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장극복

Search Result 89,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New Hardening Technique Against Radiation Faults in Asynchronous Digital Circuits Using Double Modular Redundancy (이중화 구조를 이용한 비동기 디지털 시스템의 방사선 고장 극복)

  • Kwak, Seong Woo;Yang, Jung-Min
    • Journal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 /
    • v.20 no.6
    • /
    • pp.625-630
    • /
    • 2014
  • Asynchronous digital circuits working in military and space environments are often subject to the adverse effects of radiation faul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hardening technique against radiation faults. The considered digital system has the structure of DMR (Double Modular Redundancy), in which two sub-systems conduct the same work simultaneously. Based on the output feedback, the proposed scheme diagnoses occurrences of radiation faults and realizes immediate recovery to the normal behavior by overriding parts of memory bits of the faulty sub-system. As a case study, the proposed control scheme is applied to an asynchronous dual ring counter implemented in VHDL code.

Failure Data Error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One-Shot Weapon System and its Solution (일회성 무기체계 특성에 따른 고장 데이터의 오차 및 극복방안)

  • Choi, Yunsuk;Ma, Jungm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Military Science and Technology
    • /
    • v.21 no.5
    • /
    • pp.599-606
    • /
    • 2018
  • Failure data of systems in many field can be erroneous, which influences the reliability analysis of the systems. The general form of failure data is right censored data with accurate time information. But due to its nature of data collection in the military field, failure time of one-shot weapon systems can have errors which are related to the maintenance period. So this paper suggests a model that can reduce the error by utilizing interval censored data as an alternative to right censored data in weibull distribution.

A Design of restroom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using Arduino (아두이노를 이용한 화장실 모니터링 및 관리 시스템의 설계)

  • Kim, Sangwon;Kim, Eunsol;Choi, Hyejeong;An, Donghy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185-1186
    • /
    • 2017
  • 본 논문은 현실적인 화장실 관리의 한계점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아두이노를 이용한 화장실 모니터링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특히 관광지의 경우 우리나라를 찾는 관광객들이 늘어가지만 정작 이를 위한 기본적인 시설관리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관광지의 화장실은 위생과 청결이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하지만 관리원이 매번 확인하고 관리를 하더라도 이용객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실질적인 관리에 한계가 발생한다. 또한 시설의 고장이 방치되어 장기간 사용하지 못해 더 큰 불편을 초래할 수도 있기 때문에 즉각적인 대처가 필요하다. 따라서 관리원의 노력을 최소화 하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스마트폰과 센서를 활용해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화장실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관리의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화장실을 관리할 수 있다.

Reliability Enhancement Scheme of IEC61850 Substation Automation System (IEC61850기반 변전소 자동화 시스템의 신뢰도 향상 방안)

  • Lee, Dong-Wook;Jin, Yong-Woo;Lim, Seong-Il;Lee, Seung-Ja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11b
    • /
    • pp.70-72
    • /
    • 2005
  • 변전소 내 IED의 신뢰도는 전력계통 운용과 보호에 매우 중요한 주제가 되었다. 또한, 서로 다른 회사에서 제작된 다른 기술을 이용한 IED들을 사용할 경우 신뢰도 유지에 힘든 것이 사실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변전소 자동화의 구조 및 충신을 정의한 IEC61850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IEC61850기반의 변전소 자동화 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신뢰도 향상 기법에 대해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패턴 검사를 통해 IED의 고장을 검출하고, 백업 IED와 소프트웨어 이동을 이용하여 결함을 극복하는 것이다.

  • PDF

Review of Testing Technologies in ATM Network (ATM 통신망 시험 기술동향)

  • Jang, D.W.;Jang, W.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4 no.1 s.55
    • /
    • pp.36-52
    • /
    • 1999
  • 본 고에서는 ATM 통신망에서 시험의 필요성, 종류 및 방법 그리고 시험 시스템의 기능 등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ATM은 보다 높은 속도를 제공하고 통신망의 QoS(Quality of Service)를 제어하며 보다 효율적으로 통신망 자원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서비스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신뢰성이 필요한데 큰 용량과 복잡한 특성을 갖는 ATM 통신망은 서비스 열화와 고장에 매우 민감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이 ATM 구성요소와 시스템 수준에서 엄격하고 표준화된 시험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본 고에서는 여러 국제 표준화 기관에서 ATM 통신망에 대한 시험의 표준화 동향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또한 표준화된 시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서 시험 수행방법과 통신망 및 시험 시스템에 대한 문제점을 기술하였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시험 자동화, 효율적인 시험 방법 등에 대해서도 기술하였다. 또한 ATM 통신망 시험에서 많이 사용되는 시험 시스템의 기능을 분류하고 시험실 수준의 테스트베드(testbed) 구축방법을 제안하였다.

A Testing on Robustness of Embedded Software Based on Software-in-the-Loop Simulation (Software-in-the-Loop 시뮬레이션 기반의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의 견고성 테스팅)

  • Jeong, Sooyong;Baek, Tae-San;Hwang, Bueng Il;Lee, Woo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7a
    • /
    • pp.5-8
    • /
    • 2015
  • 소프트웨어의 작동 중에 중대한 고장 없이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성질은 견고성이라 불리며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에서 중요하게 여겨진다. 본 논문에서는 개발 중인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의 견고성을 조기에 검증하기 위하여, 실물 시스템을 이용한 테스트가 갖는 물리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Software-in-the-Loop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개발 중인 PC에 견고성 테스팅 환경을 갖추는 방법을 제시한다. 제시한 방법은 소프트웨어의 견고성을 표현할 수 있게끔 만드는 테스트 케이스를 생성하고, 가상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성하여 테스트 케이스를 실행함으로써 소프트웨어의 견고성을 객관적인 수치의 형태로 나타내는 방법을 보인다.

  • PDF

The analysis of field condition for partial discharge using portable GIS diagnosis system (휴대용 GIS 진단장치를 이용한 부분방전 현장조사결과 분석)

  • Jeong, Jae-Ki;Yoon, Si-Young;Kang, Chang-Ik;Jin, Young-E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4b
    • /
    • pp.128-130
    • /
    • 2007
  • GIS를 포함한 전력기기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절연체 내부에서 부분방전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필요가 있다. GIS 내부에서 발생하는 부분방전은 사전에 진단하여 예방을 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방치할 경우 대형사고로 이어질 확률이 매우 크다. 현재까지는 대부분의 GIS 진단장비가 외국제품이라 국내실정에 맞지 않고 가격이 비싸며 고장 시 유지보수가 힘들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본 연구내용에서는 손쉽게 부분방전을 판단할 수 있도록 저가형, 휴대형으로 개발한 GIS 진단장비에 대해 설명하고 GIS 현장에 실제 적용하여 실측한 부분방전에 대한 자료와 변전소의 부분방전 발생형태를 조사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 PDF

Development of generator excitation system with main/standby controller in Inchun thermal power plant #4 (인천화력 4호기 발전기용 주/부 제어기를 갖는 정지형 여자시스템 개발)

  • 류호선;김수열;김장목;임익헌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4 no.6
    • /
    • pp.507-514
    • /
    • 1999
  • 한국전력에서는 인천화력 4호기 수명연장의 일환으로 여자시스템 교체가 이루어졌다. 기존의 회전형 여자 시스템은 발전기축에 부여자기와 교류여자기가 부착되어 회전하는 형태로 과거 스위칭소자 용량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설계된 시스템으로 전력연구원에는 회전형 여자시스템을 새롭게 개발된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하이브리드 제어기와 대용량 사이리스터 제어정류기를 가지고 잇는 정지형 이중화 여자시스템으로 교체하였다. 설비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정지형 여자시스템의 상태를 순시 감시하기 위한 데이터 취득 시스템이 설치 되었고 위상제어정류기는 운전시 1대가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발전기의 전부하 능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3대가 병렬로 운전되는 N+1 방식을 채택하였다. 시스템의 신뢰성 시험은 성능평가를 위한 시운전시에 검증되었으며 성공적으로 운전중에 있다.

  • PDF

그룹항법시스템의 경로 추종 및 타각 제어 알고리즘 개발

  • 최원진;전승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347-348
    • /
    • 2022
  • 자율운항선박 도입에 관한 논의가 국제해사기구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됨에 따라 자율운항선박 관련 기술개발이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통신, 보안, 고장진단, 유지보수 등의 기술개발이 아직 미흡하여, 자율운항선박의 상용화까지는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기술들은 문제가 발생할 경우 선박에 막대한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특히, 연안을 항해하는 선박보다는 대양을 항해하는 선박에 더 치명적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양항해 시 자율운항선박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여러 척의 선박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항해하는 그룹항법시스템을 제안한다. 하나의 그룹은 한 척의 유인선박인 리더선박과 여러 척의 무인선박인 추종선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항해하는 동안 일직선 형태를 유지한다. 리더선박은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미리 설정된 변침점을 따라 항해하며, 추종선박은 리더선박의 경로를 추종하여 항해한다. 선박의 침로를 제어하기 위한 타각 제어기는 선박에서 주로 사용되는 PD 제어기를 구현하여 사용하였다. 그룹항법시스템을 검증하기 위해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에서 공개한 KVLCC2의 축소 모형인 L-7 모델을 사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 PDF

Prioritizing for Failure Modes of Dynamic Positioning System Using Fuzzy-FMEA (Fuzzy-FMEA를 이용한 동적위치제어 시스템의 고장유형 우선순위 도출)

  • Baek, Gyeongdong;Kim, Sungshin;Cheon, Seongpyo;Suh, Heungwon;Lee, Daehy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25 no.2
    • /
    • pp.174-179
    • /
    • 2015
  • 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FMEA) has been used by Dynamic Positioning (DP) system for risk and reliability analysis.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associated with its implementation in offshore project. 1) since the failure data measured from the SCADA system is missing or unreliable, assessments of Severity, Occurrence, Detection are based on expert's knowledge; 2) it is not easy for experts to precisely evaluate the three risk factors. The risk factors are often expressed in a linguistic way. 3) the relative importance among three risk factors are rarely even considered. To solve these problems and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traditional FMEA, we suggest a Fuzzy-FMEA method for risk and failure mode analysis in Dynamic Positioning System of offshore. The information gathered from DP FMEA report and DP FMEA Proving Trials is expressed using fuzzy linguistic terms. The proposed method is applied to an offshore Dynamic Positioning system,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raditional FM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