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대 한국

Search Result 1,352,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Study on the Persons Enjoying the Landscape of Daegodea in Hamyang and Space Hegemony through Analysis of Poetry and Letters Carved on the Rocks (시문과 바위글씨로 본 함양 대고대(大孤臺)의 경관 향유자와 장소패권(場所覇權))

  • Rho, Jae-Hyun;Lee, Jung-Ha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2 no.1
    • /
    • pp.10-21
    • /
    • 2014
  • This study focuses on the landscape of Daegodae(大孤臺), a prominent rock placed at the side of Namgae Stream in Hamyang, and the person who enjoy the landscap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letters such as names carved on the rocks based on ancient poetry and stone walls, the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and the space of Daegodae and the phase of hegemony to enjoy the landscape and spac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2) There are 5 Seowon(書院: lecture halls) nearby Daegodae identified in the ancient map has 5 auditoriums nearby, and three-dimensional volume and eccentricity of the Daegodae is impressive. Daegodae, named by Noh Jin(1518~1578) in 16th century, was used in a variety of ways, including viewing, game, recreation, and meeting, by the staff of the lecture halls including Namgae Seowon(南溪書院),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ncient document Go-dae-il-Loc(孤臺日錄) written by Jung Kyung-Woon(鄭慶雲: 1556~?). The structure of Daegodae is that there is Chunggeunchung(淸近亭) on the rock face of the top and Sanangjae(山仰齋) to the west around the memorial stone for Yang Hee(梁喜: 1515~1581). The upper part of the foundation of Daegodae with 11m high and $10m^2$ wide to the east and west was widely used for lecturing and poetry reading. To the north and west of the foundation were the writing of Kim Jeong-Hee(金正喜: 1786~1856) with the words 'Seoksong Chusa(石松 秋史)' carved on the rock and the remains of a dead tree that is presumed to have been called as 'Seoksong'. They are the landscapes that further enhance the history and authenticity of this place. The two kinds of letters carved on the rock 'Daegodae Gaeeunseo(大高臺 介隱書)' and 'Mukheon JungGeunSang(鄭近相: 1893~1934)' were recorded each by Jung Jae-Gi(1811~1879) and his grandson Jung Geun-Sang, which are, as the outcome of exclusive space possession and space hegemony, the signatures indicating that they were the persons who enjoyed this place during the late Joseon and Japanese colonial era. In other words, Daegodae had some implied meaning of preoccupancy of the place as Gujolyangseonsengjangguso since the middle of Joseon, and the place was passed down as a buddhism lecturing and memorial venue called "Dungbukganghoiso Cheonryungjaeseonhyunjangguso" after going through the space hegemony of Jung Jae-Gi and Jung Geun-Sang during the late Joseon and Japanese colonial era each, Nevertheless, a number of letters carved on the rock identified also imply that 'Hadong Jung(河東鄭氏)' and 'Pungcheon Noh(豊川盧氏)' were those who enjoyed the landscape of Daegodae and the center of the space hegemony. The "letters carved on the rock of Daegudae" is another case of cultural landscape and traditional gardening space that serves as the representation of the will of enjoying the landscape in this place and the history of space hegemony.

고구려 고분벽화에 표현된 점문양 복식의 염직 연구

  • 양경애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3.05a
    • /
    • pp.19-19
    • /
    • 2003
  • 服飾文化의 일부분으로 染色과 織造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은 크지만 染織 실물이 없는 현 상황에서 고대 한국의 染織文化를 이해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지금까지 고구려 복식문화에 대한 연구는 주로 古墳壁畵에 표현된 극히 한정된 시각자료를 통해 형태적 측면에 관한 것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염색이나 직물에 관한 것은 그림 자료의 한계로 인해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더욱이 고대 복식에 대한 공백을 메워주는 중요한 자료로서의 역할을 해온 고분벽화 복식은 해석 여하에 따라 오히려 왜곡된 사실을 강화해 온 듯하다.

  • PDF

Historic and Scientific Investigation of the Posuk-Pavilion Channel Flow (포석정 흐름의 역사적, 과학적 고찰)

  • Chang Keun-Shik;Shim Eun-Bo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96.05a
    • /
    • pp.4-26
    • /
    • 1996
  • 극동아시아 지역국가에서 곡수지연은 역사적으로 크게 번성했다. 이들 고대국가의 지배층은 유상곡수 둘레에 앉아서 시를 지었으며 술을 채운 술잔이 앉은 자리에 도달할 때까지 시를 짓지 못하면 벌주를 내리는 유희(遊戱)를 즐겼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 중국, 일본에 존재하는 곡수의 역사를 간결히 고찰한다. 또한 곡수지연을 통하여 고대인물들이 즐겼을 유상곡수를 지금은 완전히 기능이 정지된 포석정에 대하여 현대적인 전산기법의 도움을 받아 약간의 근사를 써서 시뮬레이션하였다. 또한, 술잔의 흥미로운 유로(流路)를 예측하여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우리의 선조들이 즐겼던 우아했던 삶의 방식하나를 자세히 들여다 보는 것이 가능해졌다.

  • PDF

Performance Evaluation of Audio Coders According to Spectral Band Replication Bandwidth (Spectral Band Replication 대역폭 변화에 따른 오디오 부호화 성능 평가)

  • An, Kyung-Jun;Kim, Ri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0.07a
    • /
    • pp.172-173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에 있어 고대역 신호의 부호화를 담당하는 대역 확장 기법인 SBR 대역폭의 변화에 따른 부호화 성능 변화에 대해 고찰한다. 주부호화기(Core coder)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적절한 SBR의 고대역 적용 범위를 선택하여 음질 평가를 통해 부호화 성능을 평가한다.

  • PDF

Content-based Retrieval Using Texture Direction and Wavelet (텍스쳐의 방향 성분과 웨이블릿을 이용한 내용 기반 검색)

  • 김택곤;김우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502-504
    • /
    • 2000
  • 현재 내용 기반 검색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내용기반 검색 방법중에서 영상의 방향 성분을 이용한 텍스쳐 영상 검색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검색방법은 웨이블릿(Wavelet) 변화후에 생기는 고대역 부밴드들의 Energy 값을 가지고 텍스쳐 영상의 방향 성분을 구한 다음에 방향 성분에 따른 고대역 부밴드의 Energy와 저대역 부밴드의 GLCM(Gray Level Co-occurence Matrix) Energy 값을 가지고 텍스쳐 영상을 검색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실험을 통해서 검색시 좋은 결과를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Porridge(粥)' and 'Jiaozi(餃子)' - History and myths about Chinese ancient Zhang Zhong-Jing(張仲景)'s 'Food-Therapy(食治)' ('죽(粥)'과 '교자(餃子)' - 중국 고대 장중경(張仲景)의 '식치(食治)'에 관한 역사와 신화)

  • Lee, MinH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09-110
    • /
    • 2018
  • 중국인들이 동지나 춘절(설)에 교자를 먹는 풍습은 중국 고대의 의학인물인 장중경(張仲景)과 관련이 있다. 동한말(東漢末)의 혼란기를 살면서 중국 의학사상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했던 장중경(張仲景)은 죽을 치료에 응용하기도 했으니 그의 저서 속에 다양하게 투영되어 있다. 본고는 그의 죽과 교자에 관한 역사와 신화를 저서와 설화를 통해 재구성했다.

  • PDF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hinese traditional 'JUGI(酒具)' culture on the modern bottle design (중국 고대 주기(酒具) 문화가 현대주기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Zhang, Xuejiao;Lee, Dong 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681-684
    • /
    • 2008
  • To the 'JUGI(酒具)' culture in ancient China on the basis of the conclusions reached, the development of modern bottle design with the status quo for Chinese wine with the design of innovative and local Chinese-style design idea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