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등학교 교실

Search Result 137,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Characteristics on $PM_{10}$ Levels at Classrooms of High Schools in Ulsan (울산지역 고등학교 미세먼지 농도 특성)

  • Jung, Jong-Hyeon;Seo, Bo-Sun;Phee, Young-Gyu;Shon, Byung-Hyu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a
    • /
    • pp.300-302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울산지역의 79개 고등학교 238개 교실을 대상으로 측정한 미세먼지($PM_{10}$)의 농도를 학교, 교실, 지역별로 평가하였다. 울산지역 고등학교 미세먼지($PM_{10}$)의 평균농도는 $63.8 \;{\mu}g/m^3$이었고 일반계가 $64.9 \;{\mu}g/m^3$으로 전문계 고등학교 미세먼지($PM_{10}$)의 평균농도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사립고등학교가 공립 고등학교 미세먼지($PM_{10}$)의 평균농도 보다 높았다. 또한, 남녀공학 교실의 미세먼지($PM_{10}$) 평균농도가 남고와 여고에 비해 높았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학생들의 활동이 많은 일반교실의 평균 미세먼지($PM_{10}$) 농도가 특별실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유지기준 초과율도 특별실에 비해 약 2배 이상 높았다. 학년별로는 1학년 교실의 미세먼지($PM_{10}$) 농도가 2학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 PDF

고등학교 수학 교실수업의 내용 분석

  • Im, Hyeong;Sin, Min-A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6
    • /
    • pp.279-287
    • /
    • 2003
  • 본 연구는 고등학교 수학 교과의 6차시 분의 교실 수업을 비디오로 녹화하여 TIMSS 비디오 연구에서 사용한 코드와 현재 고등학교에서 수업 장학을 위하여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점수형 수업참관록으로 분석하였다. TIMSS 비디오 연구의 코드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교실 수업의 다양한 상황과 수업 내용을 자세하고 객관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1/3정도의 코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문제점을 보여주어서 우리 나라 고등학교 수학 수업 분석을 위해서는 TIMSS 연구에서 사용한 코드의 수를 줄여서 고등학교 수학 교실 분석에 사용하는 것이 유용할 것 같다. 수업참관록의 요소를 사용한 분석 결과는 단순하고 개괄적이어서 수업 내용을 정확하게 분석하기는 어렵고 단지 수업 평가 정도의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수업참관록에 분석 요소를 추가시킴으로서 보다 의미있고 객관적인 수업 장학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tabu search For High-School Timetabling Problems (Tabu Search를 이용한 고교 시간표 자동 작성 개발을 위한 연구)

  • 김광석;정태충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b
    • /
    • pp.125-127
    • /
    • 1999
  • 고등학교 시간표 작성 문제는 학생, 교사, 학교, 일반 교실과 특별 교실 자원등 복잡한 제약조건과 요구사항이 있기 때문에 단순한 방법으로는 해결하기가 어렵다. 학생들은 다양한 과목을 선택할 수 있기를 바라고 교사들은 자신이 원하는 시간에 수업하기를 바란다. 또한, 학교에서는 효율적인 인적 자원 활용과 일반 교실 및 특별실의 사용으로 인한 학교의 장학 능력과 경쟁력의 고양을 원한다. 따라서, 고등학교 수업 시간표를 작성하는데 있어서의 다양한 문제를 최적의 시간표를 최적 탐색 문제로 정의하고, 이 문제를 휴리스틱 접근법인 Tabu Search 방법을 이용하여 해결하고자 한다.

  • PDF

The Mediating Role of Help-seeking Behavior on the Links between Classroom Goal Structure and School Engag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and China (한·중 고등학생들이 지각한 교실 목적구조와 학교 참여 간의 관계에서 도움 요청 행동의 매개효과)

  • QI, BOYA;Ahn, Doehee
    • (The)Korea Educational Review
    • /
    • v.22 no.3
    • /
    • pp.301-327
    • /
    • 2016
  •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Korean and Chinese high school students on classroom goal structure(i.e., mastery, performance-approach, and performance-avoidance), help-seeking behavior(i.e., help-seeking, and help-seeking avoidance), and school engagement(i.e., behavioral, cognitive, and emotional), and to identify the mediating role of help-seeking behavior in the links between classroom goal structure and school engagement. The final samples consisted of 290 Korean and 294 Chinese students in high school.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ly, Chinese students had a higher classroom mastery goal structure, classroom performance-avoidance goal structure, help-seeking and emotional engagement than Korean students, whereas Korean students had a higher behavioral engagement than Chinese students. Secondly, for Korean students, help-seeking and help-seeking avoidance mediated between classroom mastery goal structure and school engagement. Moreover, for Korean students, help-seeking avoidance mediated between classroom performance-avoidance goal structure and school engagement. While, for Chinese students, help-seeking and help-seeking avoidance mediated between classroom performance-avoidance goal structure and school engagement. Also, for Chinese students, help-seeking avoidance mediated between classroom mastery goal structure and school engagement. Therefore, help-seeking should be promoted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school engagement, and classroom mastery goal structure need to be created in order to encourage students' help-seeking.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Interior Visual Environment of Classrooms in the Existing School Buildings (초.중 고등학교 교실의 빛환경 실측 연구)

  • Lim, Sang-Hoon;Chun, Won-Gee;Auh, Chung-Moo;Lee, Nam-Ho
    • Solar Energy
    • /
    • v.12 no.1
    • /
    • pp.3-14
    • /
    • 1992
  • The conventional school building design, which locates the hallway on the north side of the classroom, has proven to be very ineffective for indoor light control. Especially, glares and dark spots on the work plane as well as nonuniform illuminance on the chalkboard were causing undesirable visual effects for the students. The present study has investigated various problems with the classroom in the existing elementary and(junior) high school buildings from the point of indoor visual environment, and made some suggesions for possible solutions.

  • PDF

Analysis of a Night Illuminance Distribution in School Buildings (학교 건축물의 야간 조도분포 분석)

  • 박동화;성낙진;신재화;이병기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0 no.6
    • /
    • pp.48-53
    • /
    • 1996
  • In this paper, the illuminance of elementary,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in Inchon was measured and analyzed to investigate their night illuminating circumstances(classrooms, science rooms, and laboratories). More than four schools were selected based on the years elapsed(l0, 20, and 30 years, etc) since the opening of the schools. It was shown that the average illuminance for the classroom and that for science room and laboratory have been improved significantly such that the former was 235.6[lx] (260[lx] for senior high school, 208[lx] for junior high school, 203[lx]) for elementary school) and the latter was 233.7[lx](248.8[lx] for senior high school, 216.4[lx] for junior high school, 207.8[lx] for elementary school). The uniformity of the illuminance was exceedingly worse than the recommended one(the average value for the classroom and that for sciense room and laboratory were 0.95 and 1.08, r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the maximum to minimum illuminance ratio with respect to illumination derivative(7.9 for classroom, 6.8 for scienceroom or laboratory) was very high for most school buildings and was much higher for the old ones. From the measured results, it was shown that the illuminance for the school buildings needs to be improved with regard to quality.

  • PDF

문제중심학습(PBL)을 통한 수학적 태도 변화에 대한 연구

  • Kim, Bu-Yun;Jeong, Du-Yeong;Jeong, Won-Gy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9 no.1 s.21
    • /
    • pp.253-269
    • /
    • 2005
  • 수학시간에 많은 학생들이 흥미를 갖고 능동적인 학습활동을 할 수 있도록, 실세계 상황의 과제가 제시된 소집단 협력학습, 토론활동 위주의 문제중심학습(PBL:Problem-Based Learning)을 고등학교의 수학교실에 적용한다. 이를 위하여 본고에서는 학습여건의 조성, 적합한 학습과제의 특성, 교사의 역할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발전적인 PBL학습모형을 개발하여 교실 실제에 적용함으로써 고등학교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의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Comparison of Speech Intelligibility depending on the Sound Source Location in the Classrooms of Middle and High Schools (음원의 위치에 따른 중${\cdot}$고등학교 교실의 음성명료도 비교)

  • Lee Hwan-Hee;Haan Chan-Hoo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487-490
    • /
    • 2002
  • 학교 교육의 특성상 많은 부분이 교실에서의 음성정보 전달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바람직한 청취환경의 개선이 검토되어야 한다. 또한 중${\cdot}$ 고등학교의 수학능력시험의 국어, 영어 듣기평가 및 다양한 어학 시험이 시청각 시설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므로 교실의 음환경은 매우 중요한 요소라하겠다. 본 논문에서는 음환경을 좌우하는 음원의 위치에 따라 명료 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고, 명료도가 높고, 교실 전체에 균등한 분포를 보이는 음원의 위치를 찾아내고자 하였다. 교실 내의 음원의 위치로는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고 있는 column(벽면 노출형)과 ceiling(천정 매입형) 위치와 임의의 음원 cluster(전면 중앙)를 선정하여 음장 파라메터를 측정한 결과 RASTI 는 세 타입 모두 $0.54\~0.55$로 값으로 근소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잔향시간은 ceiling>cluster>column의 순서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잔향과 명료도와의 관계는 반비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험 결과 잔향시간이 1.33초로 가장 긴 column 스피커의 경우 D50 값이 약 $47\%$로 가장 높은 값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column형 스피커의 경우 음원과 각 학생의 위치에 대한 평균 직접음선거리가 가장 짧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onnecting Research and Practice: Teaching for Robust Understanding of Mathematics Framework in a Korean Mathematics Classroom Context (수학 교사교육 연구와 실천과제: 효과적인 수학 수업의 다섯 가지 필수 측면 프레임으로 분석한 고등학교 수열 단원 수업과 교사 전문성 신장에 대한 소고)

  • Kim, Hee-jeong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27 no.4
    • /
    • pp.639-661
    • /
    • 2017
  • This article reviews several classroom observational frameworks and introduces one of them, Teaching for Robust Understanding of Mathematics (TRU Math) framework, in more detail. The TRU Math framework has unique features, especially of which it helps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analyze lessons with a focus on opportunities to learn and on how students access to the learning opportunities in mathematics classrooms rather than focusing on teacher behaviors. In this article, using this TRU Math framework, a Korean high school mathematics lesson was analyzed. The analysis illustrates the aspects of good mathematics teaching according to the five dimensions that we theorized. It provides implications on how to better use the tool for both research and practice in Korean school culture and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contexts.

Courseware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Shifting of Figures and Learning on Domains Based on The Web (웹을 기반으로 한 도형이동과 영역학습을 위한 코스웨어 설계 및 구현)

  • 문애리;김하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863-865
    • /
    • 2003
  • 교육정보화의 실현이라는 과제가 현재의 학교현장에 필요한 만큼 제7차 교육과정의 시작과 더불어 학습자의 지식과 능력을 육성하기 위한 미리 계획된 WBI(Web based Instruction)를 기반으로 한 교수 모형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본 연구는 WBI의 교육적 기능을 충분히 반영하여 교실에서 교사가 사용하기 쉽고 효율적인 학습자료를 구현하여 웹 환경이 조성된 교실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현을 위한 프로그램으로는 웹 환경에서 실행하는데 무리가 없고 소용량으로 에니메이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Flash MX를 사용하였고, 고등학교 ‘수학10-나’의 내용 중 교과서와 칠판만을 사용하여 수업하는 데는 한계가 있는 과정인 ‘도형의 이동과 부등식의 영역’을 주로 개발하였다. 학습자들은 학교에서 수업한 내용을 웹 환경을 이용하여 개별학습 및 반복학습을 할 수 있고, 교사들은 교실이나 멀티미디어실에서 웹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구현한 프로그램을 사용함으로 학교 수업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