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농도 오존 발생 일

Search Result 13,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김해시 지상오존농도의 변화경향과 고농도 오존일에 대한 사례연구

  • 박종길;정우식;김재석;이대근;백종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32-36
    • /
    • 2004
  • 본 연구는 최근 인구와 산업체가 급증하고 있는 김해시를 대상으로 김해시.군을 통합한 1996년 이후부터 2002년까지 김해시 지상오존농도의 변화경향과 고농도 오존일에 대한 사례 연구결과 다음과 같다. 김해시 대기오염농도의 시계열변화는 증가추세가 뚜렷하였으며, 최근 대기환경기준이 강화되면서 환경지정기준을 초과하기도 하였다. 계절별 오존농도의 일변화는 사계절 가운데 봄철이 가장 농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매년 증가하는 농도폭도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는 여름철의 경우 태양고도가 높고 단위시간당 일사량은 많으나, 장마와 같은 운량 증가로 인한 일사량의 감소되거나, 기온이 상승할 경우 해안으로부터 해풍이 증가하여 여름보다는 봄철에 더 높은 농도를 나타낸 것으로 생각되며, 인구와 자동차 등의 증가로 인한 배출량이 증가한 것도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기간동안 60 ppb 이상의 고농도 오존일의 총 발생빈도는 237일로 나타났으며, 매년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대기환경기준 100 ppb/hr를 초과한 날도 8일이나 되었는데, 1999년이 4일 발생하여 오존에 의한 대기오염규제지역으로 선정되었는데, 고농도 오존일은 지난 1997년 이후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겨울을 제외한 전 월에 발생하는 특징을 나타내어 오존의 저감을 위한 실천 계획 수립뿐 아니라 고농도 오존일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와 빠른 시간 내에 오존의 예.경보제를 도입 운영하는 것이 김해시민의 건강과 복지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고농도 오존일에 대한 사례일 첫 번째인 5월 1일은 일 최고 기온은 그리 높은 상태는 아니었지만 광범위한 이동성 고기압에 의해 대기가 정체하고 바람이 약한 시점에 광화학반응에 의한 오존생성이 용이하였고 해안가의 높은 농도의 오존이 수송되어 고농도 오존이 발생하였으며, 사례 2의 경우 대륙에서 이동해 오는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대기는 안정하고 바람이 약하여 기온이 급상승하였으며, 광화학반응에 의한 오존 생성이 용이하였다. 사례 3의 경우는 남북으로 놓여 있는 대규모 기압계 사이에 안상부 형태의 대상고기압이 놓여 대기는 매우 안정하고 바람이 약하며 때때로 기압계에 의한 바람이 불 경우 다소 강한 바람이 불어 일사량이 많은 기압계에서 광화학반응과 수소에 의한 오존생성이 용이하여 고농도 오존을 발생하였다.

  • PDF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High-Ozone Episode Days in Daegu, Korea (대구시의 고농도 오존 발생 일에 나타나는 기상학적 특성)

  • Son, Im-Young;Kim, Hee-Jong;Yoon, Ill-Hee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3 no.5
    • /
    • pp.424-435
    • /
    • 2002
  • This study analyzes the surface ozone and meteorological data in Daegu for a period from 1997 to 1999. It also investigates the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high ozone episodes. For this study the high ozone episode has been defined as a daily maximum ozone concentration higher than 100ppb in at least one station among six air quality monitoring stations in Daegu, Korea. The frequency of episodes is 13 days. The frequency is the highest in May and September. The average value of daily maximum ozone concentration is 81.6ppb, and 8-hour average ozone concentration is 58.6ppb for the high episodes. This shows that ozone pollution is continuous and wide-ranging in Daegu. The daily maximum ozone concentration is positively correlated to solar radiation and daily maximum temperature, but negatively correlated to relative humidity, wind speed and cloud amount. The maximal correlation coefficient to solar radiation is 0.45. The differences between high ozone episode day's daily mean meteorological value and monthly mean value are +1.58hPa for sea level pressure, +3.45${\circ}$C for maximum temperature, -5.69% for relative humidity, -0.46ms$^{-1}$ for wind speed, -1.79 for cloud amount, and +3.97MJm$^{-2}$ for solar radiation, respectively. This shows that strong solar radiation, low wind speed and no precipitation between 0700${\sim}$1100LST are favorite conditions for high ozone episodes. It is related to the morning stagnant condition.

Seoul Ozone Intensive Study in 2000(SOIS 2000) (2000년 서울시 오존공동관측 프로그램)

  • 한진석;조창래;김민영;조석연;김영준;이강웅;허귀석;차형기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11a
    • /
    • pp.297-298
    • /
    • 2000
  • 최근 서울과 수도권지역의 오존농도에 대한 환경기준치 초과횟수와 고농도 발생일이 증가추세에 있으며, 일 최고농도 또한 높아지고 있다. 특히, 경기도지역 및 지방도시의 고농도 오존이 크게 증가하는 등 오존의 광역화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오존 및 오존 전구물질의 현황 및 발생기작을 파악하는 것이 시급한 상황이다. 외국의 경우 막대한 연구비를 투자하여 종합적인 오존 및 오존전구물질의 현황 파악 및 생성기작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 왔다. (중략)

  • PDF

부산지역 흐린 날의 고농도 오존 발생의 사례 연구

  • 전병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168-169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새벽과 오전에 비교적 흐렸음에도 불구하고 오존 주의보가 발령된 1999년 7월 18일을 대상으로 하여 고농도 오존의 발생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부산 지역 3곳에서 동시에 1시간당 120ppb이상의 고농도는 11시 이후부터 15시에 걸쳐 구름이 엷어지면서 강하게 내리쬔 일사량에 의해 급격히 증가하여 생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오전 9시나 10시경에 나타나는 혼합층 성장에 따른 상층의 고농도 오존의 연직혼합 현상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1999년 7월 18일의 고농도 오존은 공기가 정체한 상태에서 11시 이후의 강한 일사에 의한 광화학반응에 의해 1시간당 50ppb의 오존이 생성되는 고속생성에 의해 오존주의보가 발령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이러한 기상상태가 예상된다면 고농도 오존발생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는 것이 현명하다고 본다.

  • PDF

Photochemical Modeling for the Ozone Episode in Metropolitan Area (광화학모델을 이용한 수도권지역의 고농도 및 저농도 오존 사례 모사)

  • 이종범;장명도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299-300
    • /
    • 2003
  • 지난해 수도권에서 월드컵경기가 진행되었던 2002년 6월 6일에 구리 수택동 지점에서 203ppb에 이르는 고농도 오존이 발생하였다. 이때의 기상상태는 바람이 약하고 일사량이 강하고 운량이 적는 둥 고농도 오존의 좋은 조건이었다. 반면 2002년 7월 27일은 6월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기상조건은 고농도 오존생성의 호조건이었으나 수도권 67개 지점의 오존 평균 농도가 30ppb이하의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광화학모델인 Models-3/CMAQ을 이용하여 이러한 2가지 오존 사례를 모사하고 특징을 비교 고찰하고자 한다. (중략)

  • PDF

대구시 주거지역의 오존농도 평가

  • Kim, Beom-Jun;Choe, Seong-U;Kim, Hye-Jin;Choe, Hy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122-123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2001년부터 2005년까지의 최근 5년간의 대구시 보건환경연구원의 대기질 자동측정망 자료와 대구기상대의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대구시 주거지역의 오존농도를 평가하였다. 분석기간은 2001년부터 2005년까지 고농도 오존일이 가장 많이 발생한 5, 6월을 대상으로 하여, 오존농도와 대기오염물질 및 기상요소와의 상관관계분석과 교차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구지역의 오존농도는 측정지점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기온 및 일사량이 증가하는 하절기에 증가하고, 동절기에 감소하는 전형적인 패턴을 보여주었다. 분석기간 중 오존최고농도는 상관관계분석 결과 고농도 오존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 대기오염물질로는 $NO_2$, NO 그리고 기상요소로는 온도, 상대습도, 일사량으로 나타났다. 교차상관관계분석 결과 NO2, NO, 온도와 상대습도는 0시간 차이에서 가장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내었으며, 일사량의 경우 오존농도가 최고치를 나타낼 때보다 -2시간 차이에서 가장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내었다.

  • PDF

Decoloring Effect of Viscose Rayon by Using Vapor Type Ozone Processing (오존 기상처리방법에 의한 비스코스 레이온의 탈색효과)

  • Kim, Gyoung-A;Lee, Mun-Soo
    • The Journal of Natural Sciences
    • /
    • v.10 no.1
    • /
    • pp.103-109
    • /
    • 1998
  • We studied on the decoloring effect of viscose rayon by vapor type ozone processing using ozone's strong oxidation. When ozone is generated, it becomes high concentration in vapor state, but in the insolving process with water, there are a lot of lose of ozone. As a result, a study using ozone in vapor-high concentration state is needed. So, in this paper, vapor type ozone processing is used unlike previous ozone treatment method-an aqueous solution method-to get a good effect from shortening the processing time. When vapor type ozone processing was directly treated to fabrics, high concentration ozone was generated then in a short time oxidized a dye existed in fabrics and finally decolored it. As vapor type ozone did not directly response to an organic dye, viscose rayon's decolorization was to be studied by changing pick up ratio(60%, 50%, 40%, 30%, 20%) using water as a medium. When pick up ratio of water was 40%, fabric's whiteness was improved but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were reduced. So 60 minutes was assumed as the most adjust time to minimize the reduction of fabric's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moreover of maximize the improvement of whiteness.

  • PDF

Numerical Study on the Ozone Formation Sensitivity of Precursors Using Adjoint Model around the South-eastern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수반모형을 이용한 한반도 남동지역의 오존 전구물질의 오존 생성 민감도에 관한 수치연구)

  • Park, Soon-Young;Lee, Soon-Hwan;Lee, Hwa Woon;Kim, Dong-Hyeok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4 no.7
    • /
    • pp.669-680
    • /
    • 2013
  • Ozone sensitivity analysis with respect to $NO_x$ is conducted around the south-eastern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WRF-CMAQ modeling system is used to simulate a local circulation and high ozone episode day. To analyze the sensitivity, the adjoint model for CMAQ is adopted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ocation that affects a day time ozone concentration of these receptors on the high ozone episode day. Adjoint sensitivity analysis for Daegu shows two areas of influence. One is the range from the neighboring location to Pohang and it affects mainly on the same day as receptor time. The other is the remote south-eastern area from Daegu. This remote influence area suggests that $NO_x$ emitted on the previous day can change the ozone concentration at receptor time. The influence area for Busan, on the other hand, is originated only from the emission on the previous day because the sea-breeze occurred on the episode day makes low influence of surrounding emission. The cross sectional analysis reveals that $NO_x$ advection is important not only near the surface of land but also around the height of boundary layer.

Vertical Ozone Distribution over Seoul: Ozonesonde Measurements During June 6~9, 2003 (서울지역 연직 오존 분포: 2003년 6월 6~9일 오존존데 관측)

  • Hwang, Mi-Kyoung;Kim, Yoo-Keun;Oh, In-Bo;Song, Sang-Keun;Lim, Yun-Kyu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v.24 no.2
    • /
    • pp.196-205
    • /
    • 2008
  • Variability in vertical ozone and meteorological profiles was measured by 2Z electrochemical concentration cells (ECC) ozonesonde at Bangyi in Seoul ($37.52^{\circ}N$, $127.13^{\circ}E$) during June $6{\sim}9$, 2003 in odor to identify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ozone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lower-atmospheric structure resulted in the high ozone concentrations near the surface. The eight profiles obtained in the early morning and the late afternoon during the study period clearly showed that the substantial change of ozone concentrations in lower atmosphere(${\sim}5\;km$), indicating that it is tightly coupled to the variation of the planetary boundary layer (PBL) structure as well as the background synoptic flow. All profiles observed early in the morning showed very low ozone concentrations near the surface with strong vertical gradients in the nocturnal stable boundary layer due to the photochemical ozone loss caused by surface NO titration under very weak vertical mixing. On the other hand, relatively uniform ozone profiles in the developed mixing layer and the ozone peaks in the upper PBL, were observed in the late afternoon. It was noted that a significant increase in ozone concentrations in the lower atmosphere occurred with the corresponding decrease of the mixing height in the late afternoon on June 8. Ozone in upper layer did not vertically vary much compared to that in PBL but changed significantly on June 6 that wa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variation of synoptic flows. Interestingly, heavily polluted ozone layers aloft (a maximum value of 115 ppb around 2 km) were formed early in the morning on 6 through 7 June under dominant westerly synoptic flows. This indicates the effects of the transport of pollutants on regional scale and consequently can give a rise to increase the surface ozone concentration by downward mixing processes enhanced in the afternoon.

Characteristics of Atmospheric Speciated Gaseous Mercury in Chuncheon, Korea (춘천시 대기 중 가스상 수은 종 농도 특성에 관한 연구)

  • Gan, Sun-Yeong;Yi, Seung-Muk;Han, Young-Ji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1 no.5
    • /
    • pp.382-391
    • /
    • 2009
  • Atmospheric speciated mercury concentrations including total gaseous mercury (TGM) and reactive gaseous mercury (RGM) were measured in Chuncheon from March 2006 to November 2008. Average concentrations were 2.10 ${\pm}$ 1.50 ng/$m^3$ and 3.00 ${\pm}$ 3.14 pg/$m^3$ for TGM and RGM, respectively. RGM concentrations were higher during daytime than nighttime probably because of high photochemical activities. We found that RGM concentration considerably increased as ozone increased when fog occurred, indicating that ozone was the important oxidant for $Hg^0$ in aqueous phase. TGM concentra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CO and $PM_{10}$ which can transport in long-range,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with $NO_2$. Considering that major source of mercury is combustion process, this result showed that local sources did not significantly impact on TGM concentration in Chuncheon. Five-day backward trajectories were calculated for the samples representing high and low concentrations of TGM, and determined that industrialized area of China including Shenyang and Beijing influenced TGM concentrations in Chunch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