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분자 농도

Search Result 831,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f Drag Reduction by Polymer Additives in Rotating Disk Geometry (회전 Disk계에서 고분자 첨가제에 의한 마찰저항감소 연구)

  • 최형진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3 no.1
    • /
    • pp.76-85
    • /
    • 1991
  • 적은양의 분자량이 큰선형 고부자를 수용액에 첨가함으로서 얻어지는 마찰저항가소 연구가 rotating disk 장치를 이용해 수행되었다. 마찰저항 감소제로 poly(ethylene oxide)와 poly(acrylamide)를 사용하였으며 고분자 분자량 고분자 농도, disk 의 회전속도 및 온도 등 여러 가지 인자에 대한 마찰정항감소의 의존성을 연구하였다. 또한 마찰저항 감소 효과와 고분자 용액의 점도평균 분자량을 동시에 측정함으로서 고분자 퇴화에 대한 연구도 수행하 였다. 마찰저항감소는 고분자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임계농도에 도달할때까지 증가하였고 낮은 농도에서는 분자량이 큰 고분자일수록 더욱 큰 마찰저항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 마찰 감소 진행 중의 높은 전단력에 기인하는 고분자의 분해는 고분자 농도가 낮은데에서 더욱두 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온도 효과의 연구로부터 poly(acrylamide)가 poly(ethylene oxide)보다 열적으로 안정함을 알수 있었다.

  • PDF

Effect of Polyacrylic Acid Concentrations to the SA106 Gr.B and Alloy 690 Materials at the Startup Environments of Secondary Water Chemistry of NPP System (원전 기동시 2차측 수질 환경에서 SA106 Gr.B와 Alloy 690 재료에 미치는 고분자 아크릴산 농도 영향)

  • Gwon, Hyeok-Cheol;Lee, Du-Ho;Seong, Gi-B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4.11a
    • /
    • pp.118-119
    • /
    • 2014
  • 원전 운전 중 2차계통 구성재료가 부식되어 철 산화물이 증기발생기 내부로 유입된다. 유입된 철산화물은 고온고압의 환경에서 침적되어 슬러지가 된다. 침적된 슬러지는 증기발생기 전열관 재료에 응력부식균열(SCC)을 일으키는 주원인으로 원전에서는 철 산화물의 유입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동전 2차계통을 순환 세정하고 있다. 해외 원전에서는 고분자 아크릴산(Polyacrylic Acid)을 순환세정시 주입함으로써 2차계통 철 산화물 제거 효율을 높인 사례가 있었다. 이에 우리 원전에서도 기동전 순환세정시 고분자 아크릴산을 주입 적용하였다. 고분자 아크릴산 주입 전 필수적으로 이뤄져야할 연구는 고분자 아크릴산이 재료에 미치는 영향평가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분자 아크릴산 농도(1, 10, 100 ppm)에 따라 2차계통 구성재료인 SA106 Gr.B와 Alloy 690의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를 수행하였다. 평가방법으로는 전기화학 분극실험, 시편을 침지시켜 실험 전, 후 무게 감량을 이용한 부식률 측정, 표면 상태분석등을 이용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전기화학 분극실험과 부식률 측정결과, 고분자 아크릴산 농도가 높을수록 부식은 증가하였고 고분자 아크릴산 농도 100 ppm일 때 최대 부식률이 0.037 mils로 계산되었다. 이는 부식허용 기준치(5.8 mils)보다는 100배이상 낮았으며 표면분석 결과 고분자 아크릴산으로 인한 pitting 부식은 발생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로 기동시 환경에서 고분자 아크릴산 농도 100 ppm까지는 재료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olysulfone 제막공정중 Morphology의 형성에 관한 연구

  • 김성철;김제영;백기전;이환광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7.10a
    • /
    • pp.11-15
    • /
    • 1997
  • Liquid-liquid phase separation에는 nucleation and growth와 spinodal decomposition의 2가지 경로가 있다. 상온에서 고농도의 고분자 용액과 저량의 비용매의 조성의 근처에는 용해도 갭으로 들어가게 되면 비용매에 아주 미량의 고분자가 있는 조성을 갖는 핵이 고분자 용액 내에서 형성되고 이러한 핵은 여러게가 액적의 형태로 주위의 고분자 용액의 gelation에 의해서 성장이 멈출 때까지 커지게 된다. 여기서 어떤 고분자 상이 nucleation되는지가 매우 중요하게 된다. 실제 우리가 상전이 막을 제조할 경우는 대부분 10wt% 이상의 고분자 농도이므로 polymer-poor상이 nucleation이 된다. Spinodal decomposition의 경우는 용해도 갭을 빠르게 통과해서 nucleation이 일어나지 않고 spinodal line을 지나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의 용액은 매우 불안정해서 약간의 농도 변화에도 자발적인 상분리가 일어나서 polymer-poor상과 polymer-rich상이 서로 얽혀져 있는 network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 PDF

입자 분산 PIB용액에 대한 막대상승 및 유변학적 물성

  • 임성택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9 no.1
    • /
    • pp.40-46
    • /
    • 1997
  • 폴리이소부틸렌(PIB)/폴리부텐(PB) 고분자 용액에 분산된 입자의 영향을 살펴보기위 해 제조된 kaolinite/PIB/PB 용액에 대한 Weissenberg 효과와 유변학적 물성을 조사하였다. Kaolinite 분산 PIB/PB 고분자 용액도 2차 유체로 간주될수 있음이 발견되었으며 느린 변형 속도에서 2차유체로 간주되는 입자 분산 고분자 용액에 대한 막대상승 실험에서 얻는 고분 자 용액의 탄성 발현에 의한 상승높이에 비례하는 막대오름상수 $\beta$값으로부터 유변학적 특 서치들을 구할수 있었다. 이러한 막대오름상수 $\beta$값은 PIB/PB 및 kaolinite/PIB/PB계에서 용매 점도, 입자 농도와 PIB의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는 반면 온도에는 반비례함을 보이는 데 고분자 용융체에서와는 달리 입자 분산고분자 용액의 경우 입자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탄성도 증가하는 특징적 거동을 관찰하였다. 한편 Physica MC-120과 RMS 800 Rheometer 를 사용하여 PIB 고분자 용액의 유변학적 물성들을 측정하였으며 2차 유체 구성방정식에 근거하여 얻어지는 유변학적 특성치들과 비교하였다.

  • PDF

Spinning Characteristics of Polyetherimide Hollow Fiber Membrane for Gas Separation (기체분리용 polyetherimide 중공사막의 제막 특성)

  • 손원일;최성부;김수용;윤현희;김병식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10a
    • /
    • pp.93-95
    • /
    • 1998
  • 1. 서론 : 폴리이미드계 고분자는 기계적 성질과 내열성이 우수한 고분자 소재이다. 일반적으로 기체분리막으로서의 유리상 고분자는 기체의 투과성은 결여되지만, 고분자쇄의 동결속박에 의한 자유부피에 따라 기체의 선택성이 높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고분자로서 polyetherimide(PEI) 를 이용하여 제막조건(고분자 농도, air gap, 용매, 내부응고제 주입량 등)을 달리하는 중공사막을 제조하여, 제막변수에 따른 막의 구조 및 기체투과 특성을 검토하였다.

  • PDF

The Degradation of the Effect of Drag Reduction in Synthetic Polymer Solution (합성고분자 첨가제에 의한 마찰저항감소효과의 퇴화에 관한 연구)

  • 윤석만;최형진;김종보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7 no.2
    • /
    • pp.163-171
    • /
    • 1998
  • Degradation of polymer additives is enhanced at higher temperature of the test solutions. The degradation of Co-polymer solution was investigated experimentally in a closed loop at the temperature of 6$0^{\circ}C$ and 8$0^{\circ}C$ with various polymer concentrations of 100, 200, 400, 600 ppm in order to see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polymer concentration with time. The degradation effect were found to be more dependent on temperature than mechanical shear. The friction factor versus Reynolds number curves show that in the range of Reynolds number number 50,000~150,000 the friction was decreased as Reynolds number increased and the friction of solution at low temperature approached to Virk's maximum drag reduction asymptote. For constant flowrates and temperatures the degradation effect was found to be less likely in higher polymer concentration. For constant flowrates and polymer concentrations the degradation rates are affected mainly by temperature. At the temperature of 8$0^{\circ}C$ and polymer concentration of 100 ppm, drag reduction effect was disappeared after 4 hours. However, this thermal degradation could be avoided with additional materials such as surfactants which are supposed to enhance the bonding forces between polymer molecules.

  • PDF

Hydrodynamic Diffusivity of Spherical Particles Suspended in Polymer Solution (고분자용액에 분산된 구형입자의 수력학적 확산계수)

  • 한민수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9 no.4
    • /
    • pp.183-189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고분자용액을 분산매로한 현탁액 내에서 입자의 수력학적확산에 관 한 실험적인 연구를 수행하여다. 입자로는 평균직경 275마이크론의 polymethlmethacrylate (PMMA)구형입자를 사용하였고, 분산매로는 PMMA 입자와 밀도르 맞춘 글리세린과 에틸 렌글리콜의 혼합용액에 고분자를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고분자로는 분자량 6백만의 시약용 폴리아크릴아마이드를 사용하였다. 입자농도는 50%이었다. 용액의 농도는 0∼700ppm이었으 며 이러한 용액은 전단박화현상을 나타내지 않았다. 확산계수는 쿠엣장치 내에서 입자가 두 원통사이에서 아래쪽의 빈 공간으로 확산할 때 시간에 따른 점도측정결과로부터 예측하여 다. 본 연구의 결과 뉴튼성유체의 경우와는 달리 무차원확산계수(D/2)가 일정하지 않으며 전단율이 증가될수록 점점 감소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고분자의 농도가 증가하는 경우에 는 무차원 확산계수가 감솨는 것을 볼수있었다. 이러한 무차원 확산계수의 감소는 유동하는 현탁액 내에서 입자간의 상호작용이 뉴튼성유체에 비하여 가역적인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rug Release Characteristics of Biodegradable Polymers for Stent Coating (스텐트 코팅용 생분해성 고분자의 약물 방출 특성)

  • 강혜수;김진설;김동운;강병철;이봉희;김범수
    • KSBB Journal
    • /
    • v.18 no.2
    • /
    • pp.107-110
    • /
    • 2003
  • Biodegradable polymers, poly(lactic-co-glycolic acid) (PLGA), poly(3-hydroxybutyrate) (PHB), and medium chain length polyhydroxyalkanoates (MCL-PHA) containing rose bengal (model drug) were coated onto the surface of stainless steel (stent materials) and their in vitro release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Drug release increased with; decreasing PLGA concentration, increasing rose bengal concentration, and Increasing dip-coating duration. The order of drug release from the polymer coating was: PHB > PLGA > MCL-PHA. These results suggest that drug release can be controlled by: changing the concentration and type of polymer, the drug concentration, and the dip-coating duration.

Structure analysis of polymeric micelles using SANS (중성자 소각 산란(Small Angle Neutron Scattering)을 이용한 모델 고분자 미셀의 구조 분석)

  • Tae, Gi-Yoong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 /
    • v.14 no.3
    • /
    • pp.115-118
    • /
    • 2005
  • Structure analysis of model polymeric micelles, both for non-asosciative and associative cases is done by small angle neutron scattering method. Aggregation number of the hydrophobic cores and the lyotropic ordering transitions of aqueous solutions of poly(ethylene glycol)(PEG) (6 K or 10 K g/mol) end-capped with perfluoroalkyl groups $(-(CH_2)_2C_OnF_{2n+1}$ (n =6,8, or 10) are characterized. Aggregation number is mainly determined by the hydrophobe end group only, and is insensitive to polymer concentration or temperature. Also,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non-associative micelles and associative micelles in terms of aggregation number. The model systems order into a BCC structure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A Study of Dewatering Model of Potato Slice when Soaked in Concentrated Solution (고농도 용액의 침지시 감자 절편의 탈수모델에 관한 연구)

  • 신해헌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 /
    • v.12 no.6
    • /
    • pp.582-587
    • /
    • 1999
  • 감자절편을 고농도용액에 침지하여 탈수시킨 결과 침지용액을 구성하는 용질의 분자량에 따라 탈수형태가 다르게 나타났다. 저분자 용액인 NaCl, PEG 400 용액에 침지한 경우 조직의 뒤틀림현상(cytorrhysis) 은 나타나지 않고 부피의 감소와 수분의 탈수현상이 나타난 반면 고분자 용액인 PEG 4000, PEG 6000용액에 침지한 경우 cytorrhysis 현상을 동반한 부피의 감소와 탈수현상이 나타났다. 초기 탈수속도는 저분자 용액에 침지시 더 빨랐으나 최종 탈수량은 고분자 용액에 침지시 더 컸다 고장성 용액에 감자절편을 침지시켜 탈수되는 기작이 두가지 압력(삼투압 분자압착력)에 의해 진행된다고 가정하고 모델을 제안하여 감정한 결과 제안된 모델은 고분자 용액에 침지시의 탈수현항을 설명하는데 적합하였다. 모델에서 구해진 압력인자(ΔP)와 농도인자(a)는 온도(T)와 농도(C) 의 함수로 표현되며 계수의 탄력성 검정결과 농도에 대한 의존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