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속응집시스템

Search Result 1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Development of pretreatment system for algae reduction in water treatment plant (정수장 유입조류 저감을 위한 전처리 시스템 개발)

  • Yum, Sang lee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1
    • /
    • 2017
  • 녹조현상은 부영양화된 호수나 유속이 느린 하천에서 부유성의 조류(식물 플랑크톤)가 대량 증식하여 수면에 집적하게 되고 물의 색을 현저하게 녹색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발생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녹조 현상이 광역화, 독성화, 장기화의 특성을 띠며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녹조현상은 독소를 발생시키는 남조류에 의해 수생식물에 악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독소에 의한 가축에의 영향, 생태계 파괴로 인한 생태학적인 문제, 산소결핍으로 인한 물고기 및 각종 수중생물 폐사 등의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또한 조류는 식수에서 맛과 냄새를 유발할 뿐 아니라 Microcystin-LR과 같은 유해한 독소를 배출하여 공중 보건을 위협한다. 이에 식수원으로 사용되는 하천의 조류 번식에 따른 대응방안 마련이 절실히 요구된다. 유입되는 조류로 부터의 정수처리 설비의 처리 부하를 줄이기 위해서는 취수시스템과 연계한 고속 전처리 조류 제거 시스템을 개발이 필요하다. 기존의 전기응집부상공정(Electro-Coagulation and Flotation, ECF)은 화학 약품(응집제) 투여량이 적은 이점이 있지만 비교적 긴 전기 분해 시간이 필요하여 기존 정수처리 시스템과 연계성에 있어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기 분해 시간을 줄여 유입된 조류를 수 초 내에 응집하여 1분 이내에 조류를 분리하는 초고속 조류 전처리 기술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기술의 현장적용 및 실험 결과, 응집과정이 없이도 Chlo-a는 약 45 %의 제거 효율을 나타났다. 또한 응집제의 투입 및 전극에 의한 부상시스템에 의해 Chlo-a가 약 80 %로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나 빈번하게 발생되는 조류로부터 안정적인 물 공급을 위한 전처리 공정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erformance Analysis of TCM applied to CPFSK with Noncoherent Block Detection on the Fading Environment (페이딩 환경에서 비동기 블록 수신 CPFSK에 적용되는 TCM의 성능 분석)

  • Kim, Chang-Joong;Lee, Ho-Kyoung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5.11a
    • /
    • pp.97-100
    • /
    • 2005
  • 우리는 페이딩 환경에서 비동기 블록 수신 CPFSK에 적용되는 TCM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여기서 비동기 블록 수신기는 N개의 심볼을 하나의 블록으로 취급하여 비동기 복조를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블록 수신 방식은 관찰 블록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더 좋은 성능을 나타낸다. 그러나 페이딩의 응집 시간이 수신기의 관찰 블록 길이 보다 작아지면, 블록 수신기의 오류 성능은 매우 나빠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페이딩의 응집 시간이 수신기의 관찰 블록 시간 NT(여기서, T는 심볼 시간)보다 큰 환경을 저속 페이딩 환경 이라고 하고, 그렇지 않은 환경을 고속 페이딩 환경이라고 정의하여, 각각의 환경에서 시스템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고속 페이딩 환경에서 비동기 블록 수신기의 사용은 오류 층(error floor) 현상을 초래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고속 페이딩 환경에서는 수신기의 관찰 블록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더 좋다.

  • PDF

Performance Evaluation of Lab-scale High Rate Coagulation System for CSOs Treatment (강우유출수의 신속한 처리를 위한 고속응집시스템의 성능 평가 -실험실 규모 장치를 중심으로-)

  • Gwon, Eun-Mi;Oh, Seok-Jin;Cho, Seong-Ju;Lee, Seng-Chul;Ha, Sung-Ryong;Lim, Chea-Hoan;Park, Ji-Hoon;Kang, Seon-H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 /
    • v.24 no.5
    • /
    • pp.629-639
    • /
    • 2010
  •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high rate coagulation system(HRCS) for CSOs treatment, fundamental function of lab scale HRCS has been tested by using the Jar tester and lab scale HRCS. The optimum pH dose by Streaming Current value was found in the range of 5.3~6.0 in Fe(III), and in the range of 5.8~6.6 in Al(III) and the optimum chemical dose were 0.44mM of $Al_2(SO_4)_3$ and 0.93mM of $FeCl_3$. The removal efficiencies at optimum $Al_2(SO_4)_3$ dose were 75%($TCOD_{Cr}$), 97%(TP), 95%(SS) and 96%(turbidity), respectively. And the removal efficiency of particles with less than $5{\mu}m$ of diameter was 70% and that of particles with higher than $5{\mu}m$ of diameter was 90%. The optimum alum dose in lab scale HRCS was 150mg/L, and the treatment efficiency was the best with addition of 1.0mg/L polymer. The effect of Micro sand addition was not clear, because the depth of the sediment tank in lab scale HRCS was not long enough. But the HRT of this lab scale HRCS was able to be shorten less then 7 minutes by adding the micro sand. The surface loading rates with respect to using different chemicals were 0.43m/h with alum only, 5.78m/h with alum and polymer and 6.22m/h with alum, polymer and micro sand. As a result, HRCS using coagulant, polymer and micro sand developed in this study was evaluated to be very effective for CSOs treatment.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onvergence Process with Solid-Liquid Separation and Membrane for Wastewater Treatment and Reuse (초고속 고액분리 시스템과 분리막을 이용한 농업용수 재이용 수처리시스템 개발 및 현장적용)

  • Choi, Sunhwa;Kim, Haedo;Jang, Kyu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91-591
    • /
    • 2016
  • 최근에는 재이용을 위한 하 폐수의 처리 공정에 막을 이용한 기술적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현 등, 2005). 막(membrane)을 이용한 수처리 공정은 원수에 상관없이 고도처리가 가능하며, 재이용수 이용 용도에 따른 수질제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운용의 편리성 때문에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박 등, 2004). 본 연구에서는 하수처리에 이용되는 분리막의 성능을 극대화하고, 분리막의 오염부하를 줄여주기 위하여 분리막 직전 전처리 시설로 부상방식의 고액분리장치를 개발하였다. 초고속 고액분리시스템은 기존의 응집부상공정을 응용한 기술로서 유기물의 응집시간을 최대 10초~2분 이내로 줄이는 기술을 바탕으로 타워형 모듈 형태로 개발하였다. 초고속 고액분리시스템과 분리막을 연계한 재이용수 수처리시스템의 성능 평가 및 현장적용을 위해 제주도 서부 하수 처리장에 일 $3,000m^3$ 규모의 Test-bed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하수재이용시스템의 처리 공정도는 "유입${\rightarrow}$고액분리시스템${\rightarrow}$분리막(UF, RO)${\rightarrow}$농경지 공급"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하수처리장 방류수를 1차 유입조에 압송하면 전처리시설인 고액분리시스템을 통해 SS 등 입자성 물질이 처리되고, 다음 공정인 2차 처리공정(UF/RO)을 통과한 처리수는 인근지역의 농업용수로 공급되고 있다. 고액분리시스템은 ZT(Zeta Potential Tower) 모듈에서 유입수에 함유되어 있는 부유물질(SS), 유기물(질소, 인)을 응집제와 순간 반응시켜 응결, 응집, 부상방식으로 제거하는 공정이다. 고속 고액분리장치는 분리막 공정과 융 복합하여 다양한 유입수 성상에 따른 수처리를 가능하게 하여 재이용수 수질 향상뿐만 아니라 안정된 수자원 확보 측면에서 긍정적인 기술로 평가되었다.

  • PDF

Purification of Paper Factory's Wastewater by Superconducting HGMS (초전도 HGMS 자기분리에 의한 제지폐수의 정수처리)

  • Ha, Dong-Woo;Kim, Tae-Hyung;Baik, Seung-Kyu;Oh, Sang-Soo;Ha, Hong-Soo;Ko, Rock-Kil;Kim, Ho-Sup;Kim, You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8.11a
    • /
    • pp.41-41
    • /
    • 2008
  • 제지산업은 다량의 용수를 사용하면서 또한 많은 양의 폐수를 배출하고 있다. 기존의 폐수처리 공정에서는 침전처리를 위한 큰 저수조와 오랜 침강 시간이 요구되어 제한된 공장 내에서의 처리에 어려움이 많다. 이러한 기존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면서도 새로운 고도처리가 가능한 초전도 마그네트를 이용한 자기분리 기술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자기문리의 기본 원리는 강력한 자기력에 의하여 액체에 포함된 자성입자를 분리해내는 것으로 자성입자들이 자계의 힘에 의하여 잡아당겨지고 포획됨으로서 제거되는 것이다. 자기분리용 솔레노이드 마그네트로 초전도마그네트를 적용하게 되면 아주 높은 고구배의 자장(HGMS; High Gradient Magnetic Separation) 을 발생시킬 수 있다. 초전도마그네트와 체(sieve) 형 자기필터를 이용하면 대공간에 전력손실 없이 고자장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미립자를 효과적으로 고속으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또한 상자성 미세입자까지도 처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로 유기물로 구성된 제지며|수의 부유물을 자성체와의 응집반응에 의해 플록을 형성하여 자성 플록의 자기분리 효과를 연구하였다. 자성응집반응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전자석 시스템을 제작하였으며 배치타입의 자기필터를 설계 제작하였다. 또한 응집제의 종류와 응집반응 공정에 따른 자성플록의 형성 정도를 조사하였으며 자기분리 후 폐수의 탁도, SS 등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림 1은 자성응집반응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제작한 전자석 시스템을 나타내고 있으며 전자석의 자장해석 결과를 보이고 있다.

  • PDF

Treatment of Dredging Suspended Solids Using Chitosan Coagulant (Chitosan 응집제를 이용한 준설토 부유물질 처리)

  • Lee, Jun-Ho;Yang, Seung-Ho;Shin, Yiung-Kyewn;Bang, Ki-Wo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3 no.11
    • /
    • pp.834-846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ment of IDFIS system, that are consisted of hydrocyclone, rapid flocculation and inclined settler with chitosan coagulant. As the results of Jar test, a chitosan optimum dosage of 40 mg/L for river sediment, and 5 mg/L for tunnelling wastewater sediment, which these conditions leaves of residual turbidity of less than 5 NTU. Because of the effectiveness of chitosan in removing turbidity was independent on pH, the operation of IDFIS system would be simple. The synthesized turbidity was made with clay particles, river sediment, river suspended sediment, and tunnelling wastewater sediment. Results indicate that the mean overall removal efficiency of turbidity, SS, COD and TP were 98%, 99%, 85% and 95%, respectively. Chitosan is very efficient in removing turbidity in the entire turbidity range examined. IDFIS system would have possibility with compact design, because of the increase of floc size favours the floc settling speed and reduces the settling time.

Design & Implementation of a PC-Cluster for Image Feature Extraction of a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System (내용기반 화상검색 시스템의 화상 특징 추출을 위한 PC-Cluster의 설계 및 구현)

  • 김영균;오길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a
    • /
    • pp.700-702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내용 기반의 화상 검색 시스템을 위한 화상 특징 추출을 고속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LAN 환경에서 유휴(Idle) PC들을 사용한 PC 클러스터에 관해 연구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화상 특징(Image feature)으로서는 칼라의 응집도를 사용하는 CCV(Color Coherence Vector), 화상의 엔트로피를 정량화한 PIM(Picture Information Measure), Gaussian-Laplacian 에지 검출 연산을 사용한 SEV(Spatial Edge Histogram Vector)로서 이들을 추출하기 위한 Task를 Master rude에서 Slave rude들로 전송하고, 연산에 사용 될 화상 데이터를 전송한 후 연산을 수행하고 결과를 다시 Master node로 전송하는 전통적인 Task-Farming형태의 PC Cluster를 구성하였다. 연산에 참여하는 클러스터 노드의 개수를 증가시키며 Task와 화상데이터를 전송하여 이에 따른 연산시간을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는 유휴 PC들로 구성된 PC클러스터를 이용한 효율적인 내용기반의 화상 검색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 활용이 가능하다.

  • PDF

Enhanced Synthesis of Active rPA in the Continuous Exchange Cell-free Protein Synthesis [CECF] System utilizing Molecular Chaperones (분자 샤페론을 사용한 연속확산식 무세포단백질 발현 시스템에서의 재조합 Plasminogen Activator의 효율적 발현)

  • Park, Chang-Gil;Kim, Tae-Wan;Choi, Cha-Yong;Kim, Dong-Myung
    • KSBB Journal
    • /
    • v.21 no.2
    • /
    • pp.118-122
    • /
    • 2006
  • In this report, we describe that the use of GroEL/GroES-enriched S30 extract remarkably enhances the solubility and enzymatic activity of cell-free synthesized rPA, which requires the correct formation of 9 disulfide bonds for its biological activity. We found that the stable maintenance of redox potential is necessary, but not sufficient for the optimal expression of active rPA. In a control reaction without using additional molecular chaperones, most of the rPA molecules were aggregated almost instantly after their expression and thus failed to exhibit the enzymatic activity. However, by the use of GroEL/GroES-enriched extract, combined with IAM-treatment, approximately $30{\mu}g/ml$ of active rPA was expressed in the cell-free synthesis reaction. This result not only demonstrates the efficient production of complex proteins, but also shows the control and flexibility offered by the cell-free protein synthesis system.

가스산업시설에서의 위험성 평가분야에서 지리정보시스템의 적용

  • 이정우;김윤화;김기수;고재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1997.11a
    • /
    • pp.69-75
    • /
    • 1997
  • 우리나라는 그동안 가스산업에서 고속성장을 이룩해 왔으나, 근래에는 중대가스산업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그건 이유로 1996년도에는 중대산업사고 예방제도가 전면적으로 실시되고 공정안전보고서를 작성하여 제출하도록 함으로서 위험성 평가의 중요성이 점차 높아가고 있으며, 위험성 평가 기법들에 대하여 여러 연구 단체에서 연구ㆍ시도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연구ㆍ보고된 위험성 평가 기법들을 프로그램화하고 적용하려는 시도가 많이 있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연구ㆍ개발된 위험성 평가 기법들에 최근 컴퓨터 산업의 발달에 힘입어 각광을 받고 있는 지리정보시스템을 적용하고자 한다. 이러한 가스산업시설의 위험성 평가 시스템은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필요한 여러 가지 정보들을 지리정보시스템이 속성 데이터로서 저장하고 있으나, 가스산업시설에 관련된 주변의 도면들을 공간 데이터로서 저장하고 있다. 그리고 위험성 평가 시스템의 세부적인 기능을 모듈화하였다. 우선 위에 언급한 속성 데이터와 공간 데이터를 관리하는 모듈과 이러한 데이터를 가지고 사고영향 범위를 산출해내기 위한 모듈, 그리고 산출된 사고 영향 범위를 도면에 나타내는 모듈로 나뉘어져 있다. 이렇게 지리정보시스템에 구축되어 있는 도면에 위험성을 평가한 결과치를 나타냄으로서 위험성 평가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위험성 평가를 할 수 있고 결과를 분석하도록 도와 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향후 재난관리시스템에서는 도면상의 도로에 교통량 가중치와 인근 소방서와 경찰서등의 위치를 관리하도록 지리정보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으면, 가스시설물 관리시스템에서는 최근 대형가스사고의 대부분이 타공사에 의한 것임을 고려하여 가스배관망을 포함하여 기타 다른 지하배관망을 관리하도록 지리정보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다. (중략)램프에서 좋은 광학적 특성을 얻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수축이 없이 방전을 확산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램프구조와 구동법을 최적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기체압력을 높임으로서 Xe의 여기복사를 얻을 수 있었다. 동시에 새로운 적용영역의 가능성을 탐구하는데 있다 하겠다.[C/N]의 값을 나타내었다.다.다.화 기술, 구동방법등에 대한 기술개요와 국내외 기술동향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었다.다._{2}$가 0.25[wt%] 첨가된 시편의 20[.deg.C]에서의 유전상수는 16,700으로 최대값을 유전손실을 1.28[%]로 최소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모든 시편은 온도 및 주파수에 따라 유전상수가 완만하게 변화하는 유전이완 특성을 나타내었다.다.수적인 물의 양에 따른 DIAION WA30의 라세미화 효율에 관하여 실험한 결과, 물의 양이 증가할수록 그 효율은 감소하였다. DIAION WA30을 라세미화 촉매로 사용하여 아이소옥탄 내에서 라세믹 나프록센 2,2,2-트리플로로에틸 씨오에스터의 효소적 DKR 반응을 수행해 보았다. 그 결과 DIAION WA30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반응 전환율과 생성물의 광학 순도는 급격히 향상되었다. 전통적 광학분할 반응의 최대 50%라는 전환율의 제한이 본 연구에서 찾은 DIAION WA30을 첨가함으로써 성공적으로 극복되었다. 또한 고체 염기촉매인 DIAION WA30의 사용은 라세미화 촉매의 회수 및 재사용이 가능하게 해준다.해준다.다. TN5 세포주를 0.2 L 규모 (1 L spinner flask)oJl에서 세포간의 응집현상 없이 부유배양에 적응,배양시킨 후 세포성장 시기에 따른 발현을 조사한 결과 1 MOI의 감염조건 하에서는 $0.6\times10^6$cell/m

  • PDF

DDA를 이용한 펄프의 탈수성 평가

  • 이학래;함충현;이상길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ical Association of the Pulp and Paper Industry Conference
    • /
    • 2001.11a
    • /
    • pp.69-69
    • /
    • 2001
  • 최근들어 활엽수 펄프와 재생섬유의 사용이 증대되고, 용수절감을 위해 초지공정이 점차 폐쇄화되어감에 따라 초지계 내의 미세분 함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탈수조건은 더욱 악화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진행되고 있는 초지속도의 고속화를 위해서는 습부에서 의 탈수를 더욱 촉진시킬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여러 가지 방안이 모색되 고 있다. 탈수현상은 원료조성, 초지설비의 종류와 공정구성, 화학첨가제의 사용 여부 등 매우 다양 한 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어떤 주어진 설비를 이용하여 목표 품질의 종 이를 생산하고자 할 경우 초지설비, 운전조건, 펄프 원료, 고해 조건 등은 쉽게 변화시키 기 어렵기 때문에 초지기에서의 탈수성을 조절하기 위해서 각종 탈수촉진제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탈수촉진제의 선정 및 현장 적용에 앞서 실험실적인 평가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 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탈수성의 실험실적인 평가를 위해 1990년대부터 Britt Jar를 변 형시킨 Dynamic Drainage Analyser(DDA)가 폭 넓게 활용되고 있다 .. DDA는 지필 형 성 시 나타나는 스크린 하부에서의 진공도를 측정하여, 갈수선에서의 탈수시간을 도출하 고 탈수성을 평가할 수 있는 장치이다. 그러나 탈수촉진제와 같은 첨가제의 성능을 평가할 경우, 그 첨가 정도에 따라 지료의 보류도가 달라져 측정되는 탈수시간에 영향을 주므 로 이러한 방식으로 얻은 탈수시간은 정확한 의미에서의 탈수성 평가방법이라 할 수 없 다. 이에 탈수성 평가 시 보류의 영향을 반영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탈수성의 평가에 있어 탈수시간과 더불어 습지필의 건조도에 대한 고려 역시 필수적이다. 건조도는 DDA를 이용할 경우 지펼 형성 이후 나타나는 최종 진공도의 정도로 표시되는투기도를 통해 파악되나 적용되는 보류 및 탈수 시스템의 종류에 따라 나타나는 응집 양상은 다양하므로 경우에 따라서 탈수시간과 습지필의 투기도가 서로 반대되는 결과를 나 타내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탈수시간 뿐만 아니라 습지필의 건조도를 동시에 고려함으 로써 DDA를 이용하여 더욱 정확하게 탈수성을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