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고기능성 복합재료

Search Result 34,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기능성 박막코팅에 따른 복합재료 핸드의 특성변화

  • 박동원;김범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emiconductor Equipment Technology
    • /
    • 2002.11a
    • /
    • pp.1-2
    • /
    • 2002
  • FPD(LCD, PDP)와 Wafer(6-12인치)제조공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자동화 이송 장비들의 경우, 높은 생산성과 수율을 위해 금속제의 핸드보다는 세라믹이나 복합재료(CERP)와 같이 가벼운 고강도 고강성의 소재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세라믹의 경우는 비안정성이나 고가격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어서 사용이 제한되어 있다. 이에 비해 복합재료핸드는 반영구적인 수명과 우수한 기능으로 인해 그 사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합재료핸드에 다양한 방법으로 기능성박막을 코팅하여 이에 따른 특성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 PDF

세라믹 나노복합재료의 기계적 특성

  • Kim, Chang-Sam
    • Ceramist
    • /
    • v.4 no.3
    • /
    • pp.122-127
    • /
    • 2001
  • 나노복합재료는 기계적, 전기적, 전자기적 특성을 향상하거나 새로운 기능을 갖는 신소재를 제조할 수 있는 가능성으로 인하여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우수한 특성을 갖는 나노복합재료의 제조에 있어서 주의할 점은, 나노복합재료가 다른 세라믹재료에 비하여 제조공정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출발원료, 혼합방법, 건조방법 등의 선택에 따라서 특성이 향상될 수도 있고 역으로 저하될 수도 있다. 이러한 현상은, 초미립자의 비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균일한 분산이 어렵고 응집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Si_3N_4/SiC$ 나노복합재료의 경우는 고온강도와 열피로에 대한 저항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어 $1400^{\circ}C$ 이상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초고온재료로로서의 가능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나노복합재료의 실용화를 위해서는 제조공정이 단순하고, 경제성이 있는 신 공정의 개발과 GPS 소결 등에 관하여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계속적인 환경오염에 관한 국제적 규제의 강화, 국제 원유가의 상승 등은 열기관의 열효율 향상을 위해서 초고온에서 사용할 수 있는 나노복합재료와 같은 재료를 요구할 것이며, 또한 정보통신산업 발전에 따른 소형화, 고 기능화는 우수한 특성과 새로운 기능을 갖는 나노복합재료의 개발과 실용화를 앞당기는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Studies on Surface Free Energy and Tear Properties of Surface-Modified Silicas/LDPE Composites (표면처리된 실리카/LDPE 복합재료의 표면 자유에너지 변화 및 인열물성에 관한 연구)

  • 정우영;박병기;박수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330-333
    • /
    • 2001
  •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입자상 충전재 흑은 섬유상 강화재와 연속상인 고분자 기재로 이루어진 고분자 복합재료는 물성이나 기능이 더욱 더 우수한 고성능/고기능성 고분자 재료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대됨에 따라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행해지고 있다[1,2]. 그러나 고분자 복합재료의 응력전달은 강화재와 고분자 기재의 계면을 통하여 일어나게 되므로 복합재료의 기계적 물성 등은 충전재의 양, 입자의 크기, 표면성질 뿐만 아니라 강화재와 고분자 기재 사이의 계면 접착력 또는 계면 성질에 크게 좌우된다. (중략)

  • PDF

금속복합 재료의 제조 및 응용

  • 한경섭;김영한
    • Journal of the KSME
    • /
    • v.32 no.1
    • /
    • pp.46-56
    • /
    • 1992
  • 이 글에서는 현재까지 개발된 금속복합재료의 제조공법 중에서 비교적 보편화되어 있는 분말야 금법, 가압용침법, 복합주조법 등에 대하여 소개하였고, 제조된 재료가 가지는 일반적인 기계적 성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리고 금속복합재료의 대표적인 응용분야와 현재 국내에서도 큰 관심을 끌고 있는 자동차엔진의 부품소재로서 금속복합재료의 응용기술에 대해 소개하였다. 국 내에서 금속복합재료의 관련 연구는 주로 학교와 연구소를 중심으로 발전되어 왔으나 근년에 자동차 산업의 비약적인 발전과 항공산업 분야에서 잠재적인 수요가 예측되면서 일부 기업체에서 응용 연구를 시작하였다. 그러나 금속복합재료의 기초 소재가 되는 경합금과 보강재의 제도기 술은 선진국에 비해 크게 뒤져 있다. 현재까지 국내에서의 연구동향은 주로 금속복합재료의 제조공정개발과 물성 평가에 치중하여 왔다. 기계공업이 발전하면서 점점 더 고기능성 소재가 요구되어지는 현황을 감안할 때 금속복합재료의 실질적 응용분야의 개척과 함께 기초 소재의 개발 연구는 시급한 과제이다.

  • PDF

Technique Status of Carbon Fibers-reinforced Composites for Aircrafts (항공기용 탄소섬유강화 복합재료의 기술동향)

  • Kim, Ki-Seok;Park, Soo-Jin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v.46 no.2
    • /
    • pp.118-124
    • /
    • 2011
  • Recently, the need of new materials which have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has been increased in all industries. In particular, body weight reduction via new materials in aerospace industry was significantly emphasized by the requirement of environmental protection through the fuel savings and reduction of greenhouse gas, i.e., carbon dioxide($CO_2$). Also, for various applications, the development of high performance custom materials with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was the current primary goal of materials science and technology. In this respect, carbon fiber-reinforced composites were the most candidates among the various materials. Indeed, carbon fiber-reinforced composites have been lately used as essential materials for the weight reduction of aircraft and the demand has increased remarkably. Therefore, in this paper, we focused on the need of carbon fiber composites in the fields of aircraft and technique status.

알루미늄 다층금속복합판재의 제조 및 응용기술

  • Kim, Hyeong-Uk;Kim, Su-Hyeon;Gang, Ju-Hui;Eo, Gwang-Jun;Jo, Jae-Hyeong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0.05a
    • /
    • pp.52.2-52.2
    • /
    • 2010
  • 각종 전자 및 산업용 기기, 수송기기류의 고성능화에 따라 다양한 특성을 갖는 합금판재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여, 기존의 합금판재의 성질이외의 기능성이 추가된 새로운 판재 제조기술 확보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합금 설계 및 조직제어방법으로는 새로운 기능을 갖는 합금 판재의 개발에는 한계가 있으며 따라서 기존 특성이외에 여러 가지 기능성을 부여하는 판재의 제조를 위한 새로운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경량재료로서 그 사용량이 계속 증가하고 있는 알루미늄 판재에 대하여 내 외부 층의 조성이 다른 합금으로 이루어진 다층 금속판재 제조방법을 도입함으로써 내식성, 열전도성, 브레이징성 등의 다양한 기능성이 부여된 알루미늄 판재의 제조가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다층 금속 복합판재를 제조하기위하여 압연접합기술을 적용하고 다양한 합금계의 조합을 통하여 기능성이 향상된 다층 알루미늄 판재를 제조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먼저 경량 열교환기 제조에 사용되고 있는 브레이징용 알루미늄 클래드재 제조를 위하여 여러 가지 압연접합 조건에서 알루미늄 클래드 재를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또한 기존의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에 대하여 내 외부합금층을 달리하여 다층 알루미늄 판재를 제조하고 기계적 특성 변화을 평가하였으며 새로운 특성을 갖는 알루미늄 판재의 제조가능성을 타진하였다.

  • PDF

The wear properties of SiCw and SiCp reinforced bronze matrix composites (무윤활 미끄럼 마찰하에서의 SiC 휘스커 및 입자강화 청동기지 복합재의 마모특성)

  • 이상로;허무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3.04a
    • /
    • pp.59-62
    • /
    • 1993
  • 고품위의 동력전달 장치와 같은 고정밀 기능 부품들은 보다 높은 비강도, 고경도, 내마모성 및 내식성을 가져야 하며, 특히 소재의 마찰, 마모 특성은 기아제품 등의 수명, 정밀도 및 에너지 손실을 좌우하는 것으로서 물성의 열화를 극복할 수 있는 소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지난 수년동안 금속기지에 $Al_2O_3$나 SiC등의 보강재를 첨가하여 복합재의 응착 및 연삭마모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는 시도를 하고 있다. 주로 제조비용이 낮고 거의 등방적인 성질을 가지며 가공성이 좋은 입자 보강 복합재료에 대한 연구가 지배적이었지만, 입자 보강 복합재료의 경우 강도 및 탄성계수의 향상 정도가 적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말야금법을 이용하여 금속기지에 세라믹상으로 SiC 입자 및 휘스커가 첨가된 복합재를 제조하여 제조공정변수에 따라 마모거동을 pin-on-disk 형태의 마모시험기에서 실험하였으며,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마모표면관찰 등으로 복합재의 마모기구를 연구하였다.

  • PDF

Fabrication and Evaluation of the Al-STS-Cu Functionally Graded Materials (알루미늄-스테인레스스틸-구리 경사기능재료의 제조 및 특성평가)

  • Kwangjae Park;Dasom Kim;Hansang Kwon
    • Composites Research
    • /
    • v.36 no.4
    • /
    • pp.241-245
    • /
    • 2023
  • Aluminum (Al) and copper(Cu) are non-ferrous alloys with excellent electrical and thermal conductivity but have relatively lower mechanical properties than iron alloys. Stainless steel(STS), an iron alloy, is a high-strength industrial material due to its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and corrosion resistance compared to non-ferrous Al and Cu. In this research combined Al, Cu, and STS to fabricate as a functionally graded material (FGM) through a powder metallurgical process. The produced FGM exhibited lightweight and excellent surface hardness compared to copper and iron alloys and also showed higher thermal conductivity than single Al and STS materials.

Development of High Performance Nanocomposites using Functionalized Plant Oil Resins (식물성오일 레진을 이용한 고기능성 나노 복합재료의 개발)

  • Han, Song-Yi;Jung, Young-Hee;Oh, Jeong-Seok;Kaang, Shin-Young;Hong, Chang-Kook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v.47 no.1
    • /
    • pp.2-8
    • /
    • 2012
  • In this study, in order to develop renewable bio-based nanocomposites, multi-functional nanocomposites from soybean resins (AESO, MAESO) and nanoclay were prepared. Photoelectrodes for environmental friendly dye-sensitized solar cell using soybean resin were also prepared. Organo-modified nanoclay was directly dispersed in functionalized soybean resins after mixing with styrene as a comonomer and radical initiator was used to copolymerize the nanocomposites. The observed morphology was a mixture of intercalated/exfoliated structure and the physical properties were improved by adding nanoclay. A nanocomposite using MAESO, which added COOH functional group to the soybean resin, showed better dispersibility than AESO composites. Ultrasonic treatment of the nanocomposites also improved the physical properties. Nanoporous $TiO_2$ photoelectrode was also prepared using soybean resins as a binder, after acid-treatment of $TiO_2$ surface using nitric acid. Dye-sensitized solar cells were prepared after adsorbing dye molecules on it. The $TiO_2$ photoelectrode prepared using soybean binder had high current density because of increased surface area by improved dispersibility. The photoelectrochemical properties and conversion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were significantly improved using the soybean binder.

Trend of Carbon Fiber-reinforced Composites for Lightweight Vehicles (자동차 경량화를 위한 탄소섬유강화 복합재료의 동향)

  • Kim, Ki-Seok;Bae, Kyong-Min;Oh, Sang-Yeob;Seo, Min-Kang;Kang, Chang-Gi;Park, Soo-Jin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v.47 no.1
    • /
    • pp.65-74
    • /
    • 2012
  • Recently, the need of developing eco-friendly materials has been required with restriction strengthening on environment and energy saving by the resource depletion worldwide. These trends are not an exception in transport industry including automobile. In addition, these materials have to fulfill not only the high quality and cheap price but also the high-performance which meet the needs of costumer and society. Among the various materials, carbon fiber-reinforced composite which is actively studying for lightweight of the automobile is one of the most suitable candidates. Indeed, the carbon fiber-reinforced composites are used as the essential materials to substitute body and other parts in automobile and the demand is increasing largely. Carbon fiber-applied automobile has improved brake, steering, durability and high fuel efficiency, leading to the energy conservation and minimizing carbon dioxide emissions. This paper focuses on the necessity of carbon fiber-reinforced composites for lightweight of automobile and its technical tre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