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용 불안

Search Result 125,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The effects of latent classes in social exclusion on the economic instability of old age (사회적 배제 잠재유형이 노후의 경제적 불안에 미치는 영향: 주관적 계층의식의 조절효과)

  • Kim, Soo Jin;Kim, Ju Hyun;Ju, Kyong Hee
    • 한국노년학
    • /
    • v.40 no.1
    • /
    • pp.33-49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latent classes in social exclusion and to analyse empirically the effects on the economic instability of old age by this type. And it also sought to look at whether the influence of old age anxiety varies with the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of the elderly. Using the 14th data from the Korea General Social Survey (KGSS) in 2016, 1,041 adult males and females aged 18 years old were analyzed at the time of the survey. T-test, potential layer analysis (LCA), and multinomantic analysis of potential groups were conducted using the STATA14 and MPLUS 7 statistical programs. Finally, multi-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moderate effect and effects among variables.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types of social exclusion were three groups, followed by social exclusion group (49.3%), Multi-dimensional exclusion group (30.9%), and active social participation group (19.7%). The social exclusion group has the lowest possibility of economic, employment, and health exclusion, but the exclusion of formal and informal social activities seem to prominent, and the multi-dimensional exclusion group is more than 50% likely to experience exclusion in all areas. Active social participation are characterized by very active participation in informal social activities. By conducting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it was observed that the social exclusion group included more young people than other groups, and that the multi-dimensional exclusion group included many elderly women without spouses. Final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ocial exclusion type interacts with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and affects economic anxiety of old age.

폐업기업 대표의 불안과 우울 및 회복탄력성이 삶의 질과 재창업 의지에 미치는 영향

  • Jeong, Geum-Jong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04a
    • /
    • pp.45-49
    • /
    • 2019
  • 매년 수많은 기업이 폐업하고 있으며 그 숫자만큼 폐업 기업의 대표가 실패하고 있다. 중소기업연구원의 재기성공요인 분석을 통한 중소 벤처기업의 재도전 활성화 연구(백필규,2011)에 의하면 폐업이나 부도의 형태로 실패하는 기업이 급격하게 증가한 시점은 외환위기가 발생했던 1997년과 1998년의 사이로 보고 있다. 부도 기업의 숫자가 외환위기때는 약 4만사, 1999년부터 2010년까지도 평균 4만 7천여사가 발생하였고 폐업기업수는 부도기업보다 훨씬 많아 매년 80~90만개 전후의 기업이 실패하고 있다. 최근 IBK경제연구소의 실패기업인의 재창업 지원제도 설문조사 결과(김나라,2017)에 의하면 최근 5년간 창업기업은 연평균 77만개사, 폐업기업은 69만개사로 조사되었으며 창업기업의 5년 생존율은 27.3%로 OECD 주요회원국 17개국중 최하위를 차지했다. 오랜시간 대한민국 사회는 사업실패는 곧 패가망신이라는 인식이 깊게 자리잡고 있다. 연대보증이나 재기가 어려운 구조로 인하여 폐업기업의 대표가 실패하면 가족들도 모두 힘들어지고 본인은 경제적, 심리적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는 현실이다. 정부와 민간 기관들이 실패기업인들의 재기를 지원하기 위하여 다양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지만 아직 시행 초기 단계라 보다 재기를 원하는 기업인들에게 맞춤형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시스템이 구축되었다 할 수 없다. 창업강국인 미국과 중국의 기업가들은 평균 2.8회의 실패 경험을 가지고 있으나 한국의 기업가는 1.3회의 실패 경험을 보유 한다.(중기청, 2014) 폐업기업 대표의 재무적 손실의 규모와 관계없이 불안과 우울이 낮고 회복탄력성이 높은 기업가가 본인과 가족의 삶의 질과 재창업의지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은 재기중소기업개발원의 재기 기업인과 정부 재창업 지원 프로그램에 지원한 재기 기업인을 대상으로 조사 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해 폐업기업 대표에게 필요한 사회적 안전장치와 국가의 창업지원이 고용창출, 매출증가로 이어질 수 있는 선순환 구조의 재기 창업 생태계를 만드는 데 일조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Small-medium Sized Freight Forwarders' Entry of UNPM(United Nations Procurement Marketplace)-Freight Forwarder & Delivery Service (중소 국제물류주선업체의 유엔조달시장-물류 서비스 부분 진출방안 연구)

  • Shin, Seok-Hyun;Gwak, Gyu-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233-234
    • /
    • 2012
  • Local freight forwarders circles is suffering financially and insecure employment from over competition which caused by a saturated local logistics market. To overcome ongoing slumping business, it is high time that local freight forwarders went to blue ocean global logistics market, emerging UN procurement logistics market. However it is needed to study on method of successful entry, scrutinizing of market status and ensuing supporting measure from government and research institute.

  • PDF

Influence of job insecurit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afety climate on safety behavior and accidents. (고용불안, 조직몰입 및 안전 분위기가 안전행동 및 사고에 미치는 영향)

  • Lee, Won-Young
    • Proceedings of the KSR Conference
    • /
    • 2005.05a
    • /
    • pp.169-17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erceived job insecurit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ocial climate on safety behavior and accidents. The research on this subject was conducted in the Korean National Railroad. The cross-level model was hypothesized to study causal relations among these variables. The cross level model combines individual level approach with group level approach. In this model supervisors(group level)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individual level) and at the same time safety climate(group level) influences safety behavior(individual level) positively. Traditionally operators have been blamed as accident causer. This study, however, shows that organizational and systematic factors are as much critical factors determining safety behavior and accidents.

  • PDF

염류, 당 및 당알콜 처리가 굴의 수분활성에 미치는 영향

  • 김영명;김은미;김동수;도정룡;한영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136-137
    • /
    • 2000
  • 굴은 년간 생산량이 20만톤 전후로 전체 패류 생산의 약 52% 이상 점유하고 양식생산 비중이 90%를 상회함으로서 어업생산 및 어가소득, 농어촌 지역의 고용 창출 효과 측면외에도 남해안 수산업 발전의 상징적 의미까지 내포한 중요한 수산자원이다. 굴가공품의 년간 생산량은 13,000톤 전후로 통조림과 냉동품이 생산 비중이 전체 가공품의 90% 이상을 점하는 주요 품목으로 전량이 수출되고 있으나 1990년대 중반부터 중국, 호주등 후발 개도국 및 자원부국과의 수출경쟁 심화로 새로운 기술 개발이 없을 경우 한국산 굴제품의 국제적 경쟁력은 급격히 저하하는 등 지속적 수출시장 확보가 불안한 상품이다. (중략)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Fall Accident Notification System Based Beacon and Wearable Band (비콘과 웨어러블 밴드 기반의 낙상 사고 알림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Heo, Han-Seul;Go, Yong-Guk;Shim, Jae-Hoon;Shim, Hyo-Bin;Yang, Kyeong-Seok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7.11a
    • /
    • pp.1222-1224
    • /
    • 2017
  • 사람들은 예측하지 못한 순간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에 대해 항상 불안해한다. 매년 노년층 인구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낙상 사고 발생 빈도도 비례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낙상 사고는 대체로 골든 타임이 짧으므로 보호자와 함께 생활하지 않는 노인에게 낙상 사고가 발생한 경우 이를 대처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비콘과 웨어러블 밴드로 활용하여 낙상 사고 발생을 효과적으로 감지하고 초동 응급 대처가 가능할 수 있도록 돕는 알림 시스템을 설계하고,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고자 한다.

직장인의 강점인식이 은퇴(퇴직)후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Park, Hye-Seong;Park, U-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11a
    • /
    • pp.149-151
    • /
    • 2018
  • 본 연구는 강점인식이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확인하였고 강점 활용을 매개로 하였을 때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국내 유일의 기업도시와 혁신도시가 공존하는 원주 지역의 특성을 감안하여 공공기관 근무 직원 및 퇴직자와 일반기업 근무 직원 및 퇴직자 300명을 대상으,로 강점인식 강점 활용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도출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설정하여 실증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첫째 강점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강점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강점 활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강점 활용 수준이 높을수록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넷째, 강점 활용은 강점인식과 창업의지관계에서 매개 효과가 있을 것이다. 2008년 전 세계적인 금융위기 이후 경영상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들은 갈수록 늘어나고 직장인의 고용불안은 은퇴 후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는 이들을 창업시장의 전쟁터로 내몰고 있음에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선제적인 본인 스스로의 강점을 인식하여 창업을 준비하는 은퇴 후의 직장인들의 창업의지에 강정인식과 강점 활용의 중요성을 증진시키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PDF

"Servant Leadership Makes Safety" : The Effect of Job Insecurity on Safety Behavior ("서번트 리더십이 안전을 만든다." : 고용 불안정성이 안전 행동에 미치는 영향)

  • Kim, Byung-Jik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 /
    • v.24 no.1
    • /
    • pp.21-30
    • /
    • 2022
  • Since the competitive environment, it has become common for firms to reduce its workforce to diminish operating cost. Accordingly, job insecurity among employees has been increasing. Previous works on job insecurity have not paid adequate attention to the influence of job insecurity on safety behavior. The current paper investigates the impact of job insecurity on safety behavior and its intermediating mechanisms. In specific, this paper delves into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as well as the moderating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in the association between job insecurity and job stres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at job insecurity has a positive (+) influence on job stress, which has a negative (-) influence on safety behavior. Moreover, job stress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job insecurity and safety behavior. Furthermore, servant leadership moderated the job insecurity-safety behavior link.

The Entrepreneurial Factor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on Student (대학생의 창업요인과 창업의지와의 관계 연구)

  • Kim, Hong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7 no.1
    • /
    • pp.263-271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factor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on student.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factor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Data for the study was compiled through surveys on 300 students who study in engineering school of H university. Empirical results of the hypothesis testing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results indicate that both two variable groups have positively influenced the entrepreneurial factors was highly related to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factors entrepreneurship are background, individual and situational factor. This all factors influence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entrepreneurial factors had a positively influence on will power of entrepreneur. The entrepreneurial factors had a positively influence on performance of entrepreneur.

  • PDF

The Effect of Career Planning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of Organization Employees: Mediating Effects of Person-Organization Fit and Person-Job Fit (직장인의 경력계획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개인-조직적합성과 개인-직무적합성의 매개효과)

  • Kim, Dongyoun;Jin, Sungmi
    •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 /
    • v.37 no.1
    • /
    • pp.31-53
    • /
    • 2018
  • Uncertainty of career environment driven by globalization and shift of employment context drives heavy competition of labor market and anxiety of employment for individuals. New career paradigm based on this environmental change puts emphasis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from individual's viewpoint as important career outcome and individual's proactive career development efforts. In addition to this, importance of person-environment fit and person-job fit is growing in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lanning and career success. Based on this perspectiv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whether person-environment fit and person-job fi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velopment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Data analysis of questionnaire from 220 employees showed that both fits mediate the relationship. This result implies that individual's proactive career planning is critical to career success and this strengthens one's satisfaction to organization and job. To organization, strategies need to be developed to design career development of employees' based on their career needs and organizational intervention such as job-rota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