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분해능

Search Result 389,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고분해능 TEM을 이용한 나노소재의 특성분석

  • 서원선;이영호;이명현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 /
    • v.28 no.2
    • /
    • pp.58-72
    • /
    • 2002
  • The high 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HRTEM) is one of the most powerful methods fer investigating internal structures of various materials on an atomic scale. In fact, HRTEM images are becoming much more common in scientific papers, and are making valuable contributions to development of industrial products. With rapid improvement of current HRTEMS, their maximum resolution reaches almost 0.1 nm.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fundamental formulation of the imaging process of HRTEM and their practical application f3r nano materials.

공초점 주사 현미경에서 고속, 고품질 3차원 영상복원을 위한 최적조건

  • Kim, Tae-Hun;Kim, Tae-Jung;Gwon, Dae-Gap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emiconductor Equipment Technology
    • /
    • 2006.10a
    • /
    • pp.5-9
    • /
    • 2006
  • 공초점 주사 현미경(Confocal Scanning Microscope, CSM)은 Bio-cell 및 특정 형태를 가지는 object의 고분해능 3차원 영상복원이 가능하여 3차원 측정장비로 주로 사용된다. 특히 LCD 패널 및 반도체 웨이퍼의 불량 검사 장비로의 활용이 가능하여 3차원 영상으로부터 불량 여부와 원인을 알아낼 수 있다. 하지만 생산 공정에서 불량 검사를 하기 위해서는 고속, 고품질의 성능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공초점 주사 현미경을 이용하여 고분해능으로 고속, 고품질의 3차원 영상복원을 할 때 어떠한 조건이 요구되는지 알아보고 시뮬레이션 하도록 하겠다.

  • PDF

Analysis of Adiabatic Shearbands via High Resolution Scheme (고분해능 스킴을 이용한 단열 전단띠 해석)

  • Cho, Young-Sam;Im, Se-Young
    • Proceedings of the KSME Conference
    • /
    • 2001.11a
    • /
    • pp.396-399
    • /
    • 2001
  • Development of adiabatic shear bands in thermoviscoplastic materials is analyzed via high resolution scheme. Presented here are our initial results, which are for one dimensional elasto-viscoplastic materials. As the mesh-sizes are getting small, the convergence result of plastic strain rate is obtained using elasto-viscoplastic materials. The further study cases will be reported at the presentation in the framework of the one and the two dimensional shearbanding, respectively. They will be compared with finite element solutions, and the advantage of the scheme will be discussed.

  • PDF

염/담수 분포특성을 이용한 해수침투보호구역 설정

  • 황세호;신제현;박권규;박윤성;이상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9a
    • /
    • pp.151-154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국내의 서-남해 연안지역에서 광범위하게 발생하고 있는 해수침투의 확산방지를 위하여 해수침투보호구역이라는 개념을 소개한다. 해수침투보호구역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해당 지역 해수침투대의 고분해능 염분농도분포가 필요하며 이와 같은 염분농도분포도는 물리탐사 기술로 작성이 가능하다. 전남 영광지역에서 물리탐사 기술로 작성한 해수침투대의 고분해능 염분농도 분포도는 시험시추 결과, 매우 신뢰성이 높았으며 염분농도의 공간적인 분포도에서 해수침투로 인한 지하수 개발 제한지역, 보호구역 등에 대한 설정이 가능하였다. 향후, 해수침투의 확산방지와 지속적인 지하수의 개발이 가능한 해수침투보호구역설정에 대한 후속적인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Microstructure of $\textrm{Zn}_{1-x}\textrm{Fe}_{x}\textrm{Se}$ Epilayers Grown by Molecular Beam Epitaxy (MBE에 의해 성장된 $\textrm{Zn}_{1-x}\textrm{Fe}_{x}\textrm{Se}$ 반도체 박막의 미세구조)

  • Park, Gyeong-Sun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7 no.9
    • /
    • pp.805-810
    • /
    • 1997
  • MBE에 의해 성장된 Zn$_{1-x}$ Fe$_{x}$Se박막의 미세구조가 고분해능 투과전자현미경에 의해 연구되었다.Zn$_{1-x}$ Fe$_{x}$Se 박막에서 CuAu-l과 CuPt의 규칙격자가 발견되었다. 이 규칙격자는 전자 회절과 단면 고분해능 격자 이미지에 의해 조사되었다.CuAu-l규칙격자는 (001)InP기판 위에 성장된 Zn$_{1-x}$ Fe$_{x}$Se(x=0.43)에서 관찰되었고, 반면에 CuPt규칙격자는 (001)GaAs기판 위에 성장된 Zn$_{1-x}$ Fe$_{x}$Se(x=0.43)에서 관찰되었다.43)에서 관찰되었다.

  • PDF

A facile spray coating of bismuth oxide on TiO2 nanotube arrays for lithium ion battery anode materials (스프레이 코팅법을 이용한 산화비스무트-타이타니아 나노튜브 제조와 리튬이차전지 음극으로의 적용)

  • Kim, Nam-Yeol;Jeong, Min-Gyeong;Choe, Jin-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7.05a
    • /
    • pp.146-146
    • /
    • 2017
  • 산화비스무트는 리튬이온과의 반응에서 현재 상용화된 그래파이트보다 높은 이론용량을 가지고 있으나, 리튬이온과의 반응에서 비교적 큰 부피팽창 특성을 가져 리튬이차전지의 음극재로서 상용화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양극산화법을 통해 충 방전시 부피팽창 변화가 매우 적은 타이타니아 나노튜브를 제조한 후, 그 위에 스프레이 방법으로 산화비스무트를 코팅하여 두 물질의 복함체를 만듦으로써 용량과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소개한다. 음극재의 구조적 특성은 고분해능 주사전자현미경 (HR-SEM), 고분해능 엑스선 회절분석기(XRD)를 통해 조사하였으며, 전기화학 임피던스 분광법 (EIS), 순환전류법 (CV), 충 방전 싸이클 분석을 통해 리튬이차전지의 작동원리와 보다 향상된 성능을 규명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