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등학교 교과서

검색결과 504건 처리시간 0.024초

중등 생물교과 심화과정 학습용 웹 기반 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Web-based Instruction Program for the Enriched Course of School Biology)

  • 예진희;박창보;서혜애;송방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99-313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의 중등 과학 생물영역 심화학습을 위한 웹 기반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적용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중학교 전학년 및 고등학교 1학년 생물영역 심화과정의 5개 주제를 선정하여 의문형으로 제시했으며, 각 주제별로 4개의 하위 학습단원 '활동'을 설정. 총 20개의 '활동'을 개발하였다. 먼저 2개의 하위활동은 기본 및 심화과정 학습내용을 설명하고, 3번째 하위활동은 가상실험을, 4번째 하위활동은 평가 및 정리 문제를 제시하는 방향에서 설계하였다. 이외에 풍부한 자료와 보충 설명을 위하여 용어 사전을 4개 하위활동에 삽입하였다. 각 활동은 하이퍼링트시켜 서로 상호 연결되도록 하였으며, 학습자가 직접실험을 설계 수행하고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가상실험을 설계하였다. 개발된 웹 기반 학습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중학교 3학년 247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은 가정에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제학습을 수행하기보다는 e-mail이나 정보 검색을 목적으로 인터넷을 활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프로그램을 학습한 67명의 학생들은 프로그램을 학습하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생식과 발생'단원의 학습성취도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얻었다. 또한, 학생들은 웹 기반 학습 프로그램의 가상실험과 애니메이션 효과를 선호하였으며, 프로그램이 다른 웹 기반 프로그램에 비해 우수하다고 평가하였다. 반면, 웹 기반 학습 프로그램을 학습하지 않은 학생들은 다론 웹 기반학습 프로그램에 관심이 없으며, 과학에도 흥미가 없다고 응답하였다. 최근 학생들이 가정과 학교에서 인터넷을 활용할 수 있는 여건은 조성되었으나, 학생들의 흥미와 학습효과를 신장시킬 수 있는 웹 기반 프로그램의 개발 보급은 미비한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가상실험, 애니메이션, 다양한 학습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인터넷의 환경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와 학업 성취도를 높이는 과학분야의 웹 기반 학습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일이 시급한 것으로 밝혀졌다.

학생과 학부모의 의복태도가 여교사의 외모관리에 따른 역할수행능력평가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Evaluation for Female teachers' Role-Performance on Their Appearance - according to clothing attitude of students and their parents -)

  • 유경옥;정명선;위은하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33-147
    • /
    • 2007
  • 본 연구는 학생과 학부모의 의복태도를 중심으로 여교사의 외모관리가 역할수행(학습지도, 생활지도, 인간관계형성, 학급경영)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중 고등학생 및 학부모 398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요인분석, 군집분석, ANOVA와 Duncan-test, t-test,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여교사의 역할수행능력 평가는 4요인으로 설명할 수 있었으며 학습지도능력, 생활지도능력, 인간관계능력, 학급경영능력으로 명명하였다. 그리고 학생과 학부모의 의복태도는 개성추구, 유행관심, 의복 중요성, 정숙성 요인으로 명명하였고 이 요인들에 의해 의복태도 유형은, 의복중시 지향집단, 유행 개성 지향집단, 정숙성지향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학생의 경우 유행 개성 지향 집단이 여교사의 학습지도능력, 인간관계능력에서 여교사의 외모가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교사는 학생의 의복태도를 잘 파악하고 역할수행에 맞는 옷차림 및 외모관리로 효율적인 역할수행을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학부모의 경우 의복태도에 따른 여교사가 역할수행능력 평가에 있어 관련성이 적거나 관련이 있더라도 학습 지도 역할을 할 때 보통 정도의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므로 여교사는 학습지도를 할 때 외모관리에 더욱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학생과 학부모의 여교사 옷차림에 대한 관심도는 여교사의 외모에 따른 역할수행능력평가에 영향을 미치므로 여교사 옷차림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학생집단의 지도시에 여교사는 학습지도활동 및 인간관계형성, 학급경영활동을 하는데 있어 여교사 본인의 외모에 신경을 쓸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학생과 학부모는 자신의 의복태도에 따라 여교사의 외모가 역할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다. 학생들의 가치관이 다양화되고 있는 만큼 의생활에 흥미와 관심과 의욕을 가질 수 있도록 충실한 의생활교육이 요구되는 시대에 맞게, 내용은 물론 수업체제를 발전시키는 것이 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변화하는 사회, 생활에 학교교육이 발맞춰 나가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틀을 바꾸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므로, 교과서의 내용을 교육과정 개정주기보다 자주 정기적으로 개편하여 내용을 수정, 보완할 수 있도록 그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1{\pm}10.8%$, 여자 $54.6{\pm}9.9%$로 조사되었다. 칼슘의 섭취량은 평균필요량에 비해 전체 $74.9{\pm}31.9%$로 나타났다. 에너지 섭취량에 있어서 남자 노인들은 모두가 필요추정량의 75% 미만을 섭취하고 있었고 여자 노인의 경우에도 97%가 필요추정량의 75% 미만을 섭취하여 에너지 섭취량이 매우 낮았다 반면에 단백질 섭취량에 있어서는 남자 노인의 경우 100%가 평균필요량의 125%를 초과하였고, 여자 노인의 경우에는 91%가 평균필요량의 125%를 초과하여 대조적이었다. 비타민 A와 E는 각각 평균필요량과 충분섭취량의 125%를 초과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난 반면에 비타민 $B_2$는 특히 남자 노인에서 평균필요량의 75%미만을 섭취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엽산 섭취량에 있어서는 평균필요량의 75% 미만을 섭취한 비율이 전체 96%로 나타나 심각한 부족상태로 조사되었다 반면에 철의 섭취량은 남녀 모두 100%가 평균필요량의 125%를 초과하여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연의 섭취량은 남자 17%,여자 15%가 평균필요량의 75% 미만을 섭취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에너지와 엽산은 모든 노인들에서 평균필요량에 미달되게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단백질과 철분은 남녀 노인 모두에서 평균필요량 보다 적게 섭취한 대상자가 없는 것으로

  • PDF

초 . 중 . 고등학교 교과서의 환경관련 내용분석연구 (An Analysis on the Contents of the Environmental Health in the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 남철현;류장근;최연정;황연자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98-117
    • /
    • 1994
  • To provide data for the contents regarding environmental health (environmental hygiene, environmental pollution) in the textbooks of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s, a total of 243 textbooks was analysed for two months from May, to July 31, 1993. Among the total 52844.50 pages, 1.65% was related to the environmental health, which account for 870.00 pages. In the textbooks by school level, the rate of the contents regarding environmental health in primary school was 1.63% (148.75 pages). that of middle school was 1.96% (243.25 pages) and that of high school was 1.53% (478.00 pages). The area of environmental hygiene was 0.24% (129.25 pages) and that of environmental pollution was 1.40% (740.75 pages) which is slightly high.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hygiene, the rate of the contents in the middle school textbooks was 0.53% which was the higher than that of the primary and high school textbooks. The rate of environmental pollution area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school level but the number of the pages was the higher at the high school than that of the primary and middle schools, which account for 428.8 pages. The contents related by the areas were as follows: 1. Contents related to environmental hygiene 1) Among environemtnal hygiene contents, the rate of housing sanitation was the highest as 0.14% (73.00 pages), that of air environment was 0.06% (33.00 pages) and that of water supply sanitation was 0.03% (17.25 pages). The portion of air environment was 5.00 pages in the primary school textbooks and that of housing sanitation at the middle and high schools was each 35.0 pages, 35.50 pages, which was the more than that of other fields. By school year, there was no contents related at the 1st and 2nd grades but were 4.75 pages at the 4th grade which were the more than those of other grades. At the 5th grade, water supply sanitation part was found but not air environment. Housing sanitation was found at the 3rd, 5th grades and insect or rodent control was at the 3rd, 4th, 5th, 6th grades. 2) In the middle school textbooks related to environmental health, 41.0 pages were included in the textbooks of pysical education, the highest number. The next was 19.5 pages in home economics, 2.8 pages in social studies and 3.00 pages in others. The contents of air environment were found in the textbooks of physical education and science, those of water supply and housing sanitation were in home economics and physical education and those of insect control were found 0.5 pages in home economics only. 3) In the high school textbooks, the highest number was 27.8 pages of home economics and the next was 11.5 pages of others, 7.8 pages of physical education, 2.0 pages of science and 0.3 pages of social studies. Air environment parts were included in the textbooks of science, physical education and home economics and water sanitation was in home economics, physical education and others. Housing sanitation was showed in home economics and social studies, on the other side the contents of insect or rodent control was found in home economics and physical education. 4) By the subjects related to environmental hygiene in the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51.0 pages of home economics were the highest portion. It was also revealed that 49.5 pages of physical education, 14.5 pages of others, 13.5 pages of science and 0.8 pages of social studies were included. The number of 33.0 pages of air environment portion was distributed into 9.75 pages of science, 19.0 pages of physical education and 4.25 pages of others. Among 17.3 pages of water sanitation, 3.5 pages of home economics, 11.3 pages of physical education and 2.5 pages of others were included. Housing sanitation portions were 73.0 pages, which were distributed into 46.5 pages of home economics, 0.5 pages of social studies, 18.3 pages of physical education and 7.8 pages of others. 5) The number of photo, figure, illustration and table related in the primary school textbooks was 31. Among them, the number of photos was 21, that of figures or illustrations was 9 and that of table was 1. The number of 63 in the middle school textbooks was classified into 3 photos, 32 figures or illustrations and 28 tables. At the high school, the number of 56 was included 2 photos, 41 figures or illustrations and 13 tables.2. Contents related to environmental pollution 1)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pollution, the rate of water pollution was 0.39% (203.3 pages), that of air pollution was 0.31% (161.5 pages) that of soil pollution was 0.1% (57.3 pages), that of refuse disposal was 0.08% (40.3 pages) and others was 0.5% (278.5 pages) by school level, the rate of water pollution in the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s was each 40.5, 48.0, 118.8 pages and that of air pollution was each 20.8, 38.3, 102.5 pages. 2) Environmental pollution areas were not inserted in the textbooks at the 1st grade of the primary school but foqnd 5.5 pages at the 2nd grade, 30.5 pages at the 4th grade, 36.3 pages at the 5th grade and a,9.5 pages at the 6th grade. Water pollution was included from the 2nd grade, air pollution and refuse disposal from the 3rd grade and soil pollution from the 5th grade. 3) In the middle school textbooks, environmental pollution was distributed into 90.25 pages of science, 42.8. pages of physical education, 20.5 pages of social studies, 19.5 pages of others and 4.0 pages of home economics. At the high school, the contents were found 191.3 pages in science, 119.3 pages in others, 88.5 pages in social studies, 28.5 pages in physical education and 1.3 pages in home economics. 4) By subjects of the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s, the por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was classified into 322.2 pages of science, 195.0 pages of social studies, 138.8 pages of others, 76.3 pages of physical education and 8.5 pages of home economics. Air and soil pollution parts were not found in the subjects of home economics. 5) The number of photo, figure or illustration and table related in the primary school textbooks was 218. Among them, the number of photos was 61, that of figures or illustrations was 149 and that of tables was 8. At the middike school, the number of 153 was distributed into 99 photos, 34 figures or illustrations and 20 tables. The number of 129 found in the high school textbooks was included 129 photos, 73 figures or illustrations and 100 tables.

  • PDF

PBL(문제중심학습)을 이용한 대학 의류학 전공 실시간 온라인 수업의 학습효과 (Learning Performance of Real-Time Online Classes Using PBL for Clothing and Textiles Majors in College)

  • 김태연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43-161
    • /
    • 2022
  •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온라인 매체나 수업 도구의 활용이 점차 증가하고 특히 고등 교육에서의 전반적인 교육 방향이 강의 중심형 수업에서 활동적이고 학생 중심적인 학습이 가능한 수업으로 이동하면서 학습자의 적극적·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수업의 전략적 요소로서 온라인 학습 환경의 제공이나 다양한 학습자 주도형 교수·학습법이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문제 중심 학습법(PBL)을 적용한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학습자의 주요 학습효과 변인인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협력학습 능력, 문제해결 능력이 궁극적으로 학습자가 인지하는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충청도에 소재한 S대학교의 의류학 전공 수업 중 3학년 35명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이론과 실습이 병행되는 '패션마케팅과 머천다이징' 교과목에 4주 간에 걸쳐 온라인 PBL을 적용하였으며 학습자는 온라인 실시간 강의를 수강 후, 동료 학습자와 소집단을 구성하여 주별 학습 내용과 연관된 문제를 해결하는 활동을 수행하였다. 학습자의 원활한 문제해결을 위해 교수자는 과제수행서와 다양한 학습 도구를 제공하였고 학습자는 소집단별로 Zoom 소회의실에서 집단 토의 활동을 통해 정보의 공유와 분석, 해결안 도출, 결과물 정리를 하였다. 실시간 온라인으로 진행된 PBL 수업의 학습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를 종속 변인으로,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협력학습 능력, 문제해결 능력을 예측 변인으로 설정하여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으며 그 결과,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협력학습 능력, 문제해결 능력, 학업성취도 간에 모두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온라인 PBL 수업을 통한 학업성취도에 협력학습 능력,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문제해결 능력 순서로 모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간 온라인 PBL 수업에서 학습자가 자기주도적인 개별 학습은 물론 협력학습을 통해 최적의 결과를 도출할수록 전공 지식을 적절하게 확산·적용할 수 있으며 학업 성취감을 느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