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계획의 기본방향

검색결과 404건 처리시간 0.033초

지방자치단체의 U-City 개발 동향 분석과 개발방향 (A Study on the Trends of the U-City Development and Its Direction in the Local Governments)

  • 임영택;최봉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126-136
    • /
    • 2006
  • 본 연구는 현재 지자체들이 추진하고 있는 U-City 개발의 추진현황과 U-City 개발이 전체 도시적 맥락에서 추진될 수 있도록 그 기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는 지방자치단체들이 U-City 추진을 위한 기본 계획을 수립함에 있어서 그 기본 방향 정립에 기초적인 관점을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우선 유비쿼터스(ubiquitous)의 개념, U-City 구현을 위한 관련기술, 중앙정부 차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유비쿼터스 관련 정책, 그리고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추진하고 있는 U-City 개발 현황에 대하여 파악하였다. 끝으로 지방자치단체들의 U-City 개발에 있어서 기존 도시와의 관계와 도시 구조적 맥락에서 그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결혼이민여성의 직업교육훈련 및 취업관련 시행계획의 비판적 검토 (Critical reviews of job training and employment support trial plans for immigrant women by marriage)

  • 성향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6186-6195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우리나라 결혼이민여성의 직업교육훈련과 취업지원에 관한 시행계획을 분석하여 분석결과를 도출함으로서 차기에 수립될 관련 계획과 시행계획의 수립과정과 내용에 반영되어야할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건강가정기본계획, 다문화가족정책기본계획, 경력단절 여성 등의 경제활동촉진 기본계획에 제시된 직업교육훈련 시행계획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방법은 닐 길버트와 폴테릴의 정책분석 방법론을 사용하였고, 분석결과는 첫째, 내일배움카드 취업성공패키지 특화과정의 미성숙 둘째, 인적자원개발시스템의 미흡 셋째, 정부 부처간 거버넌스의 미흡을 밝히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제언을 하였다.

평생교육 진흥 기본 계획 분석 (Lifelong Education Promotion Basic Plan Analysis)

  • 윤옥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5호
    • /
    • pp.117-126
    • /
    • 2024
  • 평생교육은 사회적 포용성을 증진하는 데에도 큰 역할을 한다. 사회의 다양한 계층과 지역,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에게 교육의 기회를 동등하게 제공함으로써 사회의 불평등을 줄이고 모든 개인이 자기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다. 평생교육을 통해 사회 전반에 끊임없는 학습 문화를 정착시킬 수 있다. 학습의 중요성이 강조되며, 지식과 지혜를 추구하는 자세가 보편화될 것이다. 이러한 학습 문화는 사회 전반에 지적 자원을 증대시키고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해결책의 발굴에도 도움을 줄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 진흥 기본 계획을 1차부터 5차까지 비교 분석하여 국가 평생교육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1차부터 5차까지 평생교육 진흥 기본계획을 발전시켜 오면서 국가 평생교육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제5차 평생교육 기본 계획을 충실히 수행하면 많은 부분에서 국가 평생교육 발전에 이바지할 것이라고 보고 여기에 추가하여 국가 평생교육 발전 방향을 강조하여 제시하면 첫째, 디지털 기술 활용 강화이다. 둘째, 산업체와 협력 강화이다, 셋째, 재정 지원 및 장학금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넷째, 교육과정 다양화이다. 다섯째, 지역사회 참여 확대이다. 여섯째, 자기 주도적 학습 강화이다. 일곱째, 평생교육 관계 법령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

계획홍수위 영향범위 자동결정을 통한 정밀 하천구역 설정기법 개발 (Development of River Zone Automatic Determination Technique by Grid-based Design Flood Level Influence Area)

  • 임동화;이춘호;신희재;심규성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312-312
    • /
    • 2022
  • 우리나라는 하천법 및 소하천정비법에 의거하여 하천기본계획 수립 또는 하천의 지정 및 변경고시 시 하천구역을 지정하고 있다. 하천구역은 일반적으로 제방부지 및 제방하심측 토지경계를 기준으로 지정하나, 제방이 존재하지 않는 무제부 구간의 경우 명확한 제방경계가 없는관계로 하천법 제 10조 3항에서 5항까지 별도의 기준을 통해 하천구역 지정을 권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천구역 설정 시 기준으로 삼는 횡단측점 자료의 경우 그 특성상 하천의 종단방향으로 불연속적인 특징을 갖고 있어 평면상 정확한 경계의 파악이 어려우며, 도로·철도 등 선형시설경계를 하천구역으로 설정 시 편입용지의 보상기준이 모호하여 다량의 민원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정비 시 기본계획이 수립되어 각 횡단측점별 결정된 계획홍수위를 기반으로 인접 지형의 홍수위 영향범위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하천구역을 정밀하게 결정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정립하고자 한다. 첫째로, 하천중심선의 각 측점의 위치정보와 하천의 지형을 위상정보체계로 구성하여 DB를 구축하였다. 둘째로, 측선과 측선사이 절점에 계획홍수위를 선형보간하여 부여하고 이를 지형도의 최단거리에 위치한 지형의 격자표고와 비교해 침수여부를 판단한다. 셋째, 최단거리 지형격자가 침수로 판단될 시 인접한 8개 지형격자의 지형표고와 홍수위를 비교하여 반복적으로 위 과정 수행을 통해 계획홍수위 기반 침수범위를 추출한다. 마지막으로, 이를 수치지형도에 중첩시켜 최종 정밀 하천구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산정된 정밀한 하천구역 경계설정을 통해 하천 내사유지 편입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명확한 하천구역 구획기준을 정립하여 토지소유주와 담당부처 간 논의 시 기반자료로 활용될 수 있고, 하천구역의 신속하고 정확한 구역설정을 통해 하천인근의 토지이용 고도화 및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주거단지계획 기본구상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물리적 계획요소를 중심으로 - (The Determinant Factors of Basic Concept in the Residential Site Planning - Focus on Physical Planning Elements -)

  • 조성학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8권2호
    • /
    • pp.67-74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basic data of basic concept that planners should consider in planning process. For this purpose, we have proposed the determinant factors of basic concept.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the physical planning elements among the various planning elements that determine the basic concept. The research method is the case study and analysis for the competitions of LH for the past four years. After divid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rea, the planning elements was derived and the planning direction is arranged for the case district. The determinants factor were determined by the structure of each area. Three area, including the degree of urban context, were found to be the main determinants of the basic ide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degree of reflection of urban context, the degree of effort to resolve environmental influences are determinant factors of basic concept. (2) The degree of connection between urban and site area, the degree of overlapping of the boundaries, and street are determinant factors of basic concept. (3) The degree of appropriateness of the residential layout, the degree of rationality of the moving plan, the adequacy of the community space plan are determinant factors of basic concept.

지금 여기 - '에너지 정책 합리화를 추구하는 교수협의회' 출범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원자력산업
    • /
    • 제38권3호
    • /
    • pp.8-10
    • /
    • 2018
  • 에너지 정책 합리화를 촉구하기 위해 전국 대학의 에너지 관련 교수들로 구성된 '에너지 정책 합리화를 추구하는 교수협의회'(이하 에교협)가 3월 23일 한국프레스센터 프레스클럽에서 창립기념토론회를 갖고 본격적인 활동을 개시했다. 서강대 이덕환 교수, 숭실대 온기운 교수, 카이스트 성풍현 교수 3인이 공동대표를 맡은 에교협은 이날 '우리나라의 바람직한 전력수급기본정책 방향 :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개정을 위한 제언'을 주제로 토론회를 열었다. 에교협에는 이공계, 인문사회계 등 에너지를 전공하는 전국 57개 대학의 210명의 교수가 가입한 상태이며, 앞으로도 추가 가입이 이어질 예정이다. 다음은 에교협 창립 취지문 전문이다.

  • PDF

초점 - 국내 전 원전 스트레스 테스트 추진 의의와 방향 및 기본 계획

  • 이현우
    • 원자력산업
    • /
    • 제35권7호
    • /
    • pp.12-18
    • /
    • 2015
  • 원자력안전위원회는 9월 24일 제45차 회의에서 월성 원전 1호기와 고리 원전 1호기를 대상으로 추진해온 스트레스 테스트를 마무리하고 국내 가동 중인 전체 원전으로 확대하여 극한 자연 재해에 대한 원전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한 "가동 원전 스트레스 테스트 추진 계획"을 확정하였다. 최근 7월 24일 상업 운전을 시작한 신월성 원전 2호기까지 포함하여 원자로 기준으로 총 22개 원전이 내년부터 시작될 스트레스 테스트의 대상이 된다.

  • PDF

인터넷 쇼핑몰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

  • 이승원
    • 정보화사회
    • /
    • 통권129호
    • /
    • pp.18-21
    • /
    • 1999
  • 정부에서는 인터넷 쇼핑몰을 포함한 전자상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해 전자상거래기본법과 전자서명법을 제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하여 추진하고 있다. 인터넷 전자상거래는 통신망과 다양한 정보통신기술을 상거래에 응용하는 분야로서 산자부, 재경부, 외교부, 공정거래위원회, 문화부, 중기청 등 다수 부처가 관련된 사항이므로, 정보통신부에서는 관계부처와 협의하여 개별 과제별로 구체적 실천계획을 수립, 추진함으로써 우리사회 전반의 경쟁력과 투명성을 제고해 나갈 계획이다.

  • PDF

정책 - 국내 항공산업 R&D 현황 및 개선방향

  •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
    • 항공우주
    • /
    • 통권108호
    • /
    • pp.8-11
    • /
    • 2010
  • 지난 6월 24일 지식경제부는 <항공산업 발전 기본계획('10~'19) - R&D 추진전략을 중심으로>라는 부제 하에 항공산업 R&D 혁신전략 포럼 2010을 개최했다. 지식경제부 발표내용을 중심으로 주요 내용을 요약 정리하여 소개한다.

  • PDF

BcN 시범사업 추진방향

  • 이영로;이승택
    • 정보와 통신
    • /
    • 제21권8호
    • /
    • pp.43-55
    • /
    • 2004
  • 지난 2004년 2월 광대역통합망 구축 기본계획이 확정된 이후로, 정부에서는 통신ㆍ방송ㆍ인터넷 대통합의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에 적극 대응하고 미래에도 정보인프라 강국의 위상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세계 최초의 광대역통합망(BcN) 구축의 비전과 목표를 제시하고, BcN 구축 촉진 및 이용활성화 유도하며, 관련 IT산업 육성을 위한 사업들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중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