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온고압양생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8초

PHC 말뚝의 항타 시공성에 관한 연구

  • 이인모;김상균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1992년도 PHC 말뚝 관련 학술발표회
    • /
    • pp.1-13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일반 PC 말뚝과는 달리 제작시 실리카(silica) 재료를 사용하고 중기양생후 고온,고압의 추가양생(autoclave curing)을 실시 함으로써 말뚝자체의 강성을 높인 PHC 말뚝의 항타 시공성을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파악하였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지반조건, 항타장비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결과는 PHC 말뚝이 PC 말뚝에 비해 항타장비에 의해서 발휘되는 타격에너지에 대해 보다 큰 저항력을 가지므로 설계지지력을 크게 얻을 수 있으며 항타장비의 선정에 있어서도 보다 큰 효율을 지닌 장비의 선정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항타작업을 수행하는데 유리함을 보였다. 이와같은 결과를 실제 현장에서의 말뚝 항타시공을 실시한 후 항타기록 및 재하시험 결과와 비교검토 하였는데 본 연구결과와 재하시험 결과가 잘 일치함을 보였다.

  • PDF

압축강도 300MPa 이상의 초고강도 분체콘크리트 개발을 위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Mechanical Properties of Ultra-High Strength Powder Concrete)

  • 조병완;윤광원;박정훈;김헌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287-295
    • /
    • 2010
  • 본 연구에 사용한 시멘트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이며, 공극 최소화를 위한 충전재는 미세석영을 사용하였고 고강도화에 따른 취성파괴 문제를 개선하기위해 강섬유를 사용하여 압축강도 300 MPa 이상의 초고강도 분체콘크리트를 개발 하고자 하였다. 콘크리트의 강도를 크게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계면영역의 부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크기 0.6 mm 이하의 규사, 백운석, 보크사이트, 페로실리콘을 선정한 후 각각의 배합비, 양생조건을 달리하여 압축강도를 비교분석 하였다. 초고강도 분체콘크리트는 보통콘크리트와 달리 사용재료의 영향이 대단히 중요하다. 분체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측정 결과 페로실리콘 > 보크사이트 > 백운석 > 규사 순으로 골재의 강도가 압축강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경향을 알 수 있었으며 페로실리콘의 경우 시멘트 중량 기준하여 혼입량 110%일 때 가장 큰 강도를 나타내었다. SEM 촬영 결과 C-S-H수화물이 비교적 많이 생성되었고, 고온고압양생으로 토버모라이트와 조놀라이트가 생성된 것을 확인 하였다. 또한 골재의 세립화, 분체의 치밀충전화 및 반응성 재료의 사용으로 인해 페이스트가 고강도화 되고, 강섬유를 사용하여 인성을 보강함으로써, 28일 압축강도 341 MPa의 초고강도 분체콘크리트를 성공적으로 개발 하였다.

고강도(高强度)콘크리트의 내구성(耐久性)에 관한 연구(研究) (A Study on Durability of High Strength Concrete)

  • 김생빈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9-19
    • /
    • 1981
  • 고강도(高强度)콘크리트의 제조방법중(製造方法中) 가장 대표적(代表的)이고 실용적(實用的)인 것으로 고성능감수제(高性能減水劑)와 고온고압양생(高溫高壓養生)에 의(依)한 방법등(方法等)이 있다. 본연구(本硏究)에서는 이와같은 고강도(高强度)콘크리트로 만든 콘크리트 Pile을 원심력성형(遠心力成形)과 손다짐으로 만들어 각각(各各)에 대(對)하여 Autoclave 양생(養生), Steam 양생후(養生後) 수중(水中) 14일(日) 양생(養生) 및 표준수중양생(標準水中養生)하여 동결융해시험(凍結融解試驗)을 하였으며 각종(各種)에 대(對)하여 내구성(耐久性)의 상관적(相關的)인 관계(關係)를 규명하였다. 이들 공시체(供試體)들의 동결융해(凍結融解)에 대(對)한 내구성(耐久性)은 일반적(一般的)으로 적당량(適當量)의 공기량(空氣量)을 함유(含有)하고 있을 때 상기(上記) 여러 가지 양생(養生)에 대(對)하여 비교적(比較的) 충분(充分)한 내구성(耐久性)이 있는 것으로 판명(判明)되었으나 AE제(劑)를 사용(使用)하지 않은 경우에는 Autoclave 양생(養生)한 고강도(高强度)콘크리트는 타양생(他養生)한 고강도(高强度)콘크리트보다 강도면(强度面)에서는 높았으나 동탄성계수(動彈性係數)가 좀 낮았고 시험후(試驗後)의 내구성계수(耐久性係數)도 극(極)히 약(弱)하였다. 그러나 원심력성형(遠心力成形)한 non AE 콘크리트 Pile은 표준양생(標準養生)하였을 때 내구성계수(耐久性係數)가 100 이상(以上)이었으며 중량감소(重量減少)도 없었다는 사실로 미루어 타 공시체보다 내구성(耐久性)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저열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한 초고강도 분체 콘크리트 개발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Developing Ultra-High Strength Powder Concrete Using Low-heat Portland Cement)

  • 조병완;윤광원;김헌;박진모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6호통권58호
    • /
    • pp.135-147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저열포틀랜드 시멘트와 steel aggregates인 Ferro-Silicon, 실리카흄, 충전재로서 미세 석영과 고강도화에 따른 취성파괴 문제를 개선하기위해 강섬유를 사용하여 압축강도 400MPa이상의 초고강도 분체 콘크리트를 개발 하고자 하였다. 콘크리트의 초고강도화의 영향을 고려하여 물-시멘트비 저감이 가능한 저열포틀랜드 시멘트와 비교대상으로 보통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고, 골재 대체 재료로 Ferro Silicon을 각각의 배합비, 양생조건을 달리하여 압축강도를 비교분석 하였다. 초고강도 콘크리트는 보통콘크리트와 달리 사용재료의 영향이 대단히 중요하며, SEM 촬영결과 Type III, Type IV의 C-S-H수화물이 비교적 많이 생성되었고, 고온고압양생으로 토버모라이트와 조놀라이트가 생성된것을 확인 하였다. 또한 골재의 세립화, 분체의 치밀충전화 및 반응성 재료의 사용으로 인해 페이스트가 고강도화 되고, 강섬유를 사용하여 인성을 보강하므로써, 28일 압축강도 420Mpa의 초고강도 분체콘크리트를 성공적으로 개발 하였다.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를 이용한 bulk ALC 처리 공정 제어 (Processing control of bulk ALC using PLC)

  • 황윤상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2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국내학술편); KOEX, Seoul; 19-21 Oct. 1992
    • /
    • pp.67-70
    • /
    • 1992
  • 1930년 스웨덴에서 개발에 성공, 네덜란드에서 더욱 발전시킨 ALC(Autoclaved Light-weignt Concrete의 약칭) 는 가볍고, 견고하고, 그리고 시공이 간편한 경제적인 요건들을 충족시키는 건축자재로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 국내에서는 불과 수년 전부터 연구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ALC 란 시멘트와 규사, 생석회등 무기질 원료를 고온,고압으로 증기 양생시킨 경량의 기포 콘크리트 제품을 통칭한 것이다. ALC공정은 bulk ALC를 생산하는 batch공정과 이 bulk ALC에 대한 처리 공정으로 크게 나눌 수가 있으며 여기에서는 bulk ALC 처리 공정을 side shield treatment, anti-corrosion treatment, curing grate transferer, cutting station, curing car transportation, autoclave traveling platform, 및 packing 의 공정으로 세분하여 각 공정개요 소개 및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의 약칭)를 이용한 제어 system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 PDF

폐석분을 사용한 시멘트 2차 제품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ariation of Physical Properties on the Secondary Product of Cement by Using Crushed Stone Powder)

  • 박지선;이세현;송훈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6권4호
    • /
    • pp.103-111
    • /
    • 2012
  • 압축강도 50 MPa이상의 압출성형 시멘트 패널은 고온고압 증기양생으로 생산된다. 고온고압 증기양생에서 요구 강도를 얻기 위해서는 시멘트에 포함되어 있는 CaO와의 반응에 필요한 적정량의 $SiO_2$를 공급하는 것이 관건이다. $SiO_2$의 공급원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원료는 규석분인데, 이는 환경파괴를 전제로 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제품 생산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규석분을 대신하여 폐석분을 활용한 시멘트 2차 제품을 생산하고 이에 대한 압출성과 물리적인 특성비교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화성 석산에서 채취한 폐석분을 건조 파쇄한 후 이를 규석분 사용량의 최대 50%까지 치환하여 압출성 및 물리적 특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평균 입경은 폐석분과 규석분의 크기가 유사하였으나 물리적 특성은 규석분을 폐석분으로 단순 치환하였을 경우, 대부분 낮게 발현되었다. 따라서 폐석분을 활용할 경우 수화활성을 위한 첨가제 등의 활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석영미분말의 입자크기가 UHPC의 유동성 및 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iliceous powder's particle size on the workability and strength of UHPC)

  • 강수태;박정준;류금성;고경택;김성욱;이장화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441-444
    • /
    • 2008
  • 본 연구에서의 초고성능 콘크리트(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 UHPC)는 모래, 시멘트, 실리카퓸, 석영미분말, 강섬유 및 고성능감수제 등으로 구성되며, 평균입경 약 0.5mm이하의 아주 작은 입자들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석영미분말는 일정크기 이상의 공극을 메움으로써 물리적 성능개선의 효과가 있으며 또한 높은 $SiO_2$함량을 가지므로 고온 또는 고압의 양생조건에서 시멘트 수화물과의 화학반응을 통해서도 성능 향상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압, $90^{\circ}C$ 증기양생 조건에서 석영미분말의 입자크기가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평가항목으로는 굳지 않은 상태에서의 유동성과 굳은 상태에서의 압축강도, 극한변형률, 탄성계수 및 휨강도를 평가하였다. 석영미분말의 입경크기의 영향은 약 $2{\mu}m$에서 $26{\mu}m$까지의 범위에서 고려하였으며, 입경 크기가 작을수록 유동성 및 강도특성이 모두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PHC 말뚝의 항타시공성 및 지지력에 관한 연구 (Drivability and Bearing Capacity of PHC Pile Foundation)

  • 이명환;이인모;김상균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3권5호
    • /
    • pp.223-234
    • /
    • 1993
  • 일반 PC 말뚝과는 달리 제작시 실리카(silica) 재료를 사용하고 증기양생후 고온, 고압의 추가양생(autoclave curing) 실시함으로써 말뚝자체의 강성을 높인 PHC 말뚝의 항타시공성과 지지력 특성을 파동이론에 근거한 수치해석과 실재현장에서의 항타기록 및 재하시험을 통하여 파악하였다. 임의의 지반조건에 대하여 항타장비에 따른 수치해석과 현장시험의 결과는 PHC 말뚝이 PC 말뚝에 비해 말뚝의 재질강도가 60% 정도 크므로 항타장비에 의해서 발휘되는 타격에너지에 대해 보다 큰 저항력을 가지기 때문에 설계지지력을 보다 크게 얻을 수 있으며 항타장비의 선정에 있어서도 보다 큰 효율을 지닌 장비의 선정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항타작업을 수행하는데 유리함을 보였다.

  • PDF

시멘트 압출패널의 규사분말 대체재로서 폐콘크리트 미립분의 활용 (Application of Waste Concrete Powder as Silica Powder of Cement Extruding Panel)

  • 김진만;김기석;라정민;최덕진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88-94
    • /
    • 2011
  • 순환골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반복적으로 파쇄해야 하기 때문에 미립분의 발생량이 증가하게 된다. 기존에는 이 분말을 순환골재에 포함하여 배출하였으나, 고품질 순환골재의 경우에는 골재의 품질을 저하시키게 되므로 별도로 분리하여야 한다. 또한, 폐콘크리트의 완전한 리사이클링 이라는 측면에서도 미립분의 용도를 개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압으로 압출하고 고온고압 양생에 의해 산화칼슘과 산화규소의 수화반응을 유도하여 강도를 발현하는 시멘트 압출패널을 대상으로 규사분말의 대체재로서 폐콘크리트 분말을 적용하는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폐콘크리트 분말은 $SiO_2$, CaO를 주성분으로 하고 환경에 유해한 성분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밀도는 콘크리트보다 약간 높은 $2.45g/cm^3$, 분말의 평균 입경은 $13{\sim}141{\mu}m$로 배출되는 장소에 따라서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폐콘크리트 분말을 배출되는 장소에 따라 강도를 검토한 결과 분말의 평균사이즈가 작은 경우의 강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어 분말의 크기가 강도에 미치는 주요 요인인 것을 확인하였다. 3) 평균크기 $13{\mu}m$로 크기가 가장 작은 백필터 집진분말을 이용하여 규사분말의 50~100%를 대체하여 실험한 결과 대체율의 증가에 따라 강도가 저하하고 있으나 KS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도 있어 폐콘크리트 미립분을 수열반응에 의해 제조하는 시멘트 압출패널의 실리카질 재료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

수열합성법을 이용한 무기계 단열소재 제조방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2) (A Study on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Inorganic Insulation Material by Hydrothermal Synthesis Method (2))

  • 서성관;추용식;이종규;송훈;박재완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권3호
    • /
    • pp.225-232
    • /
    • 2013
  • 규석, 시멘트, 생석회 및 소량의 무수석고에 알루미늄 분말과 물을 첨가 혼합하여 오토클레이브 중에서 고온 고압 증기양생으로 미네랄 하이드레이트 소재를 제조하였다. 수열 합성된 미네랄 하이드레이트 소재는 균일한 세포조직을 갖는 다공질 경량 기포 콘크리트이다. 미네랄 하이드레이트 소재의 대표적인 특성으로는 다수의 기공으로 인해 뛰어난 경량성 및 단열성능을 들 수 있다. 제조된 미네랄 하이드레이트 소재의 특성은 각각 밀도 $0.26g/cm^3$, 압축강도 0.4MPa, 열전도율 0.064W/mK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상기의 소재 특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기포제의 종류 및 함량, 규석 및 시멘트의 입도 조건, 기능성 첨가제 종류 및 함량"에 따른 특성 평가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소재의 열적 특성을 개선할 수 있었으며, 특히 기능성 첨가제인 폴리디메틸실록산 혼화제를 첨가할 경우 밀도 및 열전도율을 개선하는 동시에 탁월한 강도 증진 효과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