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용창출

Search Result 409,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Study on the Application Method of Employment Impact Assessment in R & D (R&D분야 고용영향평가 적용방안 연구)

  • Lim, Sang-woo;Kim, Sun-Gyo;Lee, Gy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133-142
    • /
    • 2017
  • 저성장, 실업률이 심화됨에 따라 일자리 중심 정책은 현 정부의 최우선 정책과제로 급부상하였다. 이러한 정책기조로부터 정부는 R&D분야에서도 고용영향평가 제도를 통해 도출된 성과를 R&D 사업의 예산배분 보조지표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허나, R&D분야는 기술개발에 따른 고용창출효과의 발생 시점을 추적하기 힘들며, 기술개발로 인한 일자리에 대한 부(-)의 영향도 존재하기에 기존의 고용영향평가 방법만으로 R&D분야의 고용창출효과를 산출하는 것은 한계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R&D분야에서 고용영향평가에 적용될 수 있는 일자리 유형들을 분류하고, 일자리 유형별 정의 및 R&D 사업의 일자리 유형별 사례를 분석한다. 분석결과는 정부 R&D 사업들의 고용창출효과 산출과정에 활용 시 도움이 될 가능성이 있으며, 현 R&D분야의 고용영향평가 제도에 대한 절차 및 문제점을 분석하는 차원에서 큰 의의가 있다.

  • PDF

Economic Analysis of Government Investment on Information Highway in Korea (초고속 국가망사업 경제성분석에 대한 재검토)

  • 전영서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00.05a
    • /
    • pp.425-463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3단계에 걸쳐 투자하고 있는 초고속 국가망사업에 대해서 과연 사회적으로 경제성을 갖고 있는지 여부를 분석해 보았다. 이를 위하여 첫째, 산업연관모형을 이용하여 초고속 국가망 사업에 투입한 투자액이 유발시킨 부가가치 창출효과와 고용창출효과를 계산하였다. 다음으로 초고속 국가망 사업으로부터 파생되는 초고속 국가망의 기본서비스 수요를 예측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셋째, 초고속 국가망으로부터 파생되는 기본서비스 수요 창출로 인하여 향후 2010년까지 얼마만큼의 새로운 부가가치가 창출되고, 새로운 고용이 얼마만큼 창출되는지 여부를 산업연관모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초고속 국가망 사업에 투자한 총금액에 대비하여 이를 통하여 얻어지는 부가가치창출효과, 고용창출효과 및 수요창출효과 등을 감안하여 과연 초고속 국가망 사업이 얼마만큼 사회적으로 경제성을 지니고 있는지를 계산해 보고자 하였다. 초고속 국가망 사업을 통한 직접적인 유발효과와 부가적인 효과를 모두를 고려하였을 때 예상되는 순수익의 투자수익율은 5439.2%로서 투자액의 54배의 사회적 수익성을 창출한다고 본다. 다음으로 부가가치유발액, 매출이익에 새로운 고용유발로 인한 소득증가분을 감안하여 사회적 수익을 계산하고, 이에 근거하여 경제성 분석을 하면 21,493.3.%와 같이 215배의 사회적 수익성이 창출된다고 계산되어진다. 따라서 간단하게 이익률법에 근거한 초고속국가망 사업에 대한 사회적 편익과 비용에 근거한 경제성 분석을 하면 초고속 국가망 사업은 투자액의 무려 215배의 사회적 편익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tudy on the Identification of CSFs for Employment in IT Industry (IT 업계 고용 창출을 위한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 Sung, Tae Kyung
    •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 /
    • v.6 no.2
    • /
    • pp.133-151
    • /
    • 2016
  •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empirically examine (1) the impact of application of IT in IT industry which is the main engine for creative economy, (2) the relationship between application of IT and corporate strategy, and (3) the influence of corporate strategy on application of IT and employment. To achieve the purpose of research, we conducted a survey on 187 CIOs in october 2013. Research findings confirm that application of IT provides competitive advantages such as efficiency, threat, functionality, attack, and integration and these traits of IT significantly contribute to employment. And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moderating effects of corporate strateg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lication of IT and employment are different depending upon the type of corporate strategy. Thus firms in IT industry should consider traits of IT more seriously when they establish corporate strategy.

Evaluating Effects of the Creation of Industrial Park on Employment and Regional Development (산업단지 조성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

  • Lee, Jong-Ho;Kim, Jinsu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5 no.4
    • /
    • pp.570-584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way in which to what extent the creation of industrial park effects on regional economy, particularly in terms of employment. We carry out empirical research with the case of industrial parks being under construction in Gimhae, Yangsan, Haman and Geochang in Gyeongnam. First of all we analyze the number of jobs and the existing location of firms, which are currently confirmed to move to industrial parks. Then we attempt to evaluate employment effects given to its focus on the relevancy of employment, the possibility of employment retention and the quality of job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It is estimated that the relevancy of employment is higher in Haman and Geochang than in Gimhae and Yangsan. On the contrary, when it comes to the possibility of employment retention, it seems to be that Gimhae and Yangsan are more favourable than Haman and Gimhae. Regarding the quality of jobs, jobs created in the period of constructing industrial park tend to be by and large temporary, but regular jobs tend to be more and more increased during the period that full-scale production activities are operated.

  • PDF

Promoting Employment in Community-based Social Service Sectors: Focusing on Gwangju Metropolitan City, Republic of Korea (지역사회기반 사회서비스 분야 고용활성화 방안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

  • Lee, Hyoung-Ha;Chung, Sung-Il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10
    • /
    • pp.238-248
    • /
    • 2009
  • This paper searches for programs for creating increased employment in local society in important occupation sectors such as education and training services, insurance and social welfare services, culture and arts, housing and environmental service fields. As part of an improvement plan, while strengthening investment in education training infrastructure for the suppliers of social services, cooperation and coordination by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is necessary. Also necessary are identifying model social enterprises that are based upon joint efforts for success of social enterprises and publicity efforts necessary.

A Study on the Youth Job Creation Problem Solving with a Co-creation Approach: Focusing on the Busan City (청년층 일자리 창출문제에서 Co-creation적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Hong, Soon-Goo;Lee, Hyun-Mi;Han, Se-Eok;Kim, Jong-Weon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20 no.1
    • /
    • pp.91-102
    • /
    • 2015
  • The growth of Korean economy has continuously declined since 2000, which resulted in the reduction of employment creation opportunity. Futhermore, these circumstances are aggravating the youth job cre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creation approach for solving the youth job creation problem. By using the grounded theory on recent newspapers for a year, the study proposes a paradigm model for the youth job creation. Based upon this result, the study creates the conceptual model for the youth job creation, which includes three factors such as process, environment, and institution. This study will contribute not only to the extension of qualitative study on the grounded theory in research, but also to the political implications for the youth job creation in practice.

Exploring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n Job Creation (중소기업의 기업가적 특성과 고용창출간의 관련성 탐색)

  • Yoon, Hyunj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4.11a
    • /
    • pp.365-36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기업가적 특성과 고용창출간의 관계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중소기업의 기업가적인 특성들이 많은 긍정적인 결과를 창출할 수 있다는 논의에도 불구하고 기업가적 특성과 고용창출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있는 연구들은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가적 지향성과 고용창출간의 관계를 탐구함으로써 기업가적 지향성이 어떠한 긍정적인 효과를 창출하는지를 탐색하고자 한다.

  • PDF

경제위기(經濟危機) 이후(以後) 노동시장(勞動市場) 정책방향(政策方向)

  • Yu, Gyeong-Jun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21 no.3_4
    • /
    • pp.105-146
    • /
    • 1999
  • 1997년 말 외환위기 이후 한국의 노동시장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외환위기에서 2년이 경과한 현재 실업률이 빠르게 하락하고 임금수준은 위기 이전으로 회복되었으나, 고용수준은 아직 회복되지 않은 상황이다. 현재의 상황에서 우려되는 것은 1970년대 이후 유럽에서 발생한 것처럼 고실업이 지속되는 현상이다. 본고에서는 여러 가지 분석을 통하여 이러한 우려가 현실로 나타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하여 경고하고 있다. 향후 고용 및 실업정책의 최우선 목표는 본원적인 일자리 창출을 통해 구조적 실업률을 저하시키기 위한 종합적인 정책의 시행에 두어져야 한다고 판단된다. 이는 실업과 분배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기초라 여겨지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일자리의 창출을 위하여 수십년 동안 경험을 축적한 OECD국가의 경험을 참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현재 OECD국가에서는 일자리의 창출을 위하여 개별기업의 상황에 맞게 임금결정구조의 분권화를 지속적으로 추구하고 있으며, 임금상승률의 결정은 과거의 물가상승률이나 생산성 증가 등의 지수화에 의존하던 정책을 포기하고 미래지향적으로 물가상승의 예측치만큼 설정한 후 그 변동분은 사후적으로 고려하는 소득정책협약(income policy agreements)을 추구하고 있다. 이는 일자리 창출을 통해 경제의 성과를 기존의 취업자 외에 실업자와 신규근로자에게 분배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노동시장 유연성 제고를 통한 일자리의 창출은 소득분배를 악화시키는 경향이었다는 점이 유럽과 미국에서 발견된 경험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일자리의 창출과 분배의 상충관계(trade-off)를 염두에 둘 필요는 있으나, 일자리의 창출은 일자리를 가짐으로써 불평등도를 개선하는 고용효과(employment effect)가 임금격차의 발생으로 불평등도를 확대시키는 임금효과(income effect)를 상쇄할 경우 오히려 분배구조를 개선시킬 수도 있다.

  • PDF

An Analysis on The Structural Change of The Knowledge Service Industry (지식서비스산업의 구조변화 분석)

  • Kim, Pang-Ryong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8B no.10
    • /
    • pp.808-816
    • /
    • 2013
  • In recent years, the knowledge service industry is getting much attention in terms of the role as new growth driver and employment creation sector whereas the overall potential growth rate in Korea has been slowed due to reduced investment and employment in manufacturing sector. This study examines how the knowledge service industry contributes to economic development and employment creation by analyzing the structure transition pattern of the knowledge service industry from 1995 to 2010 and suggests, based on these results,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industry's development. It turns out that the knowledge service industry greatly contributes to total production increase and employment creation during the period of 1995 to 2010. Special strategy for increase in labor productivity will be required for the knowledge service industry to contribute consistently as growth driver and employment creation sector since production increase rate and growth contribution level have been gradually decreased while employment growth rate and its contribution level have been consistently increased in the knowledge service industry.

A Study about creating jobs suitable for the ubiquitous age - The center of the real estate industry - (유비쿼터스 시대에 맞는 일자리창출에 관한 연구 - 부동산산업 중심으로 -)

  • Kim, Hyeong-Geun;Kim, Boo-S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8 no.3
    • /
    • pp.499-503
    • /
    • 2013
  • In the real estate industry, job creation is dominated by SOC financial investment expansion. Financial investment like SOC can induce employment only if is executed as cost of equipment by setting the budget as a long-term project. In this study, a hypothesis was set regarding how the real estate industry affects job creation, and makes suggestions based on analysis of relational structure among variables through the research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