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도이상

Search Result 1,41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External Gravity Field in the Korean Peninsula Area (한반도 지역에서의 상층중력장)

  • Jung, Ae Young;Choi, Kwang-Sun;Lee, Young-Cheol;Lee, Jung Mo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8 no.6
    • /
    • pp.451-465
    • /
    • 2015
  • The free-air anomalies are computed using a data set from various types of gravity measurements in the Korean Peninsula area. The gravity values extracted from the Earth Gravitational Model 2008 are used in the surrounding region. The upward continuation technique suggested by Dragomir is used in the computation of the external free-air anomalies at various altitudes. The integration radius 10 times the altitude is used in order to keep the accuracy of results and computational resources. The direct geodesic formula developed by Bowring is employed in integration. At the 1-km altitude, the free-air anomalies vary from -41.315 to 189.327 mgal with the standard deviation of 22.612 mgal. At the 3-km altitude, they vary from -36.478 to 156.209 mgal with the standard deviation of 20.641 mgal. At the 1,000-km altitude, they vary from 3.170 to 5.864 mgal with the standard deviation of 0.670 mgal. The predicted free-air anomalies at 3-km altitude are compared to the published free-air anomalies reduced from the airborne gravity measurements at the same altitude. The rms difference is 3.88 mgal. Considering the reported 2.21-mgal airborne gravity cross-over accuracy, this rms difference is not serious. Possible causes in the difference appear to be external free-air anomaly simulation errors in this work and/or the gravity reduction errors of the other. The external gravity field is predicted by adding the external free-air anomaly to the normal gravity computed using the closed form formula for the gravity above and below the surface of the ellipsoid. The predicted external gravity field in this work is expected to reasonably present the real external gravity field. This work seems to be the first structured research on the external free-air anomaly in the Korean Peninsula area, and the external gravity field can be us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inertial navigation system.

동해지역의 선상중력자료 처리 및 해면고도계자료와의 비교

  • 최광선;원지훈
    •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Union of Geodesy And Geophysics Kore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Conference
    • /
    • 2003.05a
    • /
    • pp.19-19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국립해양조사원의 '해양2000호'를 통해 1996년과 1997년에 측정한 동해 지역의 중력자료에 대한 자료 처리를 하였다. 효과적인 자료처리를 위해 선상중력자료 처리에 필요한 각종 보정 절차와 문제점 등을 알아보았으며, 선상자료와 해면고도계자료의 비교 및 이를 통한 선상자료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선상중력자료는 측정과 처리 과정에 있어 여러 사항을 고려하여야 한다. 즉, 육상중력기점을 이용한 절대중력으로의 환산 문제, 선박 항해 위치의 부정확성에 기인하는 문제 및 중력계의 기계적 특성과 중력 측정이 이루어질 때의 해상 조건에 의한 영향 등으로 선상중력자료에 나타나는 여러 오차를 최소화하여야 한다. 선상중력자료로부터 각종 지구중력장 연구에 필요한 중력이상을 계산하기 위해 선상중력 측정시 기인되는 각종 요인의 오차를 고려한 효과적인 보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즉, 선상중력계의 기계변이 보정, 탐사선에 대한 위치 자료의 획득 및 필터링, 그리고 탐사선의 이동으로 인한 Eotvos 효과의 정확한 계산 및 보정이 필요하고, 선상중력계의 기계적 특성에 의해 나타나는 시간지연에 대한 보정도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보정을 통해 계산한 중력 이상에서 각 교점의 오차를 보정하는 교정오차 보정도 실시하여야 한다. 특히, 탐사선의 이동으로 인한 지구자전 각속도의 상대적인 증감의 효과로 나타나는 Eotvos 효과의 영향은 선상중력자료의 정확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이의 정확한 계산 및 보정을 위해서는 정확한 위치정보가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GPS 항해정보에 대한 Kalman 필터를 실시하였고, Eotvos 효과에 대해 Savitzky-Golay 필터를 적용하여 최적의 Eotvos 보정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계산된 동해지역의 중력이상에 대한 대력적인 범위는 경도 129° - 133°이고 위도 35° - 38.3° 부근이다. 이 지역에 대한 고도이상은 최소 -42.46 mGal에서 최고 161.13 mGal사이에 분포하며, 고도이상의 평균은 14.450 mGal이다. 또한 Bouguer 이상은 최소 -l5.09 mGal에서 최고 218.61 mGal이고 이의 평균은 82.681 mGal이다. 그리고 동해지역의 선상중력 측정지역에서 선상자료에 의한 중력이상과 Altimeter 자료에 의한 고도이상의 전반적인 윤곽은 비슷하면서도 일부 작은 이상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지형자료와 비교하여 보면 Altimeter에 의한 결과보다 선상측정에 의한 결과가 더욱 잘 일치하고 있어 본 연구에서 계산한 선상자료의 타당성을 알 수 있다. 고도이상의 차이는 최소 -25.94 mGal에서 최대 85.33 mGal의 차이를 보이며 차이의 평균은 3.517 mGal, RMS는 6.774 meal이다. 이는 비교적 큰 차이로 선상측정자료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단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 PDF

Altitudinal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butterflies inhabiting Mt. Jirisan, South Korea (지리산 나비의 고도에 따른 다양성과 서식 분포)

  • Lee, Sanghun;Ahn, Nahyun;An, Jeong-Seop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38 no.4
    • /
    • pp.497-506
    • /
    • 2020
  • This study surveyed the altitudinal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butterflies inhabiting Mt. Jirisan.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thrice (May, June, and July) using a line transect method along four routes in 2015. During the survey, a total of five families, 58 species, and 769 individuals were collected. Of the species collected, the majority belonged to the family Nymphalidae (28 species), followed by Hesperiidae (nine species), Pieridae (eight species), Lycaenidae (seven species), and Papilionidae (six species). As for the individuals, Pieridae accounted for the largest number (333 individuals), followed by Nymphalidae (309 individuals), Lycaenidae (63 individuals), Hesperiidae (33 individuals), and Papilionidae (31 individuals). A cluster analysis performed on the butterfly species distinguished three altitude zones. The butterflies showed different ecological traits in each of the altitude zones. Analysis of the altitudes of the habitats of eight dominant species revealed that each species inhabited a particular altitude. This study confirmed the hypothesis that continuous monitoring will identify changes in the altitudinal distribution and diversity of butterflies on Mt. Jirisan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Estimation Techniques of Hydrological Uncertainties on Rainfall Radar Measurement (강우레이더 관측의 수문학적 불확실도 산정 기법)

  • Hwang, Seok Hwan;Cho, Hyo Seob;Lee, Keon Haeng;Hyun, Myung 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78-78
    • /
    • 2017
  • 강우레이더 관측의 정확도는, 호우의 강도나 형태와 같은 기상학적 조건(변동 오차 요소) 외에도, 관측 지점의 레이더로부터의 거리, 고도, 관측유역의 형태나 크기 등 다양한 관측환경 조건(고정 오차 요소)에 의해서도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강우레이더 관측의 오차 성분을 정량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거리와 고도에 의한 오차 특성을 이중편파 변수의 특성을 이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감쇠의 영향과 산지효과(또는 지형효과)로 인한 오차 규모를 정량적으로 산정 비교하였다.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고도도 높아지기 때문에 QPE 불확실도의 거리와 고도에 따른 성분을 구분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데, 거리에 대한 불확실도 성분이 매우 작은 R(KDP)를 이용한다면 효과적으로 분리가 가능하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관측 거리에 따른 오차가 매우 작은 R(KDP)를 기준으로 관측 거리에 따른 오차와 고도에 따른 오차를 분리하여 표준화[Z-score] 하였다. R(Z)의 경우는 관측 고도와 거리에 따른 오차가 중첩되어 나타나나, R(KDP)는 거리에 따른 오차는 거의 나타나지 않으므로 이를 기본 가정으로 하여 R(Z)와 R(KDP) 관계로부터 관측 고도에 따른 오차 성분만 분리하였다. 분리 결과, 관측 거리에 따른 표준 오차의 경우 100km 까지는 대략 10%(0.1) 이하로 나타났으나, 150km 이상에서는 30%(0.3)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측 고도에 따른 표준 오차의 경우 2~3번째 고도각 까지는 대략10%(0.1) 이하로 나타났으나, 3번째 고도각 이상에서는 20%(0.2), 4번째 고도각 이상에서는 50%(0.5)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 고도에 의한 영향이 거리에 의한 영향보다 민감하게 나타났다. 1번째 고도각에서는, 100km 이내 근거리에서 관측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오차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저고도 빔 간섭(빔 차폐) 등의 영향으로 추정되었다.

  • PDF

Determination of Marine Gravity anomaly Around the Korean Peninsula from GEOSAT Satellite Altimeter Measurements (GEOSAT 인공위성 해면고도 관측자료를 이용한 한반도 주변해역에서 의 중력이상의 결정)

  • 양철수;최광선
    • 한국해양학회지
    • /
    • v.29 no.4
    • /
    • pp.383-391
    • /
    • 1994
  • Sea surface height geoidal undulation, and gravity anomaly derived from satellite altimeter measurements are described. Assuming mean sea surface height (MSSH) as geoidal undulation, MSSH was converted to gravity anomaly. the result shows that the gravity anomaly derived from satellite altimeter data can be mapped to an accuracy of the surface ship gravity measurements. The data used for the conversion is the two-year mean sea surface height obtained from GEOSAT Exact Repeat Mission. The conversion was carried out using fast Fourier transform with plane approximation. In this process, the so called remove-restore method was employed.

  • PDF

Development on Model for Checkdam Location Selection (GIS기법을 이용한 사방댐 입지선정 모델 개발)

  • Kim, Ki-Heung;Jung, Hea-Reyn;Park, Sang-Heyn;Ma, Ho-Seop;Park, Jae-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817-1821
    • /
    • 2010
  • 본 연구에서의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한 사방댐 입지선정모델 개발은 산사태 발생 예측을 위한 사면안정성 평가 기준을 개발하여 사방댐 지점을 선정하기 위하여 체계적으로 표준화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이며, 2002년 태풍 '루사'와 2003년 태풍 '매미'에 의하여 토석류와 산사태가 발생한 서부경남 지역의 38개 지점에 대하여 항공사진 수집 및 현장조사를 수행하고, 산사태 발생에 관계되는 강우, 지형, 지질 및 토양, 임상 등을 인자로서 규정하였다. 연구결과 서부경남지역에서 발생한 산사태는 지리산, 가야산, 좌굴산 등 EL. 500m 이상의 비교적 고도가 높은 산악지역에서 지형성 집중호우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강우량과 산사태의 상관분석결과 시강우량 70mm 이상 및 누가강우량 230mm 이상에서 산사태의 발생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사태 발생지점에서의 고도(평균해수면 기준)와 능선의 고도와의 비를 백분율로 계산하여 빈도를 살펴보면 산사태 발생지점이 능선의 90% 이상의 고도에서 산사태의 발생빈도가 53%로 가장 높고, 80-90%는 21%, 70-80% 16%의 순으로 산사태 발생빈도가 감소하고 있으며, 고도가 더욱 낮아져 산사태 발생지점이 60% 이하로 내려가면 산사태 발생빈도는 급격히 감소한다. 예를 들어 능선의 고도가 1000m일 경우 900m 이상의 고도(90% 이상)에서 산사태 발생빈도가 가장 높고 600m 이하의 고도(70% 이하)에서는 발생빈도가 급격히 저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사태 발생지점의 표면 굴곡도에 따른 산사태의 발생빈도는 대부분의 평행사면에서 74%, 약간 오목사면에서 26%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지구의 지질 및 토양별 산사태 발생빈도는 화성암계열의 지질 및 자갈/암괴 섞인 토사의 토양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34-40^{\circ}$ 사면경사에서 40%, $26-34^{\circ}$ 사면경사에서 26%, $26^{\circ}$ 이하의 사면경사에서 22%가 주로 발생하였으며, $40^{\circ}$ 이상의 높은 사면경사에서는 극히 미미하였다. 또한 임상 기준으로는 침엽수림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결과를 기초로 매우 안정, 안정, 부분적 안정, 불안정, 매우 불안정, 위험 지역으로 구분하고, 평가한 결과는 불안정 33개소, 매우 불안정 5개소 등 38개소 지점 모두에 사방댐 설치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Precipitation considering elevation (고도에 따른 강수량 검토)

  • Jong gu Hwang-Bo;Hee Joo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73-273
    • /
    • 2023
  • 강수량은 물순환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를 계측하는 것은 수문조사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강우-유출 모형은 기본적으로 강수량이 정확해야 그 결과인 유출량이 정확하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일반적으로 강수량은 고도(Elevation)에 따라 차이를 보이며 고도가 상승할수록 강수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현상을 고려하여 유역의 강수량 관측계획을 수립할 때 유역고도를 고려하여 설계하기도 하며, 평균강수량 산정 시 유역의 고도를 고려하기도 한다. 우리나라는 국토의 70% 이상이 산지지형으로 한 유역내에서도 고도변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유역의 고도를 반영하여 평균강수량을 산정하려면 기본적으로 유역 고도에 따라 고르게 강수량관측소가 분포하여야 한다. 그러나 고도가 높은 고지대는 설치공사가 어렵고, 설치가 가능하다 하더라도 접근이 어려워 유지관리가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강수량관측소가 접근이 용이한 낮은 고도에 위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유역의 낮은 고도에 편중되어 설치된 강수량관측소에서 산정된 평균강수량은 실제강수량보다 작게 산정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유역의 강수량산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측자료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보완할 필요성이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번 연구에서는 특정 유역내에서 평면적 위치 차이는 있지만 고도에 따른 강수량의 차이를 검토하고 이에 대한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저평수기와 홍수기에 고도별 강우 특성을 분석하고 고도에 따른 강수량 관측의 문제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PDF

Analysis of Global Gravitational Models based on measured gravity data (육상 중력자료 기반의 전 지구 중력장 모델 분석)

  • Choi, Kwang-Sun;Lee, Young-Cheo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5 no.9
    • /
    • pp.1833-1839
    • /
    • 2011
  • In this study, Global Gravitational Model EGM2008, EGM96 and 16,786 gravity points measured on land were compared and analyzed. On the assumption that land gravity data is most accurat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differences, MSE and difference variance along the height were computed between land gravity data and EGM2008, EG96. The correlation coefficient, land gravity data and EGM2008, was computed most largely with 0.824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EGM96 was computed with 0.538. The standard deviation of differences between land gravity and EGM2008, EGM96 were 13.196 magl, 18.685 mgal respectively. Also the difference variance scope of EGM2008 was smaller than EGM96. There was no large variance of free-air anomaly differences between land gravity data and EGM2008 along the height however free-air anomaly differences with EGM96 varied along the height changes. Consequently EGM2008 nicely expresses Korea gravity field more than EGM96.

A Study on Present Condition and Adjustment of the Minmium Height Regulation District in Busan Metropolitan City (부산시 최저고도지구 실태 및 기준조정에 관한 연구)

  • Lee, Dong-Hyun;Baek, Tae-Ky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1 no.2
    • /
    • pp.51-60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adjustment of the minimum height regulation district in Busan metropolitan city. For this purpose, data of buildings in the minimum height regulation district are collected and analysed. Especially, detailed data of buildings in CBD are analy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that CBD's average building height is the fourth floor and the ratio that a building less than the fourth floor holds in total building is 51%. In the case of central area, CBD's building height should be maintained and it is necessary to make the policy that reinforce limited height for the high land use and landscape manage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limit building height should put it up more than the seventh floor.

  • PDF

New Approach in Magnetic Potential Field Continuation by FFT (FFT를 이용한 자력 포텐셜필드 자료의 수직방향의 연속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법)

  • Kim, Hyung-Rae;Hwang, Jong-Sun;Suh, Man-Cheol;Kim, Jeong-Woo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3 no.3
    • /
    • pp.249-258
    • /
    • 2010
  • In general, a crustal geomagnetic (or gravity) anomaly compiled at one altitude can be estimated at a different altitude by continuation using the Fourier transform (FT). However, in case of continuation with a great distance between the two elevations, or, in particular, in case of downward continuation, the estimated anomalies by the FT are likely to be mathematically unstable so that the estimated values are not realistic. To solve this problem, two independently measured magnetic field anomalies at different altitudes, such as aeromagnetic and satellite magnetic observations, are implemented to estimate values at in-between altitude for better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geophysical and geological features. This ‘'dual continuation’' technique is straightforward in the FT and gives a more realistic estimate in all altitudes when we simulated with a set of prismatic bodies at different altitudes. This implies that we add up another constraint like satellite-based observations on the geopotential field modeling for the non-unique geological and geophysical problems to a conventional Fourier-type continuation technique with a single set of observ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