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등학교 과학교사

검색결과 370건 처리시간 0.021초

중등학교 과학 교사들의 탐구 과정의 활용 정도와 가설에 대한 인식 (The practical use of process skill and the perception about hypothesis by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 김지영;강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58-267
    • /
    • 2006
  • 중 고등학교 현장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7차 교육과정의 탐구 과정 요소의 활용 정도와 가설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사하였다. 조사 결과 교사들은 자료해석을 가장 많이 활용하였으며 다음으로 결론 도출을 많이 활용하였다. 가장 활용 빈도가 낮은 것은 가설 설정이었으며 다음으로는 자료 변환이었다. 이러한 결과와 더불어 교사들이 가장 활용하기 힘들다고 응답한 탐구 과정 요소는 가설 설정이었으며 자료 변환, 변인 통제가 그 뒤를 이었다. 가설 설정은 현장에서 활용 빈도가 가장 낮으며 교사들이 가장 활용하기 힘들어하는 탐구 과정 요소로 나타났다. 가설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결과 많은 교사들(63.1%)이 가설에 대해 바르게 진술하였으나, 구체적인 문제 상황에서 가설을 바르게 선택하는 교사의 비율(5.0%)은 매우 낮게 나타났다. 현장에서 가설 설정 수업의 가능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결과 90%이상의 교사들은 중학교 이상에서 가설 설정 수업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그러나 실제로 과학교사들은 가설 설정을 현장의 과학 수업에 활용하는 것을 어려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중등학교 현장에서 거의 활용되지 않고 있는 가설 설정 관련 수업이 가설에 대한 적절한 정의와 수업 전략이 주어진다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리변화와 화학변화에 대한 중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개념 분석 (An Analysis of Concepts related to Physical and Chemical Change on Middle and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 백성혜;김선경
    • 대한화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55-164
    • /
    • 2003
  • 이 연구에서는 물리변화와 화학변화에 대한 중${\cdot}$고등학교 과학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한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교과서에서는 두 변화에 대해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위해 중학교 2학년 과학교과서부터 고등학교 화학교과서에 이르기까지 총 44종의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과학교과서 분석 결과, 물리변화와 화학변화에 대한 개념이 제시되어 있지 않거나, 제시되어 있다 할지라도 성질유형의 설명에 치우쳐 있었다. 또한 물리변화와 화학변화가 관련되어 설명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제시된 물리변화의 예들이 화학변화의 예들과 혼동되었다. 이러한 서술내용은 물리변화와 화학변화를 배우는 학생들과 가르치는 과학교사들에게 혼란을 유발시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물리변화와 화학변화에 대한 과학교과서의 진술방식을 정확하고 일관성 있는 설명체계로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초·중등학교 교사들의 극지 소양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Polar Literacy)

  • 정수임;최하늘;김민지;신동희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734-751
    • /
    • 2021
  • 이 연구는 극지 소양 교육을 학교 교육과정에 반영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교육과정을 현장에서 구현하는 교사들이 지닌 극지 인식과 교수 경험, 극지 관련 인지적·정의적 특성을 조사했다. 대도시 및 중소도시 10개교의 초·중·고등학교 교사 56명을 대상으로 극지 관련 인식, 교수 현황, 극지 지식, 극지와 기후 변화에 대한 신념 및 태도를 포함한 설문을 실시했다. 그 결과, 교사들은 극지 정보에 대한 효능감은 낮은 편이나, 극지와 기후 변화 문제 해결에 있어 교육자의 위상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세계 시민적 가치를 실용적 목적보다 우선했다. 학교에서 극지와 기후 변화 문제를 교수한 경험은 교과와 비교과에 걸쳐 다양했지만, 완성된 형태의 교수-학습 자료를 제공받기 원하는 등 교수 개발에 있어 수동적인 면모를 보였다. 인지적 측면에서 교사들은 극지 변화와 기후가 영향을 주고받는 작동 원리와 과정에 대해 다소 모호한 이해를 드러냈다. 정의적 측면에서 대부분 교사들은 학교급을 초월해서 극지 관련 문제에 대한 신념과 태도에서 높은 경향이 나타났지만, 행동 선택은 근소하게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극지 소양을 증진시키기 위한 기회 및 자료 제공, 가치 및 태도 형성을 위한 다양한 맥락의 교육 소재 발굴, 극지 연구 자료를 활용한 교육 자료 개발, 학생과 교사를 포함한 극지 지식에 대한 오개념 파악, 초등 교사의 극지 소양 강화, 정의적 태도와 가치관 함양 등의 시사점을 제안했다.

초등학교 교사의 과학 PCK에 대한 학업 열정 수준 및 영향 요인 탐색 (An Exploratory Study on Level and Influencing Factors of Academic Passion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ience PCK)

  • 강훈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3호
    • /
    • pp.553-568
    • /
    • 2022
  •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의 과학 PCK에 대한 학업 열정 수준과 그 열정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소속 초등학교 교사 161명을 선정한 후, 과학 내용학 및 과학 교육학에 대한 학업 열정 검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일부 교사를 대상으로 개별적인 심층 면담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내용학 및 과학 교육학 학습에 대해 '중요함'과 '조화열정'은 높은 수준, '시간/에너지 투자'와 '강박열정'은 보통보다 약간 높거나 낮은 수준이었다. 과학 내용학 학습에 대한 '좋아함'은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지만, 과학 교육학 학습에 대한 '좋아함'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었다. 교직 경력보다 학부 과학 심화전공 여부에 따른 과학 내용학 및 과학 교육학에 대한 학업 열정의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초등학교 교사는 과학 PCK에 대한 열정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개인의 관심 및 흥미', '고등학교 계열', '학부 과학 심화전공 여부', '과학 관련 대학원 진학 여부', '초등학교에서 과학을 가르친 경험', '영재교육원에서 과학을 가르친 경험', '과학 전담 교사 담당 경험', '과학 관련 교사 연수', '과학 관련 교수-학습 자료 개발 경험', '과학 및 과학영재 관련 업무 담당 경험', '과학 관련 교사공동체 참여 경험' 등을 골고루 선택하였다. 그러나 그 선택 비율에서는 학부 과학 심화전공 여부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교사의 과학 PCK에 대한 학업 열정을 높이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교원성과급제도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의 주관성 연구 (The Subjective Study of the High School Teachers on the Performance-based Pay System for Teachers)

  • 유영설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65-274
    • /
    • 2019
  • 본 연구는 교원성과급제도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들의 주관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인간의 주관적 인식을 탐색할 수 있는 Q방법론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3개의 유형이 탐색되었다. 제1유형은, '성과급제 부정형'으로 연구 참여 교사 24명 중 20명, 약 83%가 포함되었다. 교원성과급제도에 대해 정부의 일방적 정책 시행에 대한 불만, 불필요한 스트레스 야기 그리고 교원 간 갈등 및 경쟁 등을 유발하고 교사들의 동기유발이나 직무만족도에는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인식을 나타냈다. 제2유형은 '성과급제 중립형'으로 성과급제 대해 공정한 업무 평가와 교육공동체의 협력적 분위기 강화, 직무만족도 증대 등에 긍정적 인식을 나타냈으나, 교직에 대한 자긍심 증대나 교육적 행동 유발 등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식을 나타냈다. 제3유형은 '성과급제 수용형'으로 성과급제는 기피업무에 대한 보상이면서 교원의 동기유발 및 직무만족도를 높이고 참여적 업무수행과 창의적 업무 수행 등에 대해 긍정적 인식을 나타냈다. 끝으로, 모든 유형에서 성과급제의 평가 척도의 타당도에 부정적 반응을 나타냈다.

고등학교급 과학영재 지도교사의 전문성 요소와 차이: 과학고 수학·과학 교사를 중심으로 (Elements and Changes of Teacher Expertise for the Science Gifted : Focused on Mathematics and Science Teachers in Science High Schools)

  • 정현철;허남영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2호
    • /
    • pp.183-19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급 과학영재 지도교사에게 필요한 전문성의 요소를 도출하고, 과학고 수학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전문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선행연구와 전문가 협의를 통해 전공지식, 탐구지도, 교과교육, 학생지도, 학교업무로 크게 다섯 가지 요소와 각 하위 요소들을 추출하고,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전국 19개 과학고, 총 284명의 수학 과학 교사들이 설문에 응답하였다. 전문성 요소별로 바람직한 과학고 교사에게 요구되는 수준과 자신의 수준을 조사하여 비교하였으며, 과학고 재직 경력에 따른 차이, 학위의 종류(이학, 교육학)와 최종학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향후 과학영재 지도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탐구 능력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Process Skills)

  • 임청환;이성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80-185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과학에 대한 태도와 탐구 능력을 검사하여, 성별과 고등학교 때의 계열에 따른 차이점을 분석하고 과학에 대한 태도와 탐구 능력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 도구는 SAS를 이용하였으며 탐구 능력 검사 도구는 통합 탐구 능력을 측정하는 TIPS II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예비교사들의 성별에 따른 과학에 대한 태도와 탐구 능력은, 전체적으로 보아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초중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들의 결과와 일치하지 않았다. 둘째, 초등 예비교사들의 고등학교 계열에 따른 과학에 대한 태도는 인문계열의 초등 예비교사들이 자연계열 초등 예비교사보다 긍정적이었으며 탐구 능력은 자연계열 초등 예비교사들이 부분적으로 우수하였다. 이러한 결과도 초중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 결과들과는 일치하지 않는 것이다. 셋째,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탐구 능력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하지만 초중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와는 달리, 과학에 대한 태도의 특정 영역만이 탐구 능력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런 연구 결과들을 볼 때, 초중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선행 연구들의 결과를 초등 예비교사들에게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며, 초등 교사 양성 기관에서는 교육 대상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과학교육을 지도할 필요가 있다.

의용생체공학 체험프로그램에 적합한 내용요소 선정 - 고등학교 생명과학 교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election of Contents Fitting for Bio Medical-Engineering Experience Program - Forcus on High School Life Science Textbook -)

  • 조동헌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권4호
    • /
    • pp.84-89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체험프로그램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고등학교교육과정의 생명과학 교과서에서 내용요소를 추출하기 위한 연구이다. 교육 전문가를 중심으로 위원회를 조직하여 체험프로그램의 내용요소 추출을 위한 조사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 사용한 검사 도구는 생명과학 교과 중 체험프로그램에 반영 요구, 체험프로그램에 포함할 내용 영역이었다. 1개월간(2012. 4) 대전광역시 고등학교 46개교에 근무하는 생명과학 교사 전체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응답자는 전체 53명이었다. 연구결과, 유전과 생명과학을 포함하는 체험프로그램이 되도록 하여 15개 중단원을 포괄해야한다. 프로그램에서 다루어야할 하위 내용은 '생명공학의 기술과 이용'을 포함한 32개 내용이다.

  • PDF

현행 중등학교 과학 실험.실습 교육 실태 조사 및 그 운영 진단(II)- 고등학교 과학 실험.실습 교육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and Survey on the Experimental and Practical Science Education of High School in Korea)

  • 이윤종;오철한;기우항;김영호;정원우;양승영;강용회;안병호;임성규;윤일희;권용주;전명남;김중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83-398
    • /
    • 1998
  • 본 연구는 96년도에 실시 한 우리 나라 중학교 과학 실험 실습 교육의 실태 조사 연구에 따른 계속 연구의 일환으로 고등학교 과학 실험 실습 교육의 실태를 조사하기 위한것이다. 연구내용은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분석, 실험, 실습 실시 현황 분석, 현행 실험 실습 교육의 문제점 분석, 현행 학교구성원들의 실험 실습교육 운영 실태 조사 및 현행 실험 실습 교육의 개선을 위한 연구과제 도출을 주요 연구내용으로 다루었다. 연구방법은 전국의 고등학교 80개교를 대상으로 이들 학교의 학생 1,977명, 교사 165명, 학교장 80명에게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중심으로 우리 나라 고등학교 과학 실험 실습 교육의 정상화를 위한 실험 내적인 연구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1)교재 개발에 대한 연구, (2) 실험 킷트 개발에 대한 연구, (3)교사교육 및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 (4)교실밖 실험 실습 활동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 (5)과학 실험 실습 소재의 개발에 대한 연구.

  • PDF

과학고등학교 입학전형에서 학교별 인재상을 고려하는 개선 방향 탐색 (Exploring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in Consideration of the Talent Image of Each School in the Science High School Admissions)

  • 황다현;손정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51-60
    • /
    • 2022
  • 본 연구는 과학고등학교 입학전형에 인재상을 고려하는 개선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과학고등학교 인재상과 역량을 '공공성'과 '효용성', '수행'과 '성과' 유형으로 구분하였는데, 대부분 '공공성-수행'이 우세하였다. 다음으로 3개 과학고등학교의 입학전형에서 인재상 반영 정도와 개선 방향에 대한 설문조사를 과학고등학교 교사, 교육 전문가, 중학교 교사 총 2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1단계 전형에서는 '공공성' 평가가 매우 제한적이었고, '성과' 중심으로 선발하는 경향이 높았다. 둘째, 2단계 면접 평가에서는 '효용성-성과' 중심으로 선발하는 경향이 매우 강했다. 셋째, 1단계 전형에 '역량 중심의 자기소개서 작성, 학교생활기록부의 타 교과 성적 및 비교과 반영, 전문가의 면담'을 도입하여 '공공성-수행' 유형의 인재상에 부합하는 학생선발로 개선해야 한다. 넷째, 2단계 면접 평가에서 '공공성-수행' 유형의 인재상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발산적 사고가 가능한 융합적이고 개방형 문항의 공동 출제가 이루어져야 한다. 결론적으로 과학고등학교 입학전형에 인재상을 고려하는 개선 방향은 역량 중심의 1단계 서류평가와 개방형 문항으로 구성된 2단계 면접 평가로 변화되어야 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