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Numerical Analysis of Tour Routes to the Gosu Cave  

Jung, Min-Chae (경희대학교)
Han, Dae-Ho (건국대학교 지리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v., no.93, 2009 , pp. 43-5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Due to the tour route of Gosu cave's designated route, it has a specific shape of a tree. There are some limitations because of there being no comparable analysis to other caves. However, it will be provided as basic data to do the comparable analysis with similar caves' tour routes, and to understand some problems according to the viewing route.
Keywords
Gosu cave; tour routes; networking; numerical analysi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유재신, 1979, '영월 쌍용리, 연당리 일대의 Karst 지형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5, 27-35
2 홍시환, 1979, '종유동의 형성과정에 관한 지형학적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5, 5-13
3 홍현철, 2008, '공개동굴 지형지물의 명칭 및 설명문에 대한 문제점 고찰,' 한국동굴학회지, 87, 23-33
4 김동진, 1987, 산호동굴의 개발의 지리적 배경, 한국동굴학회, 16, 72-88
5 서무송, 2005, '한국의 동굴과 그 이차생성물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66, 19-38
6 김원진, 1998, "성류굴의 지형구조와 2차생성물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55, 51-57
7 변대준, 1993, 동정굴 지역의 지리환경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 36, 54-71
8 오종우·홍현철, 1994, 단양 온달굴 지대의 인문사회지리 환경, 한국동굴학회, 37, 68-80
9 홍충렬, 1993, 월둔굴 지역의 지리환경 연구, 한국동굴학회, 36, 43-53
10 변대준, 1995, 영월 옥동굴 지역의 지리환경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 42, 69-82
11 오종우, 1994, '고씨동굴의 내부지형에 관한 특성과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39, 14-33
12 서무송, 1975, '동굴미지형학적으로 본 한국적 특례: Quick Mud와 Cave Jewel의 성인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1, 12-16
13 홍시환, 1993, '고수동굴의 이차생성물에 관한 지형학적 분석,' 한국동굴학회지, 33, 13-43
14 조미령·정규환, 2009, '동굴내부 지형지물 안내판에 대한 정보제공 특성; 고수동굴을 사례로,' 한국동굴학회지, 91, 11-20
15 서무송, 2005, '이차원의 위종유동에 관한 동굴미지형학적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66, 45-57
16 홍현철, 1992, 백룡동굴 주변의 인문 및 사회환경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 32, 42-64
17 서무송, 2005, '동강 유역의 석회암 동굴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66, 95-109
18 홍현철·홍충렬, 1994, 고씨동굴 주변지역의 인문환경, 한국동굴학회, 38, 39-45
19 변대준, 1993, 환선굴 주변지역의 인문환경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 35, 61-66
20 조훈, 1989, 마산동굴 개발단지의 환경과 배경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 20, 90-112
21 홍시환, 1993, 만장굴 지대의 자연환경 소고, 한국동굴학회, 35, 67-77
22 홍현철, 2008, 동굴관광지의 관계적 입지특성 분석을 위한 그래프이론의 적용(1); 네트워크 분석 기법의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동굴학회지, 86, 8-15
23 홍시환, 1995, '온달굴의 동굴생성물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41, 11-38
24 서무송, 2005, '우리나라의 와지지형에 관한 성인론적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66, 59-66
25 홍현철, 2008, 군집분석을 이용한 동굴 유형분류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84, 1-9
26 서관호·신동원·조용호, 2009, 온달굴 지형지물에 대한 관람 포인트 설정 및 관람루트에 관한 수치분석, 한국동굴학회지, 92, 52-58
27 강승삼, 1990, '일본의 Karst 지형,' 한국동굴학회지, 23, 38-55
28 서무송, 1978 , '백용굴의 성인과 2차생성물에 관한 동굴지형학적 고찰,' 한국동굴학회지, 3, 1-6
29 최무송, 1976, '고수동굴의 동굴지형학적 고찰,' 한국동굴학회지, 2, 7-8
30 홍현철, 2008, 동굴관광지의 관계적 입지특성 분석을 위한 그래프이론의 적용(2); 네트워크의 지위분석 기법의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동굴학회지, 88, 38-44
31 홍현철, 1993, 고수동굴의 교통 및 관광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 33, 47-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