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무 배합물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4초

직접블렌딩 방법을 이용한 SBR-나일론 접착 연구 (Adhesion Study of SBR-Nylon by Direct Blending Technique)

  • 정경호;강도균;윤태호;강신영
    • 접착 및 계면
    • /
    • 제1권1호
    • /
    • pp.30-37
    • /
    • 2000
  • 고무-섬유로 이루어진 고무복합체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기 위한 직접블렌딩 기술을 본 연구에서 제시하였다. 직접블렌딩 방법은 레소시놀, 헥사메틸테트라민, NaOH로 이루어진 결합체를 고무혼합물 배합공정에 직접 혼합하여 보강섬율의 접착제 처리공정을 생략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러한 직접블렌딩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해 결합체를 직접 고무혼합물에 블렌딩한 경우와(Case I) 결합체를 수용액 상에서 반응시켜 경화물을 얻은 후 이를 분쇄하여 고무혼합물에 배합하는 경우를(Case II) 비교하였다. 모폴로지 분석결과에 의하면 Case II의 경우 결합체와 매트릭스 고무 사이에 뚜렷한 계면이 발생하였지만, Case I의 경우 적절한 가공조건 아래서 결합제와 매트릭스 고무 사이의 반응에 의해 새로운 상이 생성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SBR-나일론 고무복합체의 최적 성능을 위한 결합제의 최적 조성은 레소시놀과 헥사메틸렌테트라민의 mole비가 1.2:1인, 즉 레소시놀과 포름알데히드의 mole비가 1:5인 조성이었다.

  • PDF

충전제의 입자크기 및 구조에 따른 고무 배합물의 마찰 마모특성 (Effects of Particle Size and Structure of Fillers on the Friction and Wear Behavior of Filled Elastomer)

  • 강신영;류창석;홍창국;문채우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1권3호
    • /
    • pp.194-204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카본블랙 충전제의 입자크기 및 구조에 따른 고무 배합물의 마찰 마모 특성을 고찰하였다. 카본블랙의 입자크기와 구조에 따라 마모속도 및 형상이 다르게 되며, 최적 마모성능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충전제의 입자크기와 구조의 마모 영향도를 사용조건에 따라 고려하여야 한다. 충전제의 입자크기와 구조에 따른 마모속도($W_R$) 영향도를 수준별로 고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구조와 입자크기가 다른 10가지의 카본블랙을 선택하여 동일한 양을 천연고무와 배합하였다. 자체 제작한 칼날형 마찰 마모 시험기를 이용하여 마찰 마모 특성을 평가하였고, 카본블랙의 입자크기와 구조의 영향을 고려한 특성인자(${\psi}=\sqrt{{N_2^2}+{DBP^2}}$)와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마모속도($W_R$)와 마찰일($W_f$)의 간에는 power-law 관계가 있었으며, 마모속도는 카본블랙의 특성인자에 역비례 관계를 보였다. 이는 카본블랙의 입자 크기가 작고 구조가 잘 발달 될수록 마모 저항특성은 향상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소재의 변화에 따른 실리콘 고무 폴리머 애자의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Silicone Rubber Polymer Insulator According to Variation of Materials)

  • 박효열;강동필;안명상;명인혜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유기절연재료 방전 플라즈마연구회
    • /
    • pp.27-30
    • /
    • 2003
  • 옥외 절연물은 환경에 의한 오염과 수분에 의한 젖음 현상이 항상 발생하므로 폴리머 애자의 하우징 재료의 전기방전에 대한 열화내성과 우수한 발수성의 장기간 유지특성은 제품의 장기성능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물성이다. 실리콘 고무는 내열성, 내후성, 산화안정성, 발수성 및 내오염성 동 절연소재로서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하우징 표변에서의 방전이 발생될 때 옥외절연물에서의 성능은 실리콘 고무의 배합처방에 따라서 많은 차이가 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내트래킹 agent인 ATH의 첨가량의 변화에 따른 재료의 특성을 조사하고, 그 특성이 실리콘 고무 폴리머 애자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ATH의 첨가량에 따라서 내아크성, 내트래킹성 및 표면 발수성을 조사하였고, 폴리머 애자를 내트래킹 휠 시험 및 선행오손 후 섬락전압을 측정하였다.

  • PDF

복합실험계획(複合實驗計劃)에 의한 투명(透明)창배합실험(配合實驗)

  • 이진택;조현웅;여정우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11권2호
    • /
    • pp.130-135
    • /
    • 1976
  • 복합실험 계획에 의란 투명창배합물의 물성(物性)을 측정하여 각변량인자(各變量因子)에 대(對)한 응답계수(應答係數)를 구하고 F 검정(檢定)에 따라서 응답함수의 유의성(有意性)을 조사한 후 각인자(各因予)에 대한 효과(效果)를 비교하였다.

  • PDF

실란 커프링제로 처리된 실리카가 합성고무 배합물의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ilane Coupled Silica on the Pysical Properties of Synthetic Rubber Compounds)

  • 이석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3권3호
    • /
    • pp.185-192
    • /
    • 1998
  • 고무조성물에 있어 실리카 종류 및 실란 커프링제 효과를 연구하기 위해 실리카와 실란 커프링된 실리카를 함유한 고무조성물의 물리적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실란 커프링된 실리카의 비표면적 및 세공부피는 실란화반응이 진행되는 동안 실란 커프링제가 실리카의 세공을 막기 때문에 순수 실리카의 비표면적 및 세공부피보다 작게 나타났다. 큰 비표면적과 고구조의 실리카는 짧은 스코치시간과 빠른 가황속도를 나타냈다. 반면 실란 커프링된 실리카는 실란 커프링제에 함유되어 있는 유황 성분의 영향으로 순수실리카보다 더 짧은 스코치시간과 더 빠른 가황속도를 나타내었다. 실리카의 비표면적 및 구조에 비해 큰$(N_2SA-CTAB)$값은 높은 300% 모듈러스를 나타냈다. 또한 실리카의 비표면적 및 구조는 마모특성을 나타내는 PICO 손실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cut and chip 손실량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개질된 전분과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의 혼합에서 커플링제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효과 (Effect of Coupling Agent, Methylene Diisocyanate, in the Blending of Poly(methyl methacrylate)-Modified Starch and Styrene-Butadiene Rubber)

  • 이미춘;조을룡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9권2호
    • /
    • pp.117-126
    • /
    • 2014
  •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MDI)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개질된 전분/스티렌-부타디엔 고무(PMMA-modified starch/SBR) 복합체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새로운 개질제로 조사되었다. 한쪽에는 우레탄 결합의 형성으로 인해 다른 한쪽에는 ${\pi}-{\pi}$ 접착 때문에 MDI는 PMMA-modified starch/SBR 계면에서 중간 결합 역할을 하는 것이 형태학적, 기계적, 동역학적 그리고 열적 분해 연구에 의하여 증명되었다. 결과적으로, MDI의 존재는 PMMA-modified starch/SBR 복합체의 기계적 물성과 열적 안정성을 괄목할만하게 개선하였다. 게다가, 생성된 MDI/PMMA-modified starch/SBR 복합체의 여러 가지 물성에 대한 전분 함량의 효과가 형태학, 가황 특성, 기계적 물성, 톨루엔 팽윤 거동, 그리고 열적 안정성에서 조사되었고 자세하게 논의되었다. MDI/PMMA-modified starch/SBR 복합체는 carbon black/SBR(CB/SBR) 복합체보다 우수한 물성을 보였고, 고무 배합물에서 CB의 대체물로서 재생 가능한 전분의 유력한 사용을 보여주었다.

De-link R를 이용한 폐고무 재활용(I) (Recycling of Waste Rubber by De-link System (I))

  • 황성혁;홍존희;유태욱;김진국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6권2호
    • /
    • pp.79-85
    • /
    • 2001
  • 폐고무의 증가로 인하여 환경문제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그러므로 효율적인 재활용을 통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탈황시스템을 이용하여 폐고무 분말의 가황 결합을 분리함으로서 기본물성을 높이는데 목적을 두었다. 폐고무분말의 입자크기에 따른 물성의 변화와 De-link 함량 증가에 따른 물성을 조사하였고 De-link를 함유한 시료를 기존 배합물에 10phr 충전하여 유변학적, 기계적 및 가교도 등의 물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광학현미경을 사용하여 표면을 확인함으로서 제품특성을 연구하였다.

  • PDF

양기능성 커플링제 실란에 의한 실리카-천연고무 복합소재의 계면간 결합 고찰 (Observation of Interfacial Adhesion in Silica-NR Compound by Using Bifunctional Silane Coupling Agent)

  • 이종영;김성민;김광제
    • 폴리머
    • /
    • 제39권2호
    • /
    • pp.240-246
    • /
    • 2015
  • 양기능성 실란 커플링제인 bis(triethoxysilylpropyl)tetrasulfide(TESPT)가 실리카/천연고무 복합소재 내에서 실리카의 hydroxy기와 고무 계면간에 화학적 결합반응을 하여 실리카-실란-고무간의 3차원 사슬구조를 형성한 것을 열분해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기(Py-GC/MS)와 주사전자현미경(SEM)을 통해 관찰하였다. TESPT의 첨가로 배합물 내의 황 함유율이 증가하여 스코치 시간($t_{10}$)은 감소하고, TESPT 내 sulfur donor 역할을 하는 황이 활성화제 및 촉진제와의 복합반응으로 가교반응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서 가교속도지수(CRI)의 값이 감소하였다. 또한 TESPT가 첨가된 컴파운드는 첨가되지 않은 컴파운드에 비해 가공성 및 기계적 물성이 향상되었다. 결과적으로, 실리카로 충전된 천연고무 복합소재에 실란 커플링제(TESPT)가 첨가되어 화학반응으로 실리카-실란-고무간의 3차원 사슬구조가 형성됨을 관찰하였고 이에 따라 가교밀도가 증가하여 복합소재의 물성 증가에 기여함을 보여주었다.

EPDM 고무의 첨가제에 따른 가류 및 물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Effect of Processing Additives on Vulcanization and Properties of EPDM Rubber)

  • 이수;배정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73-185
    • /
    • 2018
  • 화학 관능기가 다른 지방산 에스터계, 지방산 금속염 및 아마이드계 분산 및 흐름개선 첨가제가 EPDM과 카본블랙을 충전제로 사용한 고무 배합물의 가류 특성과 가류된 고무 배합물의 기계적 물성 및 노화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무니점도계, 레오미터, 경도계, 만능재료시험기 등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125^{\circ}C$에서 측정된 무니점도는 아마이드계 > 금속염계 > 에스터계 첨가제의 순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스코치시간은 에스터계와 금속염계 첨가제는 첨가 유무에 따라 거의 차이가 없거나 조금 늦어지며, 아마이드계 첨가제는 1분 이상 빨라졌다. $160^{\circ}C$에서의 레오미터 측정 결과 가류시간은 금속염계와 아마이드계 첨가제의 경우는 가류반응이 빨리 진행되었다. 델타토크 값은 금속염계와 아마이드계 첨가제가 있는 경우 전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에스터계 첨가제가 있는 경우는 약간 감소하였다. EPDM 배합물의 인장강도는 에스터계 첨가제가 첨가된 경우 크게 향상되었으며, 아마이드계와 금속염계 첨가제의 경우는 큰 영향이 없었다. 신율의 경우는 금속염계 첨가제의 경우 크게 향상되었으며, 나머지의 경우는 큰 영향이 없었다. 인열강도는 첨가제의 첨가에 따라 전반적으로 상승하였으며 금속염계 첨가제의 경우에서 확연히 상승하였으며 경도는 첨가제의 종류와 상관없이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100^{\circ}C$에서 24시간 열노화시킨 EPDM 배합물은 금속염계와 아마이드계 첨가제의 경우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신율의 변화는 첨가제를 함유한 모든 EPDM 배합물이 10-20% 정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지방산으로 개질된 글리세라이드가 실리카 충진 배합고무의 가황과 기계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lyceride Modified by Fatty Acid on Mechanical Properties of Silica filled Rubber Compounds)

  • 김동욱;김창환;정호균;강용구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8권2호
    • /
    • pp.114-124
    • /
    • 2013
  • 글리세라이드의 지방산 사슬길이 및 구조적 차이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팜오일에서 추출된 글리세롤과 palmitic acid, stearic acid등 사슬길이가 $C_{12}{\sim}C_{18}$인 지방산을 이용하여, mono, di, tri등 다양한 글리세라이드 구조를 가진 신규 분산제를 합성하였고, 이를 실리카 충진배합물에 적용하여 기존의 금속염 분산제와 비교평가 하였다. 실험결과, 글리세라이드 분산제는 기존의 금속염 지방산 분산제 대비 혼합고무 내 윤활효과가 낮아서 혼합고무의 점도는 높으나, 실리카 분산이 크게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이는 기계적 물성과 마모성능, Payne effect로 확인되었다. 또한 글리세라이드의 지방산 사슬길이가 길수록, 글리세롤에 중합된 지방산 수가 적을수록(tri- < di-< mono-glyceride)혼합고무 내 실리카 분산특성은 향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