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유수용감각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27초

그룹감각통합치료가 아동의 놀이와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roup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for Play Skill and Social Interaction)

  • 홍은경;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3-25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감각처리장애아동에서 그룹 감각통합치료의 적용 후에 놀이와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실험대상은 B지역에 거주하는 3-7세의 감각통합장애가 있는 아동 3명이었다. 평가는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 전과 후에 감각처리능력과 놀이 기술, 그리고 또래와의 상호작용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모를 통해 감각처리능력의 Sensory Profile과 또래와의 상호작용의 사회성숙도 검사를 하였고, 관찰을 통해 놀이 기술의 The Test of Playfulness와 또래와의 상호작용의 Peer Social Interactions Rating Scale을 평가하였다.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 회기 동안에는 Goal Attainment Scale를 통해 감각처리능력과 놀이 기술, 그리고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평가하였다.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은 촉각, 전정감각, 고유수용성감각을 위주로 하여 구성하였고, 4주간 총 12회기 실시되었다. 연구결과는 SPSS/WIN 버전10.0과 엑셀을 사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결과: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에 놀이기술과 또래와의 상호작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 동안 평가한 GAS의 결과, 놀이기술과 감각처리에서 점차 향상된 모습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이 감각통합장애아동에서 놀이기술과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명확하게 결론짓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대상의 수와 실험기간을 늘려 치료를 적용한다면, 더 긍정적인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 PDF

발목관절 근력과 관절위치감각, 그리고 균형능력에 미치는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 중재와 테이핑 중재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Effects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nd Taping Interventions on Balance Ability, Joint Position Sense, and Ankle Joint Strength)

  • 김좌준;박세연
    • PNF and Movement
    • /
    • 제16권1호
    • /
    • pp.51-58
    • /
    • 2018
  • Purpos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and taping interventions on balance ability, joint position sense, and ankle joint strength. Methods: Thirty subjects who had experienced an ankle sprain within the previous 3 month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 PNF group (n=15) or a taping group (n=15).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s, ankle dorsi-flexion and plantar-flexion strength, joint position error, and total center of pressure movements in one leg while in a standing position were measured. Results: Regardless of the group allocation, ankle dorsi-flexion and plantar-flexion strength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interventions (p<0.05). Compared to preintervention measurements, joint position errors were significantly reduced postintervention (p<0.05). The PNF intervention significantly decreased the total lateral movement of the center of pressure in the one leg standing condition (p<0.05). Conclusion: Both PNF and taping interventions improved joint position sense and ankle joint strength. In common with the findings of a previous study, the PNF intervention improved balance ability.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ous PNF and taping interventions on ankle performance in subjects with chronic ankle sprains.

발바닥굽힘근 근피로가 발목관절 고유수용성 감각을 감소시키는가? (Does Plantar-Flexor Muscle Fatigue Degrade Proprioceptive Sense at the Ankle Joint?)

  • 한진태
    • PNF and Movement
    • /
    • 제17권3호
    • /
    • pp.463-469
    • /
    • 2019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plantar-flexor muscle fatigue on the force sense and joint reposition sense of ankle joints in the healthy adults. Methods: Fifteen healthy subjects (male: 9, female: 6)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digital dynamometer was used to measure the force sense error while a wireless motion capture device was used to measure the joint reposition sense error. To induce plantar-flexor muscle fatigue for a dominant lower extremity, the subjects were asked to perform plantar flexion until exhaustion while barefoot. The differences in force sense error and joint reposition sense error for the ankle joint were measured immediately. The Wilcoxon test was used to compare these values before and after inducing plantar-flexor muscle fatigue. Results: The force sense error and joint reposition sense error of ankle joints after inducing plantar-flexor muscle fatigue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values before inducing muscle fatigue.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plantar-flexor muscle fatigue could degrade the force sense and joint reposition sense in ankle joints. In addition, it could deteriorate ankle proprioception.

고유수용성감각 운동프로그램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 수행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Proprioceptive Exercise Program on Balance Performance in Hemiplegic Patients)

  • 김희권
    • PNF and Movement
    • /
    • 제11권1호
    • /
    • pp.7-16
    • /
    • 2013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proprioceptive exercise program on balance performance in order to the suggest hemiplegic patients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Methods : In this study, Proprioceptive exercise program was applied to 11 hemiplegic patients for 6 weeks as follows: First of all, hemi leg flexion-extension pattern was applied in a supine position. Secondly, alternated leg flexion pattern was applied in a standing posture with one hand support on the unstable platform. Thirdly, rhythmic stabilization techniques were applied in a standing posture on the unstable platform. Results :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the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 for VAS, BBS. Chronic low back pain patient improved all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After interven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the dynamic balance (FSST, TUG, FRT) performance(p<.05). 2. After intervention, there was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the static balance (FICSIT-4) performance(p<.05). Conclusion : The result of the study suggests that muscle strength exercise by the intervention of proprioceptive exercise program improves the hemiplegic patients' static and dynamic balance performance.

고유수용성감각 촉진을 위한 나선형 테이핑 방법이 근육 경도 변화에 미치는 즉각적인 효과 (Immediate Effect of the Proprioceptive Spiral Taping Method on Changes in Muscle Stiffness)

  • 양재만
    • PNF and Movement
    • /
    • 제20권3호
    • /
    • pp.321-329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immediate effect on the change in muscle stiffness in the common extensor muscle (CEM) when using the spiral taping method to promote proprioception. Methods: There were 18 participants in this study. CEM stiffness was measured using a MyotonePRO device with the subject in a sitting position and according to the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arm pattern. Elastic tape was used as the material for the three taping methods employed in the study: kinesiotaping (KT), right spiral taping (RST), and left spiral taping (LST). The taping methods were applied to the wrist extensor muscle with elongation position. Additionally, when performing PNF arm patterns, spiral taping in diagonal and spiral directions was used to promote CEM proprioceptors. The change in CEM stiffness was compared with the initial data value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obtained by comparing and measuring changes in CEM stiffness using three different tapings. It was found that the stiffness change of the CEM was significant compared to the initial value, and the increase in stiffness of the CEM after RST application was also significant.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by affecting the strength and activation of the extensor muscle, taping performed through the RST method had the most positive effect on the change in CEM stiffness.

만성 뇌졸중 환자의 감각기능과 상지기능에 따른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 (The Influence of Sensory and Upper limb function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Patients with Chronic Cerebrovascular Accident)

  • 송원일;차태현;우희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731-5740
    • /
    • 2011
  • 본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에서 감각기능이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서 추후 감각기능 재활의 기초적 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뇌졸중으로 진단 받은 후 6개월이 경과된 환자로 작업치료를 받고 있는 138명이었으며, 우측편마비 환자가 45명(33%), 좌측편마비 환자가 93명(67%) 이었다. 만성뇌졸중 환자들의 감각기능, 운동기능,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검사하여 수집한 값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우측편마비 환자에서 환측(우측)의 서화지각과 고유수용성 감각은 개인위생기능과 유의한 상관관계, 좌측편마비 환자군에서는 건측 상지의 기능은 여러 일상생활활동 수행영역과 의미 있는 상관관계, 좌 우측 편마비 환자군 모두에서 건측 상지의 운동 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감각조절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에 무게감 있는 조끼 착용이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 Weighted Vest in Behavioral Problem for the Sensory Modulation Disorder)

  • 한미애;김지연;장기연;박미진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3
    • /
    • 2010
  • 목적 : 본 연구는 주변 환경에 민감하고 감정기복이 심한 감각조절장애 아동에게 무게감 있는 조끼 착용을 통한 고유수용성 감각을 제공하여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 : 연구 대상자는 일반초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만 7세 남아로 연구설계는 ABA'단일사례연구를 사용하였고, 14회기 실험을 실시하였다. 중재기간(B)동안 1.3kg의 무게를 첨부한 조끼를 착용하고 학습인지교육을 받았다. 결과 : 치료회기가 진행될수록 의자에서 엉덩이를 떼고 일어나거나 몸을 앞/뒤, 좌/우로 흔드는 경우 및 엄지손가락 을 입에 넣기, 손등 입으로 가져가기, 손장난하기 등 행동적 측면에서의 문제행동은 점차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 연구결과 무게감 있는 조끼를 착용한 후 아동의 문제행동이 회기가 지날수록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다. 무게감 있는 조끼가 감각조절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감각통합치료의 효과 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데 본 연구설계 및 중재기간상 제한점이 있어서, 무게감 있는 조끼가 감각조절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주었다기 보다는 감각통합치료를 지속적으로 실시한 결과로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연구설계의 변형이나 연구회기의 증가를 통해 무게감 있는 조끼가 감각통합치료의 효과를 지속하는지에 대해 명확히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고, 감각조절장애 아동에게 무게감 있는 조끼를 착용시키는 것에 대한 적용방법, 무게, 적용시간에 대한 효율적인 프로토콜을 제시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전신진동 자극 훈련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고유수용감각 및 촉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hole Body Vibration Training on Proprioception and Tactile in Spastic Cerebral Palsy)

  • 윤혜령;이은주
    • PNF and Movement
    • /
    • 제20권1호
    • /
    • pp.103-113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hole-body vibration stimulation on proprioception and tactile in patients with spastic cerebral palsy.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9 children diagnosed with spastic cerebral palsy. Of the single case study methods, the ABAB design was employed in this study. Out of a 12-week study period, three weeks were allocated to each of two baseline periods and two intervention periods. The exercise was performed twice a week for 30 minutes. A general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was performed during the baseline period and a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accompanied with whole-body vibration was performed during the intervention period. Evaluation was performed five times in total: before the experiment, after baseline 1, after intervention 1, after baseline 2, and after intervention 2.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exercise method, a skin sensory evaluation tool (monofilament kit) and a trunk proprioception sensor (digital dual inclinometer) were used.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exercises at baseline and after intervention, an analysis of variance on repeated measures (repeated ANOVA)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from baseline in the means of proprioception and tactile during the intervention period with whole-body vibration (p <.05). Conclusion: Whole-body vibration can be proposed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 for improving the proprioception and tactile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and this exercise method is expected to be actively used in clinical practice.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일차 체성 감각 피질을 자극한 경두개 직류 전류 자극이 라이프 케어 증진을 위한 체성감각과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ver the Primary Somatosensory Cortex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on Somatosensory and Upper Limb Function for Improving Life Care)

  • 김선호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69-27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감각 결손이 있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경 두개 직류 전류 자극을 체성감각피질에 적용했을 때, 감각의 회복과 상지 기능의 회복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만성 뇌졸중 환자 20명을 실험군 10명, 대조군 10명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실험군은 환측 체성감각피질에 경 두개 직류 전류 자극을 적용하였으며, 대조군은 위상 자극을 실시하였다. 중재는 총 2주간, 10회, 회기 당 20분씩 진행되었다. 체성감각 평가는 The Erasmus MC modifications to the (revised) Nottingham Sensory Assessment(EmNSA), Semmes-Weinstein monofilament examination(SWME), 상지기능 평가는 퍼글마이어평가(FMA), 운동 활동 척도(MAL), 가속도계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전체적인 촉각 감각과 고유수용성 감각, 피질 감각, 지각의 민감도에서 유의한 개선을 보였으며, 환측 상지의 사용량에서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체성감각 회복과 상지기능의 회복을 위한 tDCS의 효과적인 임상 적용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감각통합치료가 뇌성마비 아동의 자기조절 행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on the Self-regulation Capacitie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 주진옥;이혜림;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5-28
    • /
    • 2011
  • 목적 :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에게 감각통합치료를 적용한 후 자기조절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P시에 거주하는 4세의 여아와 6세의 남아로 양하지 뇌성마비로 진단받았다. 본 연구는 단일대상 연구 중 ABA'를 사용하였고, 자기조절 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문제 행동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한 후 자유놀이와 중재 후 디지털 카메라로 10분간 녹화하여 문제 행동이 발생할 때마다 체크하여 총발생빈도를 분석하였다. 실험과정은 2010년 12월 1일부터 2011년 2월 26일까지 약 12주가 총 22회기를 실시하였다. 기초선 기간(A) 6회, 중재 기간(B) 14회, 유지 기간(A') 2회로 총 22회기를 실시하였다. 기초선 기간과 유지 기간은 감각통합치료를 하지 않았으며, 중재 기간에는 전정 및 고유수용성 감각처리를 중심으로 한 감각통합치료를 30분간 실시하였다. 결과 : 아동의 자기조절 행동 3개의 빈도수가 기초선 기간과 비교하여 중재기간에 대부분 2표준편차 이상으로 감소되었으며 유지기간에도 유지되었다. 결론 : 자기조절 행동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평가한 행동 빈도수의 총 평균이 감소되었으며 감각통합치료가 뇌성마비아동의 자기조절 행동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