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고도산화공정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5초

오존접촉산화 공정과 Peroxone AOP 공정을 이용한 염색폐수방류수 고도산화 처리특성 연구 (Study on Treatment Characteristic of Advanced Oxidation Process using Ozone Oxidation and Peroxone AOP Process for Waste Dyeing Water Effluent Treatment)

  • 박준형;신동훈;류승한;조석진;이상헌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74-283
    • /
    • 2011
  • Effect of pH on ozone oxidation and peroxone AOP(Advanced Oxidation Process) process was analyzed and the optimal efficiency for both processes was obtained at pH 7.5. In case of ozone oxidation process, the efficiencies of color, $COD_{Mn}$ and $BOD_5$ removal were measured to 93%, 70% and 89% at a reaction time of 50 min(ozone dosage of 111.67mg/$\ell$). When reaction time increased to 90 min(ozone dosage of 201mg/$\ell$), the efficiencies of color, $COD_{Mn}$ and $BOD_5$ removal were increased by 3~5 %, indicating that the increment of removal efficiency was insignificant considering longer reaction time. Similarly, the ozone/$H_2O_2$ ratio was optimized to 0.5 for peroxone AOP process. Removal efficiencies of color, $COD_{Mn}$ and $BOD_5$ were measured 95%, 81% and 94% at a reaction time of 50 min(ozone dosage of 111.67mg/$\ell$). When reaction time increased to 90min(ozone dosage of 201mg/$\ell$), the removal efficiency of color, CODMn, and BOD5 increased slightly by 1~5%.

한강을 원수로 하는 오존/과산화수소 고도정수처리공정에서의 MIB제거 및 잔류오존 농도에 관한 연구 (Use of Hydrogen Peroxide with Ozone to Simultaneously Reduce MIB and Quench Ozone Residual in Existing Water Treatment Plants Sourcing Water from the Han River)

  • ;구본진;장명훈;이성규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704-716
    • /
    • 2012
  • 본 논문은 California의 South Lake Tahoe, 서울 뚝섬정수장 그리고 성남 복정정수장에서 2010년 2월에서 2012년 2월까지 수행된 파일럿 실험에 대한 분석결과를 기초로 작성되었다. 본 실험의 목적은 첫째, 한강을 원수로 하는 모래여과 처리수에 대한 오존 및 과산화수소(Peroxone)의 반응특성을 파악하고, 둘째는 AOP(고도산화공정)을 통해 맛 냄새 유발물질인 2-methylisoborneol(MIB)를 제거하기위한 경험적인 오존 및 과산화수소의 투입량을 결정하고자 하였다. 또한 셋째로, 처리공정이후 인체에 안전한 잔류오존농도로 감소시키기 위한 최적 투입량을 결정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은 계절의 기온변화에 따라 저수온 및 고수온의 조건하에서 실시간으로 수행되었다. 본 실험을 통해 오존의 분해속도는 온도와 pH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다른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원수로 모래여과수에 MIB를 40~50ng/L의 농도로 투입하였으며, 모든 경우에서 7ng/L 이하로 처리되었으며 대부분의 경우에서 검출(ND)되지 않았다. Peroxone은 MIB을 제거할 뿐아니라 오존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보다 오존+과산화수소 동시에 투입한 경우에 잔류오존농도가 더 낮았다. 저수온에서 상당량의 오존이 반응 및 분해를 통해 감소된다. 본 실험을 통해 "Pre-Conditioned" 과산화수소를 적용함으로써 초기 반응율을 향상시키고 잔류오존농도를 낮출 수 있었으며, 약품의 과투입 및 효율저하를 방지하는 과산화수소의 투입 위치 및 구성 그리고 투입방법을 제시하였다.

폴리설펀 한외여과막공정에서 오존의 영향 (Effect of Ozonation on Cross-flow Filtration of Polysulfone Ultrafiltration Membrane)

  • 박영규
    • 멤브레인
    • /
    • 제11권4호
    • /
    • pp.179-189
    • /
    • 2001
  • 폴리설폰 한외여과막 분리막공정을 이용하여 투과유속 상에서의 오존의 효과를 고찰하였다. 처음에는 조제한 페놀용액을 이용해 오존의 농도 10-45 mg/l·min을 가한 후에 분리막내에 막오염 제거를 목적으로 시도하였으며 이후에는 오존과 분리막이 혼합된 연속공정에서 폐수처리를 위해 오존에 의한 통일효과를 고찰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전처리 방법으로는 펜톤 산화법을 이용하여 화학응집을 시도하였고 그 결과 폐수내 용존유기물 제거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결과 오존을 이용하게 되면 투과유속이 10% 이상 증가한다는 사실이 조제수와 폐수에 공히 같게 나타났으며 오존과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고도처리에서도 투과유속증가에 더욱 효과적이었다. 특히 오존을 이용한 처리수에서는 투과압력이 12% 이상 낮아지는 효과가 나타났으며 분리막 공정에 오존처리는 막오염을 거의 제거하기보다는 막오염을 제한적으로 막는 효과를 얻었다.

  • PDF

DOF 공정에 의한 정수처리 효과 (Effect of Drinking Water Treatment by DOF(Dissolved Ozone Flotation) System)

  • 이병호;송원철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7호
    • /
    • pp.743-75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용존오존부상법(Dissolved Ozone Flotation; DOF)을 이용한 정수처리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적정 오존 주입 농도와 오존 주입 농도별 처리 특성에 대해서 연구하였으며, 또한 용존공기부상법(Dissolved Air Flotation; DAF) 및 중력식 침전법(Conventional Gravity Sedimentation; CGS)과 DOF의 처리 성능을 비교하였다. 최적 오존 주입 농도를 산정하기 위한 실험에서 최적 오존 주입농도는 2.7 mg/L로 나타났으며, 오존 주입 농도가 증가할수록 탁도 및 KMnO$_4$ 소모량, UV$_{254}$ 흡수도, TOC 등과 같은 제거효율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DOF와 DAF, CGS의 처리성능을 비교한 결과 오존 주입 농도 2.7 mg/L로 운전한 DOF시스템의 탁도 제거효율은 88.9%, 유기물질 항목의 경우 KMnO$_4$ 소모량은 62.9%, TOC 47%, 그리고 UV$_{254}$ 흡수도 77.3% 그리고 THMFP 제거율의 경우 51.6%로 다른 두 공정보다 높거나 비슷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응집 부상 공정과 오존 산화 공정이 하나의 반응기에서 일어나는 DOF 시스템은 정수처리시설의 소유부지 감소와 기존 CGS 시스템에서 처리가 어려운 조류 및 용존성 유기물질의 제거를 통해 소독부산물의 생성을 감소시킴으로 향후 고도정수처리시스템으로 적용 가능성이 충분한 것으로 판단된다.

전자빔을 이용한 통계적 Diazinon 분해특성 연구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Diazinon Degradation using E-beam)

  • 이시진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57-6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전자빔공정에서 반응표면법의 하나인 Box-Behnken법을 이용하여 주요 인자로서 diazinon 농도($X_1$), 조사강도($X_2$)와 pH($X_3$)를 토대로 3개 수준으로 구성된 실험설계에 따라 diazinon의 제거와 무기화 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우선 pH와 diazinon 농도의 영향이 반응표면법(RSM)에 적용될 적정 범위를 결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통계적 접근은 회귀분석과 분산분석(ANOVA)를 각 인자별 정량적 비교를 도출하기 위해 적용하였으며, 인자별 영향은 조사강도>diazinon 농도>pH의 순으로 나타났다. 회귀모델은 최적화도구를 이용하여 운영조건의 영향을 고려한 최적점을 예측하였으며, 그에 따른 모델식은 $Y_1=81.73-5.58X_1+23.69X_2-14.23X{_2}^2+4.22X{_3}^2(R^2=99.7%)$, $Y_2=35.23-3.01X_1+10.79X_2-7.58X_2{^2}(R^2=97.9%)$로 도출하였다. 그에 따른 결과는 diazinon 농도 12.75mg/L와 조사강도 4.26kGy에서 diazinon 제거율 95.7%, TOC 저감율은 41.8%로 나타났다. pH 조건은 기존의 다른 고도산화공정(AOPs)에 비해 전자빔 공정에서는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PAC를 이용한 하수의 고도처리공정에서의 인 제거 (Phosphorus Removal from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Using PAC)

  • 박완철;이미애;성일화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96-102
    • /
    • 2014
  • 강화된 수질기준 이하로 인을 제거하기 위해, 혐기조, 무산소조와 Bio-clod와 다공성 폴리우레탄 여재가 충진된 접촉 산화조로 구성된 생물학적 고도처리 공정을 대상으로 PAC (Poly aluminium chloride, 10.4% as $Al_2O_3$)적용 시 인제거의 효율을 검토하였다. 접촉산화조 유출수를 대상으로 Jar-test를 실시하여 최적 PAC 주입농도를 15 mg/L로 선정 후, 2차 침전조 전단에 PAC를 주입하여 응집 침전 후 상등수를 분석하였다. PAC 주입 후 BOD와 COD의 제거율의 경우 각각 96.1%와 88.8%로, 주입 전의 95.4%와 72.4%로 효과가 크지 않았으나, TP의 제거율은 97%로 주입 전의 71.6%에 비해 18.4%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SP 제거율은 응집제 주입 전 59.5%에서 주입 후 98.6%로 분석되어, PAC의 적용으로 SP 제거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기간 동안의 유출수의 TP농도는 0.13 mg/L 이하로, 추가적인 총인처리시설 설치 없이도 수질기준 준수가 가능하였다.

Photo-Fenton 공정과 UV/$H_2O_2$ 공정을 이용한 Lindane의 분해특성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degradation of Lindane in water by a Photo-Fenton process and a UV/$H_2O_2$ process)

  • 이주현;최혜민;김일규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09-117
    • /
    • 2010
  • In the present study, the 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Lindane by Advanced Oxidation Processes(UV/$H_2O_2$, Photo-Fenton process) were studied. The degradation efficiency of Lindane in aqueous solution was investigated at various initial pH values, Fenton's reagent concentrations and initial concentrations of Lindane. GC-ECD was used to analyze lindane. Lindane has not been degraded without application of AOPs over two hours. But, approximately 5% of lindane was degraded with UV or $H_2O_2$ alone. Lindane with UV/$H_2O_2$ process showed approximately 7% higher removal efficiency than $H_2O_2$ process. In the UV/$H_2O_2$ process, the pH values did not affect the removal efficiency. The optimal mole ratio of $H_2O_2/Fe^{2+}$ for lindane degradation is about 1.0 in Photo-Fenton process. Also,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lindane removal efficiency increased with the decrease of initial concentration of lindane. Under the same conditions, the order lindane of removal efficiency is as following : Photo-Fenton process > UV/$H_2O_2$ process > $H_2O_2$ process. In addition, intermediate products were identified by GC-MS techniques. Than PCCH(Pentachlorocyclohexene) was identified as a reaction intermediate of the Photo-Fenton process.

TiO2와의 광반응하에서 생성되는 페록시라디칼(HO2・/O2-)의 검출 및 정량화 (Detection and Determination of the Peroxyl Radical in the Photolysis with TiO2)

  • 권범근;김종오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7호
    • /
    • pp.45-49
    • /
    • 2010
  • 본 연구는 수중에서 광분해 반응시 발생되는 페록시라디칼을 검출하고 정량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높은 감응도를 나타낼 수 있어 수처리를 위한 고도산화공정에서 유기물 분해를 위해 주요 역할을 하는 페록시라디칼의 정량화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 방법은 페록시라디칼이 $Fe^{3+}$-EDTA와 반응하여 $Fe^{2+}$-EDTA로 환원되는 반응에 기초를 둔 것으로 경제적이며 검출 및 정량을 위해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비효소계의 시약을 사용한다는 이점과 수계에서 흔히 발생하는 반응의 방해에 민감하지 않은 장점을 지니고 있다.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반응성 염료의 제거 및 생태독성 저감 (Degradation and Ecotoxicity Reduction of Reactive Dye by Using Advanced Oxidation Process)

  • 서경애;박재홍;정수정;임병진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04-211
    • /
    • 2013
  • In this study, the deriving optimum conditions for decolorization of Acid Orange II solution was carried using $TiO_2$ advanced oxidation process. After that, on base of the deriving results, the range of dye concentration was estimated. In addition, acute toxicity test was also carried to assess toxicity unit according to decolorization and TOC removal. In case of the blockage of light, 20 mg/L of dye solution, and 0.5 g $TiO_2$, the effect of decolorization at pH 3 was larger than at pH 6 and 10, so it was shown that decolorization is dependent on pH. The use of 5 g $TiO_2$ showed best performance of decolorization, but that of 3 g $TiO_2$ was chosen to optimum condition in considering of economical aspects. Four light sources, sun, fluorescent lamp, BLB lamp, and UV-B lamp, were used and decolorization was 99.4% and 100% at 50 mg/L, 98.6% and 99.7% at 100 mg/L for sun and UV-B lamp, respectively. In spite of the optimum condition of decolorization at pH 3, the evaluation of acute toxicity test showed highly toxic. In conclusion, although the optimum treatment of dye solution is performed, water ecology can be polluted in discharging it into water system. Therefore, it is needed to study of water ecological system with dye water treatment, and it takes all the circumstances into consideration.

황화영가철 기반의 과황산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페놀 오염토양 처리 (Treatment of Phenol Contaminated Soil Using Sulfidated Zero-Valent Iron as a Persulfate Activator for Advanced Oxidation Process)

  • 정혁성;응우옌 쿠엔 비엔;최재영;황인성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8권1호
    • /
    • pp.15-24
    • /
    • 2023
  • A persulfate(PS)/sulfidated microscale zero-valent iron(S-mZVI) system was tested for treating a soil contaminated with phenol. Sulfidation of bare mZVI was conducted using a mechanochemical process utilizing a ball mill in order to improve persulfate activation capacity and stability of unmodified mZVI. The synthesized S-mZVI performed markedly better than the bare mZVI in activating PS. The optimum molar ratio of sulfur to mZVI was around 0.12. In the soil slurry experiments, a very rapid and complete removal of phenol was observed at the optimum molar ratios of PS to S-mZVI of 2:1 and PS to phenol of 16:1. The phenol removal efficiencies decreased as the water content of the slurries decreased. This was believed to be due to increased soil oxidant demand as the amount of soil was increased as relative to the water content. To evaluate the field applicability of the process, slurry experiments adopting high soil contents were carried out that simulated in-situ soil mixing conditions. These experiments resulted in substantially compromised degradation efficiencies of 54.3% and 43.8% within 4 hours. The current study generally shows that the PS/S-mZVI process has a potential to be developed into a remediation technology for soils contaminated with organ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