으로 인문학과 공학이 복합적인 학문으로 발전하는 계기를 제공하는데 연구 의의가 있다.

부산 동래부 대축척 고지도의 유형 연구

  • 김기혁;윤용출;배미애;정암
    • 대한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리학회 2003년도 추계학회술표회 논문집
    • /
    • pp.176-181
    • /
    • 2003
  • ≪대동여지도≫로 대표되는 우리나라 고지도에 대한 연구는 1990년대 이후 문화의 정체성을 찾고자 하는 노력에 힘입어 자료가 수집, 체계화되면서 본격화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는 규장각이나 박물관, 개인 소장자료를 집성하고 체계화하는 작업이 주로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는 제작방법, 배경 등을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다. 1990년대부터 고지도는 기존의 지도학적인 연구에서 벗어나 지역단위로 연구되기 시작하였다. (중략)

  • PDF

고지도를 활용한 도시관광 콘텐츠 개발 방안 (Contents Development of Urban Tourism Using Old Maps)

  • 최지연;이익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0호
    • /
    • pp.274-282
    • /
    • 2007
  • 현대에 있어서 도시의 역할과 기능은 점증하고 있으며 관광현상에서도 도시관광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져가고 있다. 그러나 관광학 분야에서 도시관광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하였으며, 특히 콘텐츠 개발에 있어서도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도시관광에 대한 체계적 연구와 도시관광자원 개발을 위한 전략적 차원의 콘텐츠 개발을 통하여 동북아관광시장에서의 경쟁력 제고가 요구된다. 특히 도시의 다양한 콘텐츠들을 좀 더 쾌적하고 매력있는 관광자원으로 개발시키고, 기존의 역사성과 지역성 등을 활용한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고지도는 역사시대의 공간현상을 전해주는 귀중한 시각자료이며 제작 당시의 사회적 인식을 가늠해볼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해 준다. 이러한 차원에서 고지도는 우리 국토의 옛 모습을 종합적으로 살필 수 있으며, 각 지역의 지역성과 역사성 등을 이해하는 학문적 접근의 기초자료로 활용가능하다. 따라서 고지도상에 나타난 사상(事象)을 현실화하여 차별화된 도시관광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한 고지도활용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한국 고지도에 표현된 백두산 동류 수계 (Baekdu Mountain's East Flowing Streams on the Old Map of Korea)

  • 문상명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59-281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고지도에 표현된 쟁점이 되는 백두산 동류 하천인 토문강 분계강 두만강 하천 유로의 분석을 통해 고지도에 나타난 북방영역 인식, 토문강 두만강의 1강설과 2강설, 분계강의 의미에 대하여 연구하는 것이다. 백두산 영역권과 만주를 포함하고 있는 한국의 고지도 248점 가운데 백두산이 그려져 있지 않은 지도를 제외한 160점의 고지도를 유형화하여 연구의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고지도에서 백두산 북동부 유로는 다양하게 나타나며, 토문강과 두만강 2강설은 대체로 확대된 북방영역 인식을 표출하고, 1강설을 나타내는 지도 중에는 분계강을 속평강과 같은 강으로 표현하여 확대된 북방영역 인식을 표출하기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런데 1강설의 지도가운데 분계강의 의미가 현재 지명의 해란하인 경우, 지도에는 확대된 영토인식이 나타나지 않고 현재 한반도와 중국의 국경선과 일치되는 국경인식이 나타난다. 고지도에서 분계강은 첫째, 속평강과 같은 강으로 확대된 영토인식이 나타나며 둘째, 토문강과 같은 강으로 토문강의 하류이다. 셋째, 현재 지명의 해란하를 표현하고 넷째, 단순히 분계를 나타내는 강을 의미한다.

  • PDF

독도 관련 고지도의 기술요소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escription Elements of the Old Maps of Dokdo)

  • 유종연;정연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63-192
    • /
    • 2020
  • 독도 관련 고지도는 지도로서의 물리적 특수성과 고문헌으로서의 역사적 의미, 증거적 가치를 가지는 기록물로서 이를 보존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일반 기록물보다는 세밀하고 의미 있는 기술이 필요하나 높은 관심에 비해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기술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증거적 가치가 있는 독도 관련 고지도의 특성이 반영된 기술요소를 제안하였다. 우선 문헌 연구를 통해 독도 관련 고지도를 정의하고 그 특성을 알아보았으며, 국제기록기술표준(General International Standard Archival Description, ISAD(G))의 7개의 영역을 기준으로 12개의 기관사례조사를 비교분석하였다. 그리고 ISAD(G)에 적용 가능한 공통영역과 ISAD(G)에 없는 특수영역으로 나누어 기술요소안을 도출한 후, 고지도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여 최종 기술요소로 식별영역, 배경영역, 내용과 구조영역, 접근과 이용조건영역, 연관자료영역, 주기영역, 기술통제영역, 기타영역 등 총 8개의 영역과 50개의 기술요소를 제안하였다.

고지도에 관한 연구자료

  • 형기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1권
    • /
    • pp.97-109
    • /
    • 1963
  • 20세기전반의 지리학은 고도로 분화되고 그 응용면에 있어서도 상당한 노력을 가하고 있다. 따라서 그 연구방법도 다채로운 자료를 시사함은 물론이다. 지리학사에 관심을 갖다보니 한국에 관한 고지도의 자료수집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들은 그 수에 있어서나 그 종류에 있어서 실로 헤아릴수 없을 정도이며 그 부분이 사장된채 남아있음을 알게되었다. 아직 완성을 보지 못한 연구의 일단면이지만 관심있는 학도들을 위해서 각종자료를 찾아보기 쉽게 제공하기로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