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령자의 정보 접근성

Search Result 1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표준화 동향

  • Kim, Ji-I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9 no.7
    • /
    • pp.62-72
    • /
    • 2012
  • UI 분야 국제 표준화 활동은 ISO/IEC/JTC1/SC35가 주도하며 키보드 자판 배열이나 GUI에서 사용이 되는 아이콘, 위젯, 등의 국제 표준화와 같은 전통적인 활동을 바탕으로, 다양한 언어와 문화의 장벽을 극복하기 위한 국제 표준화 활동, 장애인과 고령자의 접근성 향상 및 보장을 위한 국제 표준화 활동과 직관적이고 풍성한 기능을 가진 미래형 UI에 대한 국제 표준화 활동을 펼치고 있다. SC35 한택위원회는 우리나라가 확보하고 주도하는 미래 지향적인 UI 기술을 국제 표준에 반영하려는 활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고에서는 SC35 중심의 국제 표준화 활동을 소개하고, 우리나라가 추진 중인 웹 브라우저나 문서 뷰어를 위한 마우스 제스쳐 기반의 UI 국제 표준과 3차원 손 동작인식 기반의 3D UI 국제 표준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우리정부에서 제정 고시한 장애인들이나 고령자 등을 위한 모바일 기기용 애플리케이션의 접근성 향상 및 보장을 위한 지침을 소개한다.

A Study on Moblie Application Accessibility Guidelines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지침에 관한 연구)

  • Jung, Sung-Jae;Bae, Yu-Mi;Jang, Rae-Young;Bae, Jung-Min;Soh, Woo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05a
    • /
    • pp.661-664
    • /
    • 2014
  •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s as the prevalence of common, greatly increasing the use of mobile applications. However, unlike PC, the interface of mobile device is limited, too difficult to use the disalbed and the elderly. Goverment 'Mobile Application Accessibility Guidelines' was enacted in order to guarantee the Disabled and elderly people's accessibility, In this paper, Analysis of these guidelines and points to consider when designing a mobile app examined. In addition, the accessibility of Google and Apple Applications are examined.

  • PDF

Mobile SNS Application Accessibility Evaluation for the Disabled and the Aged (장애우 및 고령자 측면에서의 모바일 SNS 앱접근성 평가)

  • Hong, Mee-Hee;Park, Hwa-Jin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3 no.4
    • /
    • pp.575-582
    • /
    • 2012
  • Mobile SNS like facebook is famous as an app which users cooperate others and share information without regard to time and place. But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mobile app accessibility in view of the disabled and the aged to check if they get appropriate interface service to use such a popular app. Mobile app accessibility is an indicator of equal opportunity to mobile app for all users regardless of cognitive and physical attribute. Therefore, this paper evaluates accessibility of facebook and kakaotalk mobile SNS, apprehend the status of conform to the manual, and suggest an improving way, based on 'mobile application accessibility guideline' announced by government and 'mobile application (Android) accessibiliy checking manual(v1.0)' by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Special Theme_ICT 접근성 향상 - ICT 접근성 향상

  • Choe, Du-Jin
    • TTA Journal
    • /
    • s.137
    • /
    • pp.22-27
    • /
    • 2011
  • 정보통신기술(ICT)은 우리 일상생활에 너무나 깊숙이 스며들어 이제 정보통신기술 없이는 행정서비스, 경제활동, 사회참여, 문화활동 등을 향유하는데 많은 제약이 따르는 시대로 접어들었다. 정보통신기술에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들의 정보격차 (Digital Divide)가 경제격차와 사회문화적 격차를 유발하여 사회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궁극적으로 사회통합을 저해할 가능성이 크다. 정보통신 접근성(ICT Accessibility)은 신체적, 인지적 제약으로 정보통신기기나 서비스에 접근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장애인이나 고령자가 일반인과 차별 없이 정보통신의 유용성을 향유할 수 있도록 정보통신기기나 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보장해 주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나라는 미국이나 유럽 등 선진국들에 비해 정보통신 접근성을 위한 법 제도적인 출발이 늦었지만, 최근 수년간 관련 법률의 제정, 정보통신 접근성 보장을 위한 지침 및 표준의 제정 등 다각적인 노력을 경주하여 빠른 속도로 선진국 수준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 지금까지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0', '금융자동화기기 접근성 지침' 등 12개에 이르는 표준을 제정한 바 있으며, 정보통신 보조기기의 개발 보급, 관련 전문인력 양성 및 교육 홍보 등을 통해 정보통신 접근성 수준 향상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 왔다. 앞으로도 모바일 시대, 디지털 융합의 스마트 시대에 대응하여 다양한 정보통신기기 및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표준 제정, 관련 기술의 연구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모든 사람이 정보화의 혜택을 누리는 디지털 통합 (Digital Inclusion) 시대를 열어나가야 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Web Accessibility for Education Homepage in Korea (국내 교육 사이트에 대한 웹 접근성 평가 및 개선 방안 연구)

  • Cho, Jing-Uk;Lho, Young-Uh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05a
    • /
    • pp.449-453
    • /
    • 2008
  • 정보와 환경의 급속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고령자, 장애인 등은 웹 서비스를 포함한 보편적 서비스를 받지 못하고 소외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공공 및 사설 교육 사이트의 E-Learning이 웹 접근성 표준 평가 항목인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Korea Web Contents Accessibility Guide 1.0)을 준수 여부를 웹 접근성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측정 및 분석하고, 정보격차의 해소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The Improvement Index of Smart Public Services to Advance Information Accessibility for the Elderly (고령자 정보접근성 향상을 위한 스마트 공공서비스 지표)

  • Kim, Mi-Yun;Byun, Sung-J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5
    • /
    • pp.43-53
    • /
    • 2018
  • Recently, public service for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and life support such as safety, aging, disaster, welfare, housing, economy, urban environment, traffic etc are actively developed based on open public data, and the spread of the network and the necessity of everyday life, smartphones are playing a role in providing public services. Currently, the development of science is changing the life expectancy of human beings and changing into social structure in which aged people become bigger due to various social conditions and low fertility and aging problems. However, the elderly who do not have easy access to information are very uncomfortable in dealing with mobile devices with very low accessibility and utilization of public services provided by mobile phones. Therefore, this study recategorizes the condition of the elderly presented in the previous study and identifies the problem through case analysis provided for the elderly. Also, we summarize the hierarchy of the core items of the existing interface design and derive it as an improvement index of the public service design for the improvement of the information accessibility of the elderly, and propose a design method to improve the utilization of the public service provided through the mobile device.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Electronic Approval System for Enhancement of the Web Accessibility (웹 접근성을 고려한 전자결재시스템 설계 및 구현)

  • Seo, Mi-Young;Yeo, Jeong-M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489-492
    • /
    • 2009
  • 정보기술의 발전과 인터넷 보급이 급격히 확산됨에 따라 일반 사용자뿐만 아니라 취학 연령 이하의 아동부터 장애인 및 고령자에 이르기까지 많은 사람들이 인터넷을 이용하여 각종 정보를 얻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 웹 환경에서 운영되고 있는 사이트들을 살펴보면 디자인 및 프로그램의 기능적인 요소에만 중점을 두고 비(非) 표준화로 구축되어 있어 신체적이거나 기술적으로 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콘텐츠를 이용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따른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뿐만 아니라 모든 사용자들의 편의성 및 접근성을 고려하여 W3C 및 국내에서 제정한 웹 표준을 기반으로 기업의 대표적인 업무 프로그램인 전자결재시스템을 설계하고 구축한다. 본 시스템은 기업 내 외부에서 업무를 처리하는데 아무런 제약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Implementation of Interface to Support Mobile Accessibility Using Speech I/O APIs (음성 입출력 API를 이용한 모바일 접근성 지원 인터페이스 구현)

  • Oh, Seungchur;Yun, Young-Sun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2 no.1
    • /
    • pp.71-80
    • /
    • 2013
  • Due to the increased use of mobile devices, there is a lot of discussion on mobile accessibility. Mobile accessibility means that everyone, who includes the disabled, the elderly people, can easily use the functions of mobile devices. In this paper, we presented and implemented a mobile interface using a speech I/O APIs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The proposed interfaces are implemented on Android platforms and they used speech recognition and text-to-speech APIs supported as built-in services. In addition, to facilitate the internet access for visually impaired or blind people, we also implemented the web browsing application (web reader).

Fall and Direction Detection Using Multiple Cameras and Sensors (다중 카메라와 센서를 활용한 낙상 및 방향 감지)

  • Insu Jeon;Dayeong So;Chomyong Kim;Jung-Yeon Kim;Yunyoung Nam;Jihoon 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4.01a
    • /
    • pp.191-192
    • /
    • 2024
  • 고령 인구의 지속적인 증가로 인해 고령자의 안전과 관련된 문제는 주요한 관심사 중 하나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고령자들 사이에서 자주 발생하는 낙상 사고는 심각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이를 예방하고 대응하는 것은 고령 인구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8대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과 센서 데이터를 통합한 낙상 감지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은 MediaPipe를 활용하여 Skeleton Keypoint를 추출하는 이미지 인식 기법과 센서 데이터에서 얻은 특징을 활용하는 센서 기반 기술을 결합하여 낙상 사고의 발생 및 방향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향후 고령자들의 생활 안전성과 의료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Psychometric Analysis for Designing Elderly Customized Walking Assist Device (고령자 맞춤형 보행보조서비스 설계를 위한 심리측정 분석)

  • Kim, Junghwa;Jang, Jeong-ah;Choi, Keech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5 no.1
    • /
    • pp.39-51
    • /
    • 2016
  • In accordance to rapid aging of population, the accidents of elderly pedestrian and pedestrian safety are becoming very important issues. In terms of smartphone technologies, older people are increasingly looking for useful and friendly ICT services that which can add a value on their silver life. This paper introduced a new IT-based service for elderly walking assist using a smart-phone accompanied by a wearable watch. We describe the functional requirements and a systems architecture model with an interface between a smart-phone and wearable watch. Moreover,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what services are needed and to estimate elderly pedestrians' WTP (willingness to pay) for IT-based walking assistance device. A total of 189 elderly pedestrians were randomly surveyed through face-to-face interview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3 categories: (1) questions pertaining to socio-economic status, (2) 12 questions regarding walking attitudes, and (3) a question to measure WTP. With this gathered data, factor analysis and path model estimating were conducted. The results identified the elderly user requirements and the use-value of new innovative products for IT-based walking assistance services by two groups(latent elderly and elderly). The modeling result shows that elderly's service preference would increase the possibilities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IT-based walking device with improving their walking saf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