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수동굴

Search Result 59,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동굴퇴적물의 환경보전에 관한 연구 (고수동굴을 중심으로)

  • 홍시환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0 no.11
    • /
    • pp.7-24
    • /
    • 1985
  • 고수동굴은 현재까지는 관광개발된 석회동굴 중 가장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을뿐만 아니라 이 동굴개발에 따른 주민들의 소득증대는 단양지구의 생활향상에 크게 이바지되고 있는 관광자원이다. 이 동굴의 첫 학술조사는 1973년 10월에 한국동굴학회학술조사단 (단장 : 홍시환)에 의하여 실시되었으며 그후 우리나라 천연기념물 제 256호로 지정받게 되고 학교법인 유신학원(이사장 : 박창원)에 의하여 마침내 우리나라 제일가는 관광동굴로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중략)

  • PDF

The Numerical Analysis of Tour Routes to the Gosu Cave (고수동굴 관람루트에 대한 수치적 고찰)

  • Jung, Min-Chae;Han, Dae-Ho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93
    • /
    • pp.43-51
    • /
    • 2009
  • Due to the tour route of Gosu cave's designated route, it has a specific shape of a tree. There are some limitations because of there being no comparable analysis to other caves. However, it will be provided as basic data to do the comparable analysis with similar caves' tour routes, and to understand some problems according to the viewing route.

고수동굴의 환경보전과 안전대책

  • 홍시환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7 no.28
    • /
    • pp.19-52
    • /
    • 1991
  • 동굴의 환경은 지표환경에 비하여 특수하다. 동굴은 관광개발과 동시에 그 환경은 점차 파괴오손 되어가고 있는 현실이므로 환경의 보전에 대한 개심이 나날이 높아가고 있다. 즉 관광개발의 시설 때문에 오는 경관의 훼손은 물론이고 그 밖에 입동객에 의한 이른바 오손공해는 점차 심하게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다.(중략)

  • PDF

고수동굴의 오손오염대답조사

  • 박면용;홍시환;노용태;이호준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8 no.9
    • /
    • pp.24-49
    • /
    • 1983
  • 대체로 동굴속에서는 태양의 광선이 비추이는 동굴의 입구 부근에서만 자라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동굴이 개발되고 있는 내부 동굴에서는 조명등이 비추이는 부근에 이끼류나 양치류같은 하등식물이 자라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조명등의 빛과 온도에 관계되는데 이들 하등식물들이 자라게 되므로써 동굴생물의 생태계에 커다란 변화가 생긴다. (중략)

  • PDF

한국의 자연동굴총람(상) 제1보 총론

  • 홍시환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6 no.17
    • /
    • pp.11-22
    • /
    • 1988
  • 어둠과 적막에 휩싸인 캄캄한 암흑의 세계, 동굴 이것이 우리들이 알고 있는 지하동굴 세계의 전부다. 참으로 동굴은 아직도 우리들에게 낯설고 거리감 있는 미지의 세계로 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근자에 이르러 점차 단양의 고수동굴이며 제주도의 만장굴 그리고 울진의 성류동굴은 의외로 주변에서 곧잘 입에 오르내리곤 하는 관광지의 하나로 등장하였다.(중략)

  • PDF

천동동굴 환경보전 및 안전진단 조사보고서

  • 한국동굴학회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4 no.25
    • /
    • pp.93-165
    • /
    • 1991
  • 최근에 이르러 동굴은 관광자원으로 뿐만 아니라 자연학습장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데 이에따라 동굴관람객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특히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의 동굴지대의 고수동굴, 천동동굴, 노동동굴 등은 하나의 관광권을 협성하여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다. 이 동굴들중 천동동굴은 특히 동굴내부의 이차생성물들은 다른 동굴에서는 보기 힘든 지형지물이 많아 그 보전가치가 타동굴에 비하여 더욱 중요시 된다. 따라서 증가하는 관광객으로 인한 동굴의 환경오염 및 파손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현재의 동굴의 실태를 조사하여 앞으로의 대책마련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중략)

  • PDF

동굴 답사를 위한 지질ㆍ지형학적인 이해

  • 김주환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2.07a
    • /
    • pp.7-30
    • /
    • 2002
  • 현재 우리 나라에는 고수동굴, 성유굴, 고씨굴 등의 석회동굴 이외에 제주도의 만장굴과 협재굴 등이 공개되고 있는 관광동굴의 대표적인 것들로 알려져 있다. 이들 동굴들은 계속 드나들고 있는 관광객들에게 자연의 신비로움과 오묘함을 보여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연관찰의 현장으로 그리고 심신단련의 자연도장으로 커다란 몫을 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