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려 말

Search Result 1,134,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The Comparison of Apparent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s in GGBFS Concrete Considering Sea Water Exposure Conditions (해양 폭로 환경에 따른 GGBFS 콘크리트의 겉보기 염화물 확산계수 비교)

  • Yoon, Yong-Sik;Jeong, Gi-Chan;Kwon, Seung-J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6 no.2
    • /
    • pp.18-27
    • /
    • 2022
  • In this study, the time-dependent chloride ingress behavior in GGBFS concrete was evaluated considering marine exposure conditions and the properties of concrete mixtures. The concrete mixture for this study had 3 levels of water to binder ratio and the substitution rate of GGBFS, and outdoor exposure tests were performed considering submerged area, tidal area, and splash area.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s of diffusion coefficient considering properties of concrete mixtures, as the substitution rate of GGBFS increased, the decreasing rate of the diffusion coefficient decreased based on exposure periods of 730 days(2 years). As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diffus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marine exposure conditions, the diffusion coefficient was evaluated in the order of submerged area, tidal area, and splash area. In tidal area, a relatively high diffusion coefficient was evaluated due to the repetition of wet and dry seawater.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GGBFS substitution rate on the decreasing behavior of apparent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 was analyzed in consideration of exposure conditions and periods.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with apparent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 as output value and GGBFS substitution rate as input value. After 730 days of exposure, the effect of GGBFS on diffusion coefficient was significantly reduced. Even for OPC concrete, after 730 days, the diffusion coefficient was as low as that of GGBFS concrete, so the gradient of the regression equation decreased significantly. It is thought that improved durability performance for chloride ingress can be secured before 730 days through the use of GGBFS.

Korean Spell Correction based on Denoising Transformer (Denoising Transformer기반 한국어 맞춤법 교정기)

  • Park, Chanjun;Jeong, Sol;Yang, Kisu;Lee, Sumi;Joe, Jaechoon;Lim, Heuise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9.10a
    • /
    • pp.368-372
    • /
    • 2019
  • 맞춤법 교정이란 주어진 문장에서 나타나는 철자 및 맞춤법 오류들을 올바르게 교정하는 것을 뜻하며 맞춤법 교정 시스템이란 컴퓨터가 이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맞춤법 교정을 기계번역의 관점으로 바라보고 문제를 해결하였다. 소스문장에 맞춤법 오류문장, 타겟 문장에 올바른 문장을 넣어 학습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단일 말뭉치로 한국어 맞춤법 병렬 말뭉치를 구성하는 방법을 제안하며 G2P(Grapheme to Phoneme)를 이용한 오류 데이터 생성, 자모 단위 철자 오류데이터 생성, 통번역 데이터 기반 오류 데이터 생성 크게 3가지 방법론을 이용하여 맞춤법 오류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론을 제안한다. 실험결과 GLEU 점수 65.98의 성능을 보였으며 44.68, 39.55의 성능을 보인 상용화 시스템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 PDF

The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POS Tagged Corpus based on Morpheme Ready Made Dictionary and RDBMS (형태소 기분석 사전과 DBMS를 이장한 형태소 분석 말뭉치 구축의 한 방법)

  • Cho, Jin-Hyun;Kang, Beom-M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1.10d
    • /
    • pp.33-40
    • /
    • 2001
  • 본 논문은 1999년도에 구축된 '150만 세종 형태소 분석 말뭉치'를 바탕으로 형태소 기분석 사전을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후처리의 수작업을 고려한 반자동 태거를 구축하는 방법론에 대해 연구한 것이다. 분석말뭉치 구축에 있어 기존 자동 태거에 의한 자동 태깅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미 구축된 형태분석 말뭉치를 이용해 후처리 작업이 보다 용이한 1차 가공말뭉치를 구축하는 반자동 태거의 개발과 그 방법론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논의에 따라 분석 말뭉치의 구축을 위한 태거는 일반적인 언어 처리를 위한 태거와는 다르다는 점을 주장하였고, 태거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태깅 방식보다는 수작업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태깅 방식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반자동 태거는 전체적인 태깅 성공률과 정확도가 기존의 태거에 비해 떨어지지만 정확한 단일 분석 결과를 텍스트의 장르에 따른 편차 없이 50% 이상으로 산출하고, 해결이 어려운 어절 유형에 대해서 완전히 작업자의 판단에 맡김으로써 오류의 가능성을 줄인다. 또한 분석 어절에 대해 여러 표지를 부착함으로써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후처리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PDF

Named Entity and Event Annotation Tool for Cultural Heritage Information Corpus Construction (문화유산정보 말뭉치 구축을 위한 개체명 및 이벤트 부착 도구)

  • Choi, Ji-Ye;Kim, Myung-Keun;Park, So-You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7 no.9
    • /
    • pp.29-38
    • /
    • 2012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amed entity and event annotation tool for cultural heritage information corpus construction. Focusing on time, location, person, and event suitable for cultural heritage information management, the annotator writes the named entities and events with the proposed tool. In order to easily annotate the named entities and the events, the proposed tool automatically annotates the location information such as the line number or the word number, and shows the corresponding string, formatted as both bold and italic, in the raw text. For the purpose of reducing the costs of the manual annotation, the proposed tool utilizes the patterns to automatically recognize the named entities. Considering the very little training corpus, the proposed tool extracts simple rule patterns. To avoid error propagation, the proposed patterns are extracted from the raw text without any additional proces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tool reduces more than half of the manual annotation costs.

Parts-Of-Speech Tagging System Using Grammar Rule and Eojeol Relativity (문법 규칙과 어절 상관도를 이용한 품사 태깅 시스템)

  • Do, Mi-Sook;Choe, Ho-Seop;Ock, Cheol-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481-484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문법 규칙과 어절 상관도를 이용한 품사 태깅 시스템을 제안한다. 원시 말뭉치와 품사태그 부착 말뭉치에서 중의 어절(ambiguity eojeol)의 앞뒤 어휘와 품사 정보를 파악하여 문법 규칙을 마련하였으며, 한국어의 품사와 문장성분적 요소를 고려한 7개의 어절 태그를 설정하여 이 어절 태그간의 확률값을 이용해 어절간의 상관도를 구하였다. 이러한 방법들을 이용하여 품사 태깅을 실험한 결과, 150 만 어절의 학습 말뭉치와 3 만 어절의 실험 말뭉치에서 각각 평균 92%와 91%의 정확률을 보였다.

  • PDF

Automatic Tension Classification from Lecture Show Transcripts (강연의 자막을 이용한 긴장도 자동 분류)

  • Yoon, Seungwon;Yang, Wonsuk;Park, Jong C.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8.10a
    • /
    • pp.204-209
    • /
    • 2018
  • 긴장이라는 측면은 의사소통을 하거나 글을 읽을 때 사람에게 항상 영향을 주고 있다. 긴장의 개념은 자연언어처리 분야에서 광범위한 의미로 사용되어 왔는데, 본 논문은 이런 개념 중 강연과 같은 한 방향 대화에서 화자의 말에 대하여 청중이 가지는 긴장도에 집중하여 이를 정량화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한 명의 저자에 의해 서술된 문서에 긴장도 개념을 적용함에 있어, 한 방향 대화에서의 긴장도를 정량화하는 본 연구는 긴장도 개념을 일반 문서에 적용할 때에 보다 용이하게 활용될 것으로 예상한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화자의 말에 대한 청중의 긴장도가 주석되어 있는 새로운 말뭉치를 구축하였다. 또한 문맥을 고려하여 긴장도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과 이에 따른 긴장도 분류 성능에 대한 실험 결과를 통하여 자동 긴장도 분류가 계산적으로 가능하다는 것을 보인다.

  • PDF

The Effects of Pretend Play and Storytelling upon Narrative Recall (화제적인 회상에 기초한 가장놀이와 이야기 구술의 효과)

  • Kim, Sook Yi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 /
    • v.20 no.2
    • /
    • pp.205-223
    • /
    • 1999
  • 이 학습은 단기간과 장기간으로 나누어 연구한 화제적인 회상을 중심으로 이야기 구술과 가장놀이의 그 효과들을 탐구하고 논증(Demonstration)하였다. 특별히 이 학습은 어린이들이 가장놀이의 연기와 구술을 하는 동안에 인지변화들을 동일시하고 시험하였다. 교육자들과 연구자들은 제안하기를 놀이와 이야기를 말하는 것은 한 사건의 인지적인 모형으로 유치원 어린이들이 기초적인 기교(Skill)를 배우는 것으로서 상징의 흐름(Stream of Symbolization)안에서 동시에 나타난다고 시사하고 있다. 가장놀이(Pretend Play)는 인지 발달과 사회성 발달 안에서 중요한 영역으로 오랫동안 고려되어져 오기도 했었다. 그런 의미에서 이 학습은 이야기 구술과 가장놀이, 단기간과 장기간의 기억력, encoding and inference 그리고 그것들의 상호관계들에 대한 발달적인 차이들에 초점을 두었다. 그 data에 의하면 화제적인 회상을 효율화하고 있는 가운데서 이야기 말하기와 가장놀이 사이에 유효한 차이가 있었음을 보여주었다. 그 data는 또한 encode에 대한 질문이 inferences의 능력을 초과했다는 것을 지적하기도 했다. 다시 말해서 그 어린이들은 inferences를 만드는 능력이 향상하지 않았음에도 이야기 구술과 가장놀이에 참여할 수 있었다. 이것은 즉 Inferences는 좀더 복잡한 인지 기교들을 요구하고 있었을 뿐, 이야기 구술과 가장놀이의 향상에는 관계하지 않았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또한 단기간과 장기간의 조건사이에는 유효한 차이가 있지 않았다.

  • PDF

Grammar Error Detection System for Learners of Spoken and Written English (영어 말하기, 쓰기 학습자를 위한 문법 오류 검출 시스템)

  • Seo, Hongsuck;Lee, Sungjin;Lee, Jinsik;Lee, Jonghoon;Lee, Gary Geunba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1.10a
    • /
    • pp.136-139
    • /
    • 2011
  • 외국어 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그에 대한 요구가 늘어남에 따라 언어 교육의 기회를 늘리고 비용을 줄이기 위해 컴퓨터 기반의 다양한 기술들의 요구 역시 증가하고 개발되고 있다. 언어 능력 개발의 중요한 요소로서 문법 교육에 대한 컴퓨터 지원 기술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법 오류 시뮬레이션을 통해 문법 오류 패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들 패턴과 사용자 입력의 패턴 매칭으로 생성된 자질 벡터로 기계 학습을 하여 문법성 확인을 했다. 문법성 확인 결과에 따라 오류 종류에 따른 상대 빈도를 고려하여 오류 종류를 분류했다. 또 말하기와 쓰기 작업의 서로 다른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말하기 작업과 쓰기 작업에 대한 두 개의 다른 말뭉치가 학습에 이용 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Annotated corpora for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of Open Domain Queries (오픈도메인 질의문 자동 분류를 위한 주석 말뭉치 구축 연구)

  • Ahn, AeLim;Lee, SeoJin;Choi, DongHyun;Kim, EungGyun;Nam, Jee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9.10a
    • /
    • pp.309-314
    • /
    • 2019
  • 본 연구는 오픈도메인 자연어 질의문 유형을 '질문 초점(Question Focus)'에 따라 분류하고, 기계학습 기반 질의문 유형 분류기의 성능 향상을 위한 주석 말뭉치 구축을 목표로 한다. 오픈도메인 질의문 분석을 통해 의문사 등의 키워드 기반 질의문 유형 분류의 한계를 설명하고, 질의문 내의 비명시적인 의미자질을 고려한 질문 초점 기반 질의문 유형 분류 기준을 정의하였다. 이 기준에 따라 구축된 112,856 문장의 주석 말뭉치를 기계학습(CNN) 기반 문장 분류 시스템의 학습 데이터로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F1-Score 97.72%성능을 보였다. 또한 이를 카카오 오픈도메인 질의응답시스템에 적용하여 질의문 확장을 위한 의미 자질로 사용하였고 그 결과 전체 시스템 성능을 1.6%p 향상시켰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