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립

Search Result 1,014,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Techniques for Searching Isolated Pipe Sections in Water Pipe Networks (상수도 관망의 고립구역 탐색 기법)

  • Park, Su wan;Kim, Ki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31-131
    • /
    • 2017
  • 상수관의 노후화로 인해 상수관망의 안정성 확보와 지속적인 용수공급에 대한 신뢰성을 증대시키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용수공급시스템을 구성하는 상수관의 파괴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관 파괴 시에 수리, 교체를 위해서 관망의 일부분은 차폐가 되어 해당 지역의 용수 수요자는 수리, 교체작업이 끝날 때까지 단수가 불가피하다. 이런 불편함과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을 찾는 것은 상수관망의 유지관리에서 중요한 문제이다. 상수관망의 부분적 격리는 오염물에 의한 상수관망의 오염, 테러로 인한 독극물의 유입 시 물질의 확산 방지, 상수관망을 이루는 각종 구조물의 고장수리 및 유지 보수 작업 등의 상황을 위해 필수적이다. 상수관망의 부분적 격리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고립구역'이라는 개념이 필요하다. 관 파괴시 밸브가 닫히면서 해당 관과 연결된 관들 또한 함께 격리되는 부분을 '고립구역'으로 정의한다. 관이 두 개의 밸브를 양 끝에 가지고 있는 경우와 독립적인 절점 또한 하나의 '고립구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고립구역'을 실제 상수관망에서 탐색해서 정의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뿐만아니라 상수관 파괴 시 복구를 위해 파괴된 관을 포함한 고립구역이 차폐될 경우, 세그먼트내의 관들은 수원지로부터의 물공급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 특정 관들의 고립구역이 수원지로부터 유일한 용수공급경로일 경우 고립구역의 차폐로 인해 해당 관들의 용수공급도 끊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영역을 '비의도적 고립구간'이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비의도적 고립구간'을 실제 상수관망에서 탐색하여 정의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 PDF

The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Social Isolation and Cognitive Function in Elderly Korean (노인의 사회적 고립과 인지기능의 관계에 대한 일 연구)

  • Kim, Young Bum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7
    • /
    • pp.429-439
    • /
    • 2018
  •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difference in cognitive function according to social isolation level in elderly Korean. The author classified the social isolation into the structural isolation and contact isolation. Structural isolation corresponded to the no spouse or no children and the contact isolation corresponded to the absence of contact with children, friends or social association. Author conducte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elderly people aged 65 years or older from the 5th wave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data. Number of sample was 3,971. It was confirmed that the level of cognitive function was lower according to level of social isolation. It was also confirmed that friends/neighborhood isolation, and social activity isolation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cognitive functions. Based on the results, author suggested that to protect the elderly from negative effects of social isolation, we needed the policy to promote elderly's the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y. The study to analyze the factors related to social isolation was also needed.

Analysis of Solitary Wave through a Submerged Breakwater of Various Shape (다양한 형상의 수중방파제를 지나는 고립파의 해석)

  • Lee, Ha-Woo;Cho, Y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88-9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형상의 수중방파제를 이용하여 고립파(지진해일)에 대한 파랑의 제어기능을 검토하였다. 먼저,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Navier-Stokes 방정식에 기초한 RANS 모형을 사용하였다. RANS 모형에서는 VOF기법을 이용하여 자유수면을 해석하였고, 또한 조밀한 격자간격을 사용하여 수치실험을 실시하였다. 수중방파제의 형상에는 삼각형, 반타원형, 직사각형 및 사다리꼴형을 사용하여 각각의 수중방파제 위를 통과하는 고립파를 해석하였다. 고립파의 파고와 여러 가지 형태를 갖는 각각의 수중방파제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수중방파제를 지나는 고립파의 투과율을 해석하였다.

  • PDF

On Overtopping Characteristics of Tsunami due to Waveforms (파형에 따른 지진해일의 월파특성에 관한 고찰)

  • Lee, Woo-Dong;Kim, Jung-Ouk;Park, Jong-Ryul;Hur, D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42-146
    • /
    • 2017
  • 지진해일의 수리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유사한 파형특성을 가진 고립파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고립파의 근사파형은 실제 지진해일에 비해 상당히 좁은 파형분포를 가지고 있다. 이에 수치모의에서는 기존의 고립파 근사식을 개량하여 고립파형의 지진해일을 수치적으로 생성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진해일의 파형분포에 따른 월파특성을 수치적으로 조사하기 위하여 개량된 고립파 근사식을 2차원 N-S solver에서 적용하였다. 이것에 기초하여 수치파동수조에 직립호안과 그 배후에는 월파수조를 설치하고, 지진해일 월파량을 측정하였다. 수치해석결과로부터 직립호안 주변의 공간파형과 마루 위의 유속분포로부터 파형분포에 따른 월파현상을 분석할 수 있었다. 또한 기존 고립파 근사이론 대비 개량된 고립파의 체적비에 따른 월파량 변화를 정량적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지진해일의 체적비가 증가할수록 월파량이 거의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The Effects of Multidimensional Social Isolation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alysis of Interaction Effects of Age Groups (다차원적 사회적 고립이 신체적·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효과: 연령집단의 상호작용효과 분석)

  • Lee, Sangchul;Cho, Joonyoung
    • 한국사회정책
    • /
    • v.24 no.2
    • /
    • pp.61-86
    • /
    • 2017
  • Along with the well-established evidence on the negative effect of social isolation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increasing attention has been paid to multi-dimensional nature of social isolation. One line of study on social isolation has discussed different pathways between objective and subjective social isolation and health. Another stream of the research focused on the possibly non-linear association between social isolation and health by age cohort groups. Drawing from the two lines of research, this study aimed at empirically examine to what extent objective and subjective social isolation are associated with physical and mental health independently and how the associations vary by three age cohorts(i.e. the middle-aged, the young old, the old-old). Data came from the first wave of Korean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Project (KSHAP) (N= 814). Findings showed 1) objective subjective isolat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worse physical and mental health, interestingly, subjective social isolation was associated with mental health only, 2) pattern of association between social isolation and physical health varied by age cohorts. Specifically, compared to the middle-aged, the young old with higher objective social isolation exhibited lower level of physical health, while the old-old with higher subjective social isolation were likely to experience lower physical health. Based on the findings, we discussed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relevant policy/program development for ameliorating objective and subjective social isolation.

An Investigation of Islanding Detection Method by Using High-Frequency Component of Inverter-Based Distributed Generation (고조파성분을 이용한 인버터기반 분산전원의 고립운전 감지기법 연구)

  • Lee, Soo-Hyoung;Park, Jung-Woo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474-475
    • /
    • 2008
  • 고립운전이 발생하면 고립운전 자체로 안전성 문제가 발생 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계통과 재결합에 있어 계통과의 위상차 및 전압차로 인한 기기손상 및 안전의 문제가 야기되므로, 고립운전을 감지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번 논문에서는 인버터를 기반으로 하는 분산전원의 고조파 성분을 이용하여 기존의 고립운전 감지기술로는 찾아내지 못하는 고립운전 상태를 감지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또한 외적작용이 없는 방법(passive method)을 사용함으로써, 능동적 고립운전 감지기법(active method)으로 인한 시스템의 안정성 저하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한다.

  • PDF

Experiment on Run-up Heights of Solitary Wave at East Coast Slopes (동해안 경사면에서의 고립파 처오름높이에 관한 수리실험)

  • Lee, Sewoong;Cho, Y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26-526
    • /
    • 2016
  • 고립파는 다른 파들과는 달리 파고만 주어지면 파형이 결정되고 변형 없이 장거리를 전파시켜 처오름높이를 가장 잘 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지진해일의 많은 연구에서 입사파로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한양대학교 수리학 및 해안공학 연구실에서 보유중인 서보-피스톤 타입 조파기로 고립파를 발생시켜 2차원 조파수조 내부에 설치되어있는 동해안 경사모형에서 각 수심 및 상대파고에 따른 고립파의 처오름높이 측정실험을 수행하였다. 다수의 파고계를 이용하여 각 구역에서 수심 및 상대파고에 따른 고립파의 파형을 측정하였고, 경사면에서 처오름높이 분포의 최대와 최소, 평균값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동해안에서의 고립파 처오름높이에 대해서 서술하였다.

  • PDF

Testing Transactions based on Verification of Isolation Levels (고립화 수준을 검증하기 위한 트랜잭션의 시험)

  • Hong, Seok-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8 no.7
    • /
    • pp.75-84
    • /
    • 2008
  • Concurrency and synchronization problems are often caused by database applications concurrently accessing databases managed by DBMS. Most commercial DBMSs support isolation levels to resolve these problems. Verification of isolation levels are most important because consistency and integrity constraints of the database can be violated according to isolation levels of transactions that consists of database applications. We propose a test tool set to verify and reveal faulty settings of isolation levels and implement a prototype of the test tool set. The proposed tool set analyzes the SQL statements of ESQL/C programs, attaches the test codes to verify isolation levels, runs the test transactions and detects errors.

Laboratory experiment of conditions for solitary wave generated with sluice gate (Sluice gate를 이용한 고립파 형상 발생조건에 관한 실험적 연구)

  • Cho, Jae Nam;Choi, Seo Hye;Hwang, Kyu Nam;Lee, Seung 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78-378
    • /
    • 2015
  • 연안지역에서 발생하는 퇴적 및 침식현상으로 발생하는 피해를 분석하기 위하여, 고립파를 이용한 연구가 계속 진행되어왔다. 고립파는 파고의 크기에 따라 파형이 결정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연안지역 파랑에 관한 연구에 적합하다. 기존연구는 sluice gate를 순간적으로 개방하는 방식을 통해 갑작스러운 수위의 변화를 유도하여 급변부정류흐름을 발생시키는 연구를 수행하였으나, 고립파 발생 조건에 대한 상세한 분석은 수행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연구에서 사용한 방식과 동일하게 sluice gate를 개방하여 고립파를 발생시켰으며, 실험조건을 상류 headtank 수위와 하류 수심의 수위차를 이용하는 경우와 sluice gate 개방 속도에 따라 두 가지 경우로 나누어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직사각형 수리실험수조는 폭 0.8 m, 높이 0.75 m, 수로길이 12 m에서 상 하류의 수위차를 0.05 m 단위로 높이는 방식과 수문개방속도를 0.5 m/s 부터 1.0 m/s까지 범위를 설정하여 두 가지 재현방식에 따라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Flow-3D GMO(General Moving Objects)기능을 활용한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실험조건에 따른 수리실험 결과를 파랑의 특성인 고립파 파고와 파속을 수치모의결과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수리실험결과와 수치해석결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Sluice gate를 이용한 고립파 수리실험으로 경사면에서 발생하는 침식과 퇴적현상에 관한 기초적인 연구가 될 것이다.

  • PDF

Segment-based Optimal Valve Placement for Minimizing Water Suspension in Water Distribution Systems (상수관망시스템의 단수용량 최소화를 위한 단수구역 기반 최적 밸브위치 선정)

  • Lim, Gabyul;Kang, Doo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5-5
    • /
    • 2019
  • 상수관망시스템은 정수장으로부터 각 수요처에 음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사회기반시설물이며,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 주로 지하에 시설물이 매설되어 있다. 상수관망시스템을 설계하고 운영함에 있어 노후화로 인한 유수율 저하, 갑작스런 수요량의 증가, 관로 파손 등 비정상상황에의 용수공급을 항상 대비하여야 하며, 이를 통한 지속적인 관리와 개량이 필요하다. 상수관망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비정상상황들 중 상수관망시스템 내 관로가 파손될 경우, 파손 관로의 보수 혹은 교체를 위해서는 해당 관로의 용수흐름을 일시적으로 차단할 필요가 있다. 이 과정에서 파손관로와 인접한 밸브를 차폐하게 되며, 이로 인해 용수공급이 중단되는 단수구역이 발생하게 된다. 단수구역은 파손 관로를 차폐함으로써 파손 관로와 함께 용수공급이 차단되는 직접고립지역과 직접고립지역으로 인해 의도치 않게 수원으로부터 물 공급이 차단되는 간접고립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관 파손에 의한 단수용량을 정확히 산정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내 설치된 밸브의 개수와 위치에 따른 직, 간접고립지역(단수구역)을 정확하게 산정할 필요가 있다. Jun and Loganathan(2007)은 단수구역을 직접고립지역과 간접고립지역으로 구분하여 정의하고 각각을 탐색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제시한 간접고립지역 탐색 방법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 및 검증하였다. 또한, 개선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수관망시스템 내 최적 밸브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단수용량과 밸브설치비용을 동시에 최소화하는 다목적 최적화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예시 관망을 이용하여 모의를 수행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