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용정책

Search Result 872,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Digital Revolution and Welfare State Reforms: Revisiting Social Investment and Social Protection (기술혁명과 미래 복지국가 개혁의 논점: 다시 사회투자와 사회보호로)

  • Choi, Young Jun;Choi, Jung Eun;Ryu, Jung Min
    • 한국사회정책
    • /
    • v.25 no.1
    • /
    • pp.3-43
    • /
    • 2018
  • The digital revolution has brought about both positive expectations and negative concerns. Many experts predict that the current technological revolution, so-called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is expected to increase productivity in a disruptive way,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on employment and the labor market. In subsequence, the possible demise of the traditional employment system could markedly undermine the comtemporary welfare state. As a result, basic income has emerged as an alternative. However, little welfare state research has conducted the systematic review on the impact of the present technological revolution on employment and welfare states. In this paper, we will start to review the gist of the digital revolution and critically review recent studies on its effects on employment and welfare states together with actual case studies. In particular, we will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platform economies of Uber and Amazon Mechanical Turk, and the German experience from 'Work 4.0'. Finally, we will discuss key issues of future welfare state reforms. This research argues that the effects of the technological revolution on employment and welfare state policies would be enormous, but they will be most likely to be mediated by domestic political and policy institutions.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high-quality social investment that would enable individuals to flexibly adapt technological changes and support creative human capital resource. But, high-quality social investment could not be sustained without the decent social protection system that universally provides security to people.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K-move Policy through the Current Situation of Professional Education in Australia (호주 직업 교육 제도 현황을 통한 k-move 진출 정책의 보안 방안 연구)

  • Cho, HyunKyung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4 no.4
    • /
    • pp.213-218
    • /
    • 2018
  • Recent Korean policies have been suggested as globalization, openness and expansion of the working world through k-move. In an era of communication, interest and expectations for overseas employment and advancement into the country are increasing as a way to solve the global trend of employment abroad. Until recently, overseas employment support systems and policies have been implemented in a variety of ways through collaboration with universities and government agencies, so this paper will study Australia's national support and vocational education systems, for example, and Australia's foreign employment conditions and the overall system. This will help overseas employers and policy makers understand the status quo and will be meaningful as additional data needed by Korean universities and policy agencies. On the basis of these data, it was proposed as a conclusion on how to supplement the policy. Through the text, we aim to help establish practical goals and solutions that will help job applicants from overseas Australia, government and university policy systems. Accordingly, the main body presented the policies and assessment methods of the Australian vocational system, the overseas job support system, the corresponding service support system, and the overseas conditions and information on the program, and, in conclusion, the implications of policy supplementation.

디지털 기업가정신의 고용효과에 대한 탐색적 연구

  • Bong, Gang-Ho;Lee, Dong-Hyeo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2.11a
    • /
    • pp.83-88
    • /
    • 2022
  • 디지털 전환은 기존 산업의 진입장벽 파괴에 따른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확대, 자산의 디지털화에 따른 초기창업비용의 축소 등 창업 및 기업가적 활동 측면에서 중대한 환경적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기존의 기업가정신 이론으로 기업가들이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인식하고 기업가적 가치를 추구하는 일련의 과정을 이해하기에는 충분치 않으며, 기업가정신의 특성 및 효과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최근 디지털 경제 환경에서의 기업가정신을 조망하는 새로운 이론적 틀로서 '디지털 기업가정신'이라는 개념 및 관련 연구분야가 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 단위에서 디지털 기업가정신의 고용효과를 탐색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국제 기업가정신 관련 조사인 「글로벌 기업가정신 모니터(GEM)」 데이터를 활용한 상관 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기업가적 활동에 있어서의 디지털 기술 활용 의지, 창업 의지, 6인 이상의 고용창출 의지 등이 상호 간 긍정적인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디지털 기술에 기반한 창업 또는 기업가적 활동에 대한 의지가 일자리 창출과 긍정적인 관계를 가진다는 의미다. 해외 학자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디지털 기업가정신 연구는 기업가정신 및 창업 프로세스에 대한 디지털화의 영향이나 디지털 기술의 혁신 및 새로운 벤처의 탄생에 의해 창출된 기업가적 기회에 대한 논의가 주를 이루고 있는 데 반하여,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기업가정신에 의해 창출되는 성과에 대해 살펴본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다. 또한 국내에서 많이 다루지 않은 디지털 기업가정신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발표함으로써 동 분야에 대한 국내 학계의 관심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는 점에서도 학술적 의의가 있다.

  • PDF

최근 미국의 IT 인력의 고용현황과 정책

  • 김해동
    •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 /
    • v.22 no.5
    • /
    • pp.13-18
    • /
    • 2004
  • 최근 IT 산업전체의 고용(인력수급) 상황을 보면, 2000년 이후 2003년도까지 전세계적인 경기침체에 따라 다른 어떤 해보다도 이직률이 매우 높았다. 특히 IT 인적자원의 수요와 공급으로 그 특징을 살펴보면, 2002년초 메타그룹이 실시한 조사에서 세계의 IT 기업들이 인적자원을 확충할 것인지 줄일 것인지에 때한 조사를 실시한 결과 47.6%가 10-15%의 인원을 감축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이 결과가 주는 의미는 향후 IT 인력의 수요와 공급의 변화를 예측하게 한다.

A Study on the sampling Design for the Labor Demand Survey (노동력수요동향조사 표본설계에 관한 연구)

  • 김종호;염준근;김명철;정기문;한성실;김은주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12 no.2
    • /
    • pp.375-385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노동력수요동향조사를 위한 새로운 표본설계를 제시하였다. 새로운 표본설계에서는 전국 통계를 산출하기 위한 전국표본과 지역 특성에 맞는 고용정책 및 직업 훈련 계획 수립 등을 위한 지역통계의 수요에 따라 16개 시·도별, 규모별, 산업대분류별로 오차를 관리할 수 있는 지역표본으로 이원화하여 설계하였으며, 규모별, 산업대분류별로 오차를 관리하는 현행 표본조사의 상대표준오차를 검토하여 규모별, 산업중분류별로 합리적인 오차 관리가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 PDF

KISA 초대석 - '안전보건'기업 경영의 성공을 보장하는 필수조건, 방하남 고용노동부 장관

  • Yeon, Seul-Gi;Yeon, Seul-Gi
    • The Safety technology
    • /
    • no.187
    • /
    • pp.14-15
    • /
    • 2013
  • 방하남 고용노동부 장관이 지난달 18일로 취임 100일을 맞이했다. 그간 방 장관은 발로 뛰는 장관, 소통과 커뮤니케이션의 전문가 등의 별칭이 붙을 정도로 집무의 상당부분을 현자에서 보냈다. 직접 사고현장을 찾아 원인을 찾고 대책을 강구한 것은 물론 또 관련 정부부처의 힘을 하나로 모으고, 사고의 우려가 높은 화학 및 전자 반도체업계의 대표들을 한자리에 모아 안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리고 각계의 의견을 지속적으로 수렴해가며 쉼 없이 대책을 마련했다. 그 결과 안전을 중시하겠다는 사업주들의 선언이 잇따르고, 멈춤 없이 발생하던 중대 재해도 다소 주춤해졌다. 행동과 실천으로 산재 감소에 앞장서고 있는 방하남 장관을 만나 산업안전 분야에 대한 정책 방향을 들어봤다.

  • PDF

Analysis of the Causal Structure Among Innovation Support Policy, Innovation and Performance: Focusing on Knowledge Service Firms (혁신 지원정책과 혁신 그리고 성과의 인과구조 분석: 지식서비스기업을 중심으로)

  • Baek, Sung-hyun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9 no.2
    • /
    • pp.324-357
    • /
    • 2016
  • As the transition to the knowledge-based economy has been accelerated in the 21st century, the importance of the service industry has been highlighted. As the proportion of knowledge service industry in the economy and the related employment rate are continuously growing, it is necessary to bring innovation to the industry in order to increase competitiveness. In this study, the innovation types are diversified into product, process, organization, and marketing and the influencing factors have been analyzed with knowledge service firms. The complex causal relationship that is linked to the innovation performance has been analyzed by the structural equation with each innovation types as the intervening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innovation capacity of firms in knowledge service industry has very strong positive effects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on product innovation, process innovation, organizational innovation, marketing innovation, and the revenue and employment of the firm. On the other hand, innovation support policy through government intervention produce negative impact on product innovation and they do not create meaningful impact on the total effect on the revenue nor the employment growth. The innovation should ultimately create effects on the revenue and the employment of the firm. And the government support policies should be carefully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final destination point of this complex causal structure.

The Analysis of Hysteresis in Youth Unemployment (청년실업의 이력현상 분석)

  • Kim, Namju
    • Economic Analysis
    • /
    • v.25 no.2
    • /
    • pp.96-131
    • /
    • 2019
  • Initially entering into the job market during hard times with unfavorable market institutions has a persistent, negative effect on young workers' subsequent employment. This paper analyzes hysteresis in youth unemployment by using a composite fixed-effect panel data model. Data sets for the age-cohort unemployment rate and for labor market institutions are constructed from OECD statistics from 21 advanced economies, including Korea, from 1985 to 2017, and are then readjusted to match with the peculiarities of the Korean market. In Korea, with a less-aggressive stance on active labor market policy spending, a male worker who experiences a one percentage point higher youth unemployment rate when he was 20- to 29-years-old has a 0.146 percentage point higher unemployment rate at the ages of 30-to 34-years-old and a 0.035 percentage point higher unemployment rate at the age of 35- to 39-years-old. These figures are larger than those in most countries that have more aggressive spending schemes. These findings point out that hysteresis in the Korean labor market can be mitigated by expanding active labor market policy spending more aggressively and more effectively.

제주지역의 지식기반 문화산업의 효과 분석 및 육성방안에 관한 고찰

  • Kim, Min-Cheol;Kim, Tae-Jong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5a
    • /
    • pp.249-275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문화산업이 제주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파급효과를 보기 위하여 산업연관분석 기법 및 AHP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제주문화산업에 대한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Porter의 가치사슬 (value chain) 모형을 토대로 지역발전전략으로서 지식기반 제주문화산업의 육성방안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문화산업에 대한 투자가 지역경제에 소득유발효과, 고용창출효과 및 타 산업으로의 전?후방 연계효과 등이 강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득유발효과와 고용창출효과 등의 파급효과로 인한 제주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기식기반 문화산업을 육성하여야 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web-based telework.distant education center development for the disabled vocational rehabilitation (장애인 고용을 위한 웹 기반 원격근무.원격교육센터 개발에 관한 연구)

  • Jo, Seon-Gu;No, Yeong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12a
    • /
    • pp.599-611
    • /
    • 2003
  • Recently, information technology are rapidly diffused throughout the world. A new paradigm, 'telework' and 'distant education' is a product of the tremendous technological changes driving the disabled vocational rehabilitation. In the computer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areas related with web-based telework?distant education, the disabled expect vocational rehabilitation. Therefore nowadays, the disabled effort to adapt to the new information era by web-based telework and distant education. This study attempts to suggest developmental framework of web-based telework?distant education center to vitalize the disabled vocational rehabilit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