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령자 공동시설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3초

농촌 고령자 공동시설지원 시범사업 주민만족도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Inhabitant's Satisfaction of Community Facilities Demonstration Project for Rural Elderly)

  • 김진환;박중신;송서호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9-16
    • /
    • 2015
  •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community facilities constructed by demonstration project for rural elderly that were promoted for the last two years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The type of community facilities are community living home, community food service facility and small bath house. And it was accomplished satisfaction survey for analyzing the effects of demonstration project focused on inhabitants and users of community facilities constructed by demonstration projec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atisfaction index of community facilities was evaluated high level in generally. Second, Inhabitants and users of facilities were presented high level satisfaction in humanity sector, especially. Third, It should be to establish maintenance and management plan such as supporting of linkage program and operation cost for secure the sustainability. Consequently, the implementation of community facilities demonstration project to improve the living conditions of rural elderly is entirely appropriat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considered to promoting demonstration project for improving quality of the facilities and securing effectiveness of the project.

농촌지역 고령자 공동시설의 추진방향 - '농촌고령자 공동시설지원 시범사업'을 중심으로 - (A Policy of Senior Community Center in Rural Area - Focused on Pilot Project of Senior Community Center -)

  • 남윤철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121-128
    • /
    • 2015
  • The elderly rate in South Korea in 2013 is over 12%. Especially, the elderly rate in rural area is 36%, i.e., in rural area, one of three is people aged 65 and over. Senior community project in rural that is being promoted by the government. This project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health and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in rural Area. This paper investigates cases used as living space by interview and remodeling senior centers (village community center) for the elders living alone in rural areas. In Gimje two the nation's first senior centers were remodeled in 2006 (for both the village community center) and were begun to use these as group homes. Evaluation was a success. Since then, these were increased by approximately 20 centers per year by year and are currently 108 centers at the end of 2011. In Chungcheongnam-do, a pilot project has been begun for communal living by remodeling the senior center (for both the village community center) and elderly housing. Municipalities are similar in their business (is mostly). Senior community center projects can proceed smoothly in the direction of some of the following tips and suggestions to promote. Senior community center should be expanded for 'private room type'. Government must support the operating costs. It will increase employment in rural areas. Senior community center should be 'Home Atmosphere'.

예비 고령자의 경제적 은퇴계획에 따른 고령자 주택선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ousing Choice of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Financial Retirement Planning of Pre-seniors)

  • 김창곤;이주형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5권2호
    • /
    • pp.175-189
    • /
    • 2015
  • 본 연구는 예비 고령자의 노년기 경제적 은퇴계획 특성에 따른 고령자 주택의 주택유형별 선택요인을 분석하고, 향후 고령자 주택의 개발방안을 도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선행연구의 변수를 통제변수로 하고, 새로이 '노년기 경제적 은퇴계획'의 변수를 본 모형을 통해 검증했다는 점에 의의가 존재하며, 세부 모형 간 차이가 있음을 도출했다. 분석결과를 종합해보면 고령자 주택유형 선택모형에서는 노년기 경제적 은퇴계획에서 노인복지시설을 기준으로 단독주택, 공동주택의 선택요인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본 실버주택의 현주소

  • 이충희
    • 주택과사람들
    • /
    • 통권188호
    • /
    • pp.80-83
    • /
    • 2006
  • 우리나라의 평균 수명이 77.5세로 지난 20년새 8.4세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고령화 사회의 진입은 저출산 문제와 맞물려 우리나라의 산업전반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특히 노령화에 따른 주거의 변화가 빠르게 이루어질 전망이다. 절대 평균수명(2005~2010년)으로 세계 제일을 자랑하는 일본의 경우 '유료 노인홈'이나 '공동간호형 특별보호 노인홈' 등 다양한 주거시설을 채택, 고령화 인구의 유입을 꾀하고 있다. 본지에서는 日經아키텍쳐에서 "고령자 복지시설의 트렌드가 하루가 다르게 변한다"고 진단하고 '고령자 주거의 바람직한 모습'을 제시한 특집 '고령자 주고'를 통해 일본 실버주택의 현주소를 점검해 본다.

  • PDF

농촌고령자 공동급식시설의 현황 및 이용 만족도 연구 - 2014~15년 농촌고령자 공동시설지원 시범사업을 중심으로 - (A Research on Using Satisfaction and Situation Survey of Common Meal Facilities for Seniors in Rural Areas - Focusing on the Pilot Project of Common Facilities for Rural Seniors from 2014 to 2015-)

  • 김승근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41-51
    • /
    • 2016
  •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user satisfaction with village bathhouses, selected from a two-year pilot project of common facilities for senior in rural areas from 2014 to 2015.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questionnaire to evaluate user satisfaction, and 135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18 common meal facilities. User satisfaction was evaluated in five categories with a five-point scale: location and spatial composition; emotions and intimacy; safety; nutrition; and maintenance and manage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en overall user satisfaction was evaluated on a five-point scale, the average score stood at 4.24 out of five points and 90.03 out of 100 poin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user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common meal facilities. Among five categories, scores except safety stood at four points or higher, indicating higher user satisfaction. Second, communal meal in rural areas have been carried out already but the environment for communal meal like cooking equipment, wastewater disposal, and space have been poor. However, the environment is improved through this pilot project, which has a positive effect to user satisfaction. Third, space planning for barrier-free or sanitary in storage of food containers are not adequate, which is necessary to detailed planning and concrete guideline.

고령자가 인지하는 지역환경의 고령친화정도 - 일본 나가사키 지역의 물리적 환경을 중심으로 - (The Degree of Age-Friendliness of Living Environments Perceived by the Aged - Focused on the Physical Environments of Nagasaki Area in Japan -)

  • 김수영;배용준;오찬옥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5권5호
    • /
    • pp.199-211
    • /
    • 2016
  • 본 연구는 일본 나가사키시 지역에 거주하는 고령자가 거주지역의 물리적 환경을 어느 정도 고령친화적이라고 인지하고 있으며 이는 고령자의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조사대상은 일본 나가사키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고령자 96명이었으며 조사내용은 고령자와 관련된 근린생활시설의 위치와, 보행로, 교통, 노인공동주택의 제공정도, 주택 내부공간, 주택 내부공간의 휠체어 사용편리성의 5개 영역으로 구성된 지역환경의 고령친화도이다. 자료수집은 일대일 면접조사방법으로 하였다. 조사결과, 첫째, 고령자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대부분의 근린생활시설들이 도보거리 내에 있거나 버스로 10분 이내의 비교적 가까운 거리 내에 위치하고 있었다. 둘째, 지역환경의 5개 영역 중 교통환경과 주택 내부공간, 보행로 영역은 전반적으로 고령친화적으로 되어 있는 반면 노인주택의 제공정도와 주택 내부공간의 휠체어 사용편리성은 다소 미흡하였다. 셋째, 조사대상 고령자의 특성 중 성별과 학력에 따라서는 지역환경의 고령친화도에 대한 인지가 유의미하게 차이를 보였다.

일본의 고령자 거주문제와 주거정책: Aging in Place를 중심으로 (Housing Policy for the Elderly and the Meaning of "Aging in Place" in Japan)

  • 조아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709-727
    • /
    • 2013
  • 최근 전 세계적으로 고령자 주거정책의 기본철학으로 AIP(Aging in place) 이념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AIP에 대한 보편적 정의는 모호한 측면이 있어서, 정책적 편의에 따라 그 의미가 정의되는 경향이 강하다. 이 글은 초고령사회에 접어든 일본을 대상으로 하여, 고령자 거주문제 및 주거정책이 제기되어 온 과정을 분석하고, 그 과정에서 부여된 AIP의 의미를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지난 20년 동안 일본의 복지정책은 고령자의 돌봄 담당자를 가족에서 사회로, 나아가 사회에서 지역으로 전환하는 정책이 추진되었는데, 이에 따라 고령자 주거정책도 3세대 동거 전략에서 민간 임대주택의 공급을 통한 지역거주 전략으로 전환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전환은 고령자의 삶의 질의 향상보다 정부의 재정적자 완화를 일차적인 목표로 추진되었고, 이에 따라 고령자 주거문제는 먼 곳에 입지한 시설이냐 지역 내에 입지한 재택이냐의 양자택일의 문제로 환원되고 있다. 이 글은 고령자 주거정책이 진정한 AIP 이념을 추구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고령자 주거의 시간적 연속성, 공간적 범주, 장소경험의 역동성, 장소의 의미, 공동체의 능력을 복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 PDF

단독주택의 간이스프링클러설비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imple Sprinkler Facility at Single Housing)

  • 홍성우;이영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33-41
    • /
    • 2008
  • 현재 국내 단독주택은 소방시설의 설치유지 및 관리운영에 대한 법적규제가 없을 뿐 아니라, 거주자의 자율 화재예방 의식에 의존하고 있어 방재에 취약하고 열악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택화재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단독주택을 중심으로 화재의 발생현황 및 문제점과 법규적용 및 설계방안을 연구하였으며, 주택화재의 방재대책으로 "건축법 시행령 별표 1"의 용도별 건축물의 종류 중 단독주택은 공동주택과 같이 특정소방대상물로 분류하여 관리토록 하여야 할 것이며,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고령자, 장애인등을 고려한 소화기, 경보설비, 주거용 간이스프링클러설비 등의 소방시설 설치를 의무화 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유니버설디자인 기반 도시철도역사 편의성 평가방법 개발 - 수서역을 대상으로 - (Development of Convenience Evaluation Method of Urban Railway Station based on Universal Design - Focusing on Suseo Station -)

  • 이상화;김황배;김현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8권1호
    • /
    • pp.159-165
    • /
    • 2018
  •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기존의 교통약자에 대한 배려보다는 장애 유무나 연령 등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들이 제품, 건축물, 환경, 서비스 등을 보다 편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이 도입되고 있다. 도시철도역사의 경우 도시생활의 거점이 되는 중요한 시설이며, 다양한 이용자(임산부, 고령자, 장애인, 유아 등)가 존재하기 때문에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을 도입한 시설 정비는 중요하다. 본 연구는 국토 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도시철도역사 이용객 편의성 향상 기술 개발" 과제의 일부로 5개년도 중 마지막 연차 과제로 UD 기반의 시설물 편의성 평가 기준 및 방법을 개발하고 테스트베드역을 선정하여 이용자 편의성 향상을 평가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도시철도역사 시설물의 UD 원칙(평가기준)을 수립하고, UD 적용성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기준 및 체크리스트를 공간별로 개발하고, 해당 평가방법론의 실제 적용을 위해 테스트베드역사(수서역)를 3차년도에 선정, 4차년도에 UD 설계기준을 적용하여 개선한 후 5차년도(현재)에 UD 기반 테스트베드 역사 편의성 향상을 점검하고자 하였다. 테스트베드역사(수서역)의 UD 가이드라인 개선 전/후 현장 조사 수행 후 공동연구기관/철도운영기관/전문가를 대상으로 5점 리커트 척도로 평가한 결과 약 50.3%의 편의성 향상을 보였다. 또한 UD 원칙에 따른 적용 여부를 평가한 결과 개선 전 평균 약 1.8점 ${\rightarrow}$ 개선 후 4.2점으로 약 48.7% 개선되어 전체적으로 UD 가이드라인의 설계기준이 잘 적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UD 기반 평가기준 및 방법론은 향후 도시철도역사 시설물의 UD 적용 여부를 평가하는 정량적인 방법으로 향후 도시철도역사 UD 가이드라인 적용에 따른 평가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