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혁명과 미래 복지국가 개혁의 논점: 다시 사회투자와 사회보호로

Digital Revolution and Welfare State Reforms: Revisiting Social Investment and Social Protection

  • Choi, Young Jun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Yonsei University) ;
  • Choi, Jung Eun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Yonsei University) ;
  • Ryu, Jung Min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Yonsei University)
  • 투고 : 2018.01.31
  • 심사 : 2018.03.14
  • 발행 : 2018.03.31

초록

기술혁명은 긍정적인 변화와 동시에 수반될 부정적인 우려가 항상 공존해왔다. 소위 '4차 산업혁명'으로 대표되는 기술혁명은 더욱 파괴적인 방식으로 생산성 혁명을 가져올 것이며, 고용 및 노동시장에 미칠 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예견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현재 복지국가의 '쓸모'에 대한 논쟁이 진행되고 있으며, 기본소득이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기술혁명의 속성과 기술변화가 고용과 복지국가에 미칠 영향에 대해 포괄적이고 다면적인 시각에서 분석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술혁명의 내용을 검토하고 기존 문헌과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기술혁명이 고용과 복지국가에 미칠 영향에 대해 심층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우선 문헌검토를 통해서 기술혁명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의를 정리하고자 한다. 이후에는 현실사례인 우버와 아마존 메커니컬 터크 등 미국 사례와 독일의 'Work 4.0' 사례의 경험을 통해서 논의를 보강하게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논의를 종합하면서 미래 복지국가 개혁의 주요 논점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는 기술혁명으로 인한 변화와 고용 및 사회보장 변화에 미칠 압력은 심대할 것으로 판단하지만, 그 영향이 어떠할지에 대해서는 불확실성이 높음을 지적한다. 그렇기 때문에 기술혁명에 따른 복지국가 개혁보다는 현재 복지국가를 형성하는가에 따라서 기술혁명의 영향력이 크게 달라질 수 있음을 주장한다. 기술변화에 적응력이 높고 창의적인 인적자본 형성을 지원할 수 있는 사회투자제도와 이를 뒷받침하면서 개인에게 안정과 행복을 보편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사회보호제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정책 제언을 하고자 한다.

The digital revolution has brought about both positive expectations and negative concerns. Many experts predict that the current technological revolution, so-called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is expected to increase productivity in a disruptive way,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on employment and the labor market. In subsequence, the possible demise of the traditional employment system could markedly undermine the comtemporary welfare state. As a result, basic income has emerged as an alternative. However, little welfare state research has conducted the systematic review on the impact of the present technological revolution on employment and welfare states. In this paper, we will start to review the gist of the digital revolution and critically review recent studies on its effects on employment and welfare states together with actual case studies. In particular, we will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platform economies of Uber and Amazon Mechanical Turk, and the German experience from 'Work 4.0'. Finally, we will discuss key issues of future welfare state reforms. This research argues that the effects of the technological revolution on employment and welfare state policies would be enormous, but they will be most likely to be mediated by domestic political and policy institutions.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high-quality social investment that would enable individuals to flexibly adapt technological changes and support creative human capital resource. But, high-quality social investment could not be sustained without the decent social protection system that universally provides security to people.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