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동래부 대축척 고지도의 유형 연구

  • Published : 2003.11.01

Abstract

≪대동여지도≫로 대표되는 우리나라 고지도에 대한 연구는 1990년대 이후 문화의 정체성을 찾고자 하는 노력에 힘입어 자료가 수집, 체계화되면서 본격화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는 규장각이나 박물관, 개인 소장자료를 집성하고 체계화하는 작업이 주로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는 제작방법, 배경 등을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다. 1990년대부터 고지도는 기존의 지도학적인 연구에서 벗어나 지역단위로 연구되기 시작하였다. (중략)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