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계획 및 스케줄링

Search Result 43,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Factory Planner Application for Planning and Scheduling of Electronic Industry (전자산업의 생산 계획 및 스케줄링을 위한 Factory Planner적용)

  • 박경종;오형술;이충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98-102
    • /
    • 2002
  • High-Tech 산업은 국제적인 경쟁력과 갈수록 짧아지는 제품의 Life-cycle로 인해 그 경쟁이 매우 치열해 지고 있다. 따라서. 변동되는 시장 상황에 맞추어 자재의 구매/조달, 연구 개발, 생산, 물류/배송, 판매, 및 고객에 대한 납기 약속 등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하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SCM(Supply Chain Management)관점에서 APS(Advanced Planning and Scheduling)시스템을 사영하고 있다. 특히, 고객으로부터 주문량이 할당되면 주어진 자재와 공장의 생산능력 (capacity)을 계산하여 생산가능 유무 및 생산가능일을 알려주는 공장내의 생산 계획 및 스케줄링 방법은 현재는 물론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야 될 부분으로서 그 중요성이 점점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High-Tech 산업 중에서 전자 산업의 요구 사항을 분석하고, 이러한 요구 사항들을 해결하기 위래 세계적으로SCM 시장에서 가장 많은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i2 Technologies사의 생산 계획 및 스케줄링 툴인 Factory Planner를 사용한 사례를 제시한다.

  • PDF

동적인 제조환경에서의 유연한 생산 스케줄링을 위한 TOC/JIT/MRP 통합 모델에 관한 연구

  • Ji, Yeong-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383-386
    • /
    • 2004
  • 급변하는 시장환경으로 인한 제조의 복잡성과 동적 특성의 증대로 인해 기업은 재공품의 감소, 납기일 준수를 위한 기술적 방법의 개발과 조화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이에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MRP, JIT의 생산계획 및 통제 방식은 적용하는 데 있어 단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최근 각광 받고 있는 TOC의 DBR 방식을 이해하고 기존 생산시스템(MRP, JIT)의 단점을 극복하고 동적인 생산환경에서도 효율적으로 생산 가능한 유연한 생산 스케줄링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개발된 생산 스케줄링 모델은 동적인 제조환경에서 효율적이고 유연한 생산 계획 및 통제 시스템이 될 것이며, 비용절감과 함께 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것이다. 또한, 이런 유연 생산 스케줄링을 증명하기 위해 프로토타입을 통해 그 효과를 증명하여 보기로 한다.

  • PDF

An Efficient Job Scheduling Strategy for Computational Grid (계산 그리드를 위한 효율적인 작업 스케줄링 정책)

  • Jo, Ji-Hun;Lee, Won-Joo;Jeon, Chang-Ho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4 no.8
    • /
    • pp.753-757
    • /
    • 2008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scheduling strategy for dynamic programming in Grid environment. The key idea of this scheme is to reduce the execution time of a job by dividing the dynamic table based on the locality of table and allocating jobs to nodes which minimize network latency. This scheme obtains optimal concurrency by constructing the dynamic table using a distributed top down method. Through simulation, we show that the proposed Grid strategy improves the performance of Grid environment compared to previous branch-bound strategies.

A Use-Case Based Object-Oriented Project Scheduling Technique (Use-Case 기반 객체지향 프로젝트 스케줄링 기법)

  • 허진선;최시원;김수동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0 no.3_4
    • /
    • pp.293-307
    • /
    • 2003
  • Object-oriented development has been generalized, but object-oriented project planning and scheduling techniques have not been studied enough. Furthermore,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conventional software management techniques to object-oriented projects. Especially, the large scaled projects are increasing, but the project planing techniques for these large scaled projects have not been proposed enough. In this paper, we propose systematic techniques for OO based project scheduling. We suggest a 7 step-process for deriving the OO project schedule from the use-case diagram which is describing the functional requirements of the system. The proposed process includes identifying use-cases, drawing preliminary chart through interdependency analysis, identifying characteristics of each use case, determining the number of iteration, assigning use-cases to iteration, considering available resource and constraints, drawing revised PERT chart. Each step has the explanation of the input, output, and the guidelines needed to perform the step. The project scheduling technique proposed in this paper ran be used effectively in the planning phase which the purpose is to plan a development schedule to yield the high quality software in minimum time.

A Study on Weighted Composite Dispatching Rule in the Modular Production System (모듈생산시스템에서의 가중 혼합 할당규칙 연구)

  • Yang Kwang-Mo;Park Jae-Hyun;Kang Kyong-Si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 /
    • v.27 no.3
    • /
    • pp.37-44
    • /
    • 2004
  • 국내 반도체 산업은 불과 20년도 안 되는 짧은 기간동안에 괄목할만한 성장을 하여 전세계 반도체 생산 규모 면에서 3위 국가로 부상하였으며, 기술 경쟁력 면에서도 한국인의 자존심을 그나마 지켜왔다. 하지만, 반도체 제조는 가장 복잡한 제조공정의 하나로 분류되며, 이러한 복잡한 시스템을 통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시스템 조건 하에서 적절한 생산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반도체 제조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상황과 관련한 연구는 많지 않다. 반도체 제조공정 시스템에 대한 스케줄은 생산공정의 재진입, 공정의 높은 불확실성, 급속하게 변하는 제품과 기술과 같은 특성 때문에 반도체 제조공정 시스템에 대한 스케줄은 복잡하고 어려운 작업이며, 사이클타임의 절감 및 단위시간당 생산량의 증대와 같은 시스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반도체 제조 시스템에 대한 좋은 방법을 발견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있었다. 반도체 산업의 생산 흐름은 가장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생산계획과 반도체 제조의 스케줄링과 계획을 어렵게 하고 있다. 현재 반도체 조립공정에서 수행되고 있는 일정계획은 단순 FCFS (First Come First Serve)에 의한 할당규칙에 따른다. 또한 Backlog(예비재고)를 1일 생산량을 기준으로 Buffer로 운영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재고관리와 정확한 스케줄링이 생산의 경쟁력 확보 우위임을 가정하여 다양한 할당규칙(dispatching rule)을 실시간 적용하여 정확한 일정계획 수립의 효과와 결과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제시된 방법론을 위하여 시뮬레이션 접근방법이 사용되었다.

Research on the Technology for MASS Arrival and Departure (자율운항선박 입출항 지원 기술에 관한 연구)

  • 김혜진;김동함;박정홍;강민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74-75
    • /
    • 2023
  • 선박의 자율지능기술은 국방분야에서 무인화 기술 개발로 시작하여, 최근에는 해운분야에서 자율운항선박의 도입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자율운항선박 관련 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자율운항선박이 해상 물류의 수단으로 사용화되기 위해서는 자율운항선박의 항만 입출항을 위한 기술적,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어야 한다. 특히 항만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자율운항선박의 안전 운항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자율운항선박의 입출항을 위한 여러 기술이 개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율운항선박의 입출항을 위해서 요구되는 기능을 식별하고, 요구 기능이 개발되기 위해서 고려되어야 하는 사항을 검토하였다. 자율운항선박의 입출항 지원을 위해서는 항만과 선박의 정보 공유 및 동기화가 선행되어야 하고, 고품질 정보를 기반으로 스케줄링 및 운항 경로 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

  • PDF

A development of an Optimization-Based Flight Scheduler and Its Simulation-Based Application to Real Airports (최적화 기법 기반의 항공기 스케줄러 개발 및 실제 공항의 수치적 모사)

  • Ryu, MinSeok;Song, Jae-Hoon;Choi, Seongi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1 no.9
    • /
    • pp.681-688
    • /
    • 2013
  • Several problems caused by inevitable increment of airplane have been issued. The most effective solution to solve the issues is considered as establishing appropriate Air Traffic Management (ATM) that reduces aircraft's delay at an airport and intensify the airport's capaci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duce the optimum aircraft schedules that maximize the aircraft throughput by smooth air traffic flow near terminal area of an airport In this paper, mathematical formulations of the scheduling problem are firstly specified. Based on the mathematical modelling, an Optimization-Based Flight Scheduler that provides the optimum flight schedules for arriving aircraft is developed by introducing the Mixed Integer Linear Programming(MILP) and the Genetic Algorithms(GA). With this scheduler, we calculated the optimum schedules to compare to real schedule data from an Incheon Airport. As a result, it is validated that aircraft throughput produced by the optimum schedule is much better than that of the schedule from the Incheon airport. The optimization-based flight scheduler is expected to deal with problems due to the aircraft saturation in near future.

Adaptive scheduling algorithm for manufacturing process with nonstationary rework probabilities using reinforcement learning (강화학습을 이용한 비안정적인 Rework 확률이 존재하는 제조공정의 적응형 스케줄링 알고리즘)

  • Shin, Hyun-Joon;Ru, Jae-Pil;Lee, Jae-Wo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b
    • /
    • pp.1180-1180
    • /
    • 2010
  • 본 연구는 비안정적인 rework 발생 확률 자체가 납기 및 제품 품질에 매우 나쁜 영향을 미치는 복잡한 제조공정을 대상으로 rework 발생 확률의 변화에 따라 작업의 투입정책(dispatching policy)을 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스케줄링 기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강화학습(reinforcement learning) 기법을 이용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rework 발생 확률을 기반으로 작업 투입정책의 모수를 동적으로 조정함으로써 효율적인 투입계획을 수립하는 적응형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다양한 현실적인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그 성능을 테스트한다.

  • PDF

A Study on the Scheduling of Planned Maintenance for Multicomponent System with Hidden Failures : Focusing on Inspection Cost (다품목 시스템의 Hidden Failure를 고려한 계획정비 스케줄링에 관한 연구 : 검사비용을 중심으로)

  • Kim, Mansoo;Hyun, Do Kyung;Kim, Sung Hwan;Ji, Woong Ki;Kwon, Ki-Sa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10
    • /
    • pp.149-158
    • /
    • 2019
  • The scheduling of planned maintenance problem of a system consisting of a number of components was studied. The purpose of maintenance scheduling is to minimize the cost of maintaining long-term operations. On the system side, the cost of a system shutdown can be minimized by grouping and inspecting a number of components. In addition, proper inspection cycles can be selected for each component to identify the failure sufficiently early to minimize the cost of the failure. To reduce the complexity of the calculations, the 'base interval approach' used in previous studies was applied and, in addition, the inspection cost savings from simultaneous inspections of multiple components were considered.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inspection cost savings,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simulation analysis performed by referring to the cases in the existing studies.

Implementation of Automation Program and Efficient Cable Drum Schedule using Dynamic Programming Algorithm (동적 계획 알고리즘을 이용한 효과적인 케이블 드럼 스케줄 및 자동화 프로그램 구현)

  • Park, Ki-Hong;Lee, Yang Sun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7 no.4
    • /
    • pp.257-263
    • /
    • 2016
  • Cable drum schedule is the final step for the electrical equipment of the power plant, and is assigned cables to efficiently cable drum. In this paper, we have implemented an automated program which cables are scheduled in accordance with the capacity of the cable drum for each cable code. Proposed cable drum schedule was applied to the dynamic programming algorithm to effectively solve the optimization problem, and the implemented program is conducted so as to verify the proposed model. The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implemented program eliminates the errors that can occur existing method, so we were able to reduce the design time of cable drum schedule. Cables for the electrical equipment of the power plant is designed to at least 2 million units or more. Thus the automation program to provide applies, it is considered that the design time of the cable drum schedule can be greatly reduced without serious err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