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계획된 행동 이론

검색결과 249건 처리시간 0.035초

국내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투자자의 참여의도와 무리행동에 관한 연구: 계획된 행동이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Participation Intention and Herd Behavior on Domestic Securities Type Crowdfunding Investors: Focusing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 황낙진;이소영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2호
    • /
    • pp.1-18
    • /
    • 2020
  • 본 연구는 계획된 행동이론을 바탕으로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투자자의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들의 영향력을 확인하고, 참여 의도와 지각된 행동통제가 투자자의 무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간접효과 분석을 포함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연구 결과를 통해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투자자들의 투자 행태를 이해하고 관계 당사자들에게 동 제도 활성화 및 투자자 보호를 위한 각종 정책 및 사업계획 수립에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본 연구 수행을 위해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에 투자한 경험이 있거나 관심이 있는 잠재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76부의 응답지를 받았다. 이 중 부적합 응답을 제외한 총 261명의 설문이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22.0 및 Amos 22.0 통계 패키지를 통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계획된 행동이론의 주요변인 중 태도와 주관적 규범은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투자자의 참여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간접효과 분석 결과 참여의도는 태도, 주관적 규범과 무리행동 사이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계획된 행동이론에서 행동의도의 주요 변인으로 제시된 지각된 행동통제는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비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신 무리행동에는 직접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투자자들이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에 쉽게 참여할 수 있다고 지각하고 있더라도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은 손실위험이 큰 초기창업기업에 대한 투자행위이기 때문에 참여의도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국내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투자자는 실제 투자행동을 할 때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펀딩 진행정보를 일종의 신호로 보고 다수의 다른 투자자를 모방하여 무리행동을 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본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투자자의 참여의도와 무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들을 실증적으로 확인함으로써 향후 크라우드펀딩 감독기관의 정책 수립이나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사업자의 사업계획 및 활성화 방안 수립 등에 유의미한 연구 결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모듈형 행동선택네트워크를 이용한 거울뉴런과 마음이론 기반의 의도대응 모델 (An Intention-Response Model based on Mirror Neuron and Theory of Mind using Modular Behavior Selection Networks)

  • 채유정;조성배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2권3호
    • /
    • pp.320-327
    • /
    • 2015
  • 최근 다양한 분야에 서비스 로봇이 상용화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로봇 에이전트는 사용자의 구체적인 명령에 의존적이고, 불안정한 센서정보를 기반으로 환경변화에 빠르게 대응하여 목적을 달성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은 사람이 타인의 의도를 이해하고 대응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거울뉴런(mirror neuron)과 마음이론(theory of mind) 시스템을 모델링하고 로봇에이전트에 적용하여 유용성을 입증한다. 제안하는 의도-대응 모델은 거울뉴런의 빠르고 직관적인 대응행동과 중간목적 지향적인 특성을 구현하기 위해, 환경과 목적을 고려하는 행동선택 네트워크(behavior selection network)를 사용한다. 또한, 장기적인 행동계획을 기반으로 대응행동을 수행하는 마음이론 시스템을 수행하기 위해, 계층적 계획생성 기법을 이용하여 중간목적 단위로 행동을 계획하고 이를 기반으로 행동선택네트워크 모듈을 제어한다.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해 실험한 결과 외부자극에 적절한 대응행동이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통한 생태관광객의 행동의도에 대한 연구: 조절변수로서의 지속가능지능을 중심으로 (A Study on Behavioral Intention of Eco-tourists through the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 Focused on Sustainable Intelligence as Moderate Variable)

  • 고채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315-330
    • /
    • 2023
  • 본 연구는 확장된 계획행동이론과 조절변수인 지속가능지능을 바탕으로 생태관광객의 행동의도를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2023년 3월 12일부터 3월 30일까지 제주 동백동산 습지를 방문하는 생태관광객을 연구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312부를 실증 분석에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50대 이상의 연령과 제주도에 거주하는 가족 중심의 생태관광객의 방문 비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계획행동의 하위변수인 태도와 주관적 규범, 지각된 가치의 하위변수인 인식적 가치와 감정적 가치가 생태관광객의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지속가능지능은 독립변수인 태도 및 주관적 규범과 종속변수인 행동의도 간에 조절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영진 역할과 보호동기 요인이 정보보안정책 준수 의지에 미치는 영향: 계획행동이론을 기반으로 (Role of Management and Protection Motivation's influence on the Intention of Compliance with Information Security Policies: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 신혁;강민형;이철규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69-8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정보보안정책 준수 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Ajzen(1991)이 제시한 계획행동이론을 토대이론으로 활용하여, 계획행동이론이 정보보안정책 분야에서 활용된 선행연구 사례를 분석하고, 경영진 역할 및 보호동기 요인이 계획행동 선행요인인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조절력을 매개변수로 정보보안정책 준수 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과관계를 검증하고자 연구모형을 설계하여 가설을 검증하고, 경쟁모형을 활용하여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을 비교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구모형에서 태도와 주관적 규범은 경영진 신뢰, 반응효용성, 반응비용 및 자기효용성과 준수 의지간의 매개역할을 하고, 지각된 행동조절력은 경영진 신뢰와 자기효용성과 준수 의지간의 매개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경영진 역할, 보호동기 요인과 준수 의지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있어 매개변수를 활용한 연구모형이 경쟁모형보다 적합도 검증을 통해 우월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계획된 행동이론(TPB)을 이용한 소비자의 대체육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nsumers' Intentions to Purchase Alternative Meats Us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 김원빈;안주영;엄지범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30권3호
    • /
    • pp.143-155
    • /
    • 2023
  •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mong consumers' concerns and purchase intentions for alternative meats. Data were collected from 300 adults living in Kyeonggi Province. Results show that animal welfare, environmental concern, and health concern all have a direct and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of alternative meat, and the mediation effect is also significant, indicating a partial mediation effect. The image of a company as caring about animal welfare and contributing to public causes can help sell alternative meats. Media publicity focusing on animal welfare for alternative meats can improve the attitudes of domestic consumers as well as their intention to purchase alternative meat products.

이미지 표현 유형이 계획된 행동 이론 속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Visual Images on the Variable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 나재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55-260
    • /
    • 2019
  • 최근 금연 캠페인에서 사실적 이미지가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캠페인을 위한 매체로 활용되고 있는 포스터의 이미지 표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제작 배포한 금연 캠페인 포스터에서 서로 다른 시각적 표현 유형이 헬스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일러스트 이미지'와 '사실적 이미지'가 계획된 행동 이론의 각 속성인 '금연행동 인식', '주관적 규범', '지각된 통제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미지 표현 유형에 따라 '금연행동 인식'과 '주관적 규범'에 미치는 영향 차이가 있었으며, '지각된 통제감'에서는 두 이미지 표현 유형 사이에 의미 있는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이미지 표현 유형 사이에 헬스커뮤니케이션 효과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헬스커뮤니케이션에서 효율적인 시각적 표현 방식을 모색하기 위해 디자인 분야와 예컨대 사회 심리학 등 다른 분야 간의 융합적 연구가 요구된다.

대학생들의 운동의도와 여가시간 신체활동 간의 관계에서 극복계획과 실행계획의 매개역할 (Relationship Between Collegiate Student Exercise Intention and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The Mediating Role of Action and Coping Planning)

  • 김보람;천승현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8권1호
    • /
    • pp.217-228
    • /
    • 2019
  • 이 연구는 여가시간 신체활동 의도와 운동행동 간의 관계에서의 틈(gap)을 극복하고 이 관계를 잇는 매개 변인들의 역할을 검증하고, 기존의 계획행동이론의 확장을 도모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여가시간 신체활동에 대한 의도와 운동행동 간의 관계에서 실천계획-1)극복계획과 2)실행계획-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편의표집법을 활용하여 강원도 내 위치한 세 곳의 대학에서 교양체육에 참여하고 있는 대학생 253명(남학생=118; 여학생=105)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와 Amos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되었으며, 기술통계, 신뢰도, 상관분석, 그리고 구조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의도, 극복계획 및 실행계획, 그리고 여가시간 신체활동 및 운동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특히, 의도와 행동 간의 관계에서 극복계획과 실행계획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매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신체활동 의도는 실행계획과 운동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실행계획은 의도에 비해 실제 운동행동을 더욱더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매개변인인 극복계획과 실행계획은 신체활동에 대한 참여 의도가 실제 운동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분적으로 모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종합해 보면, 극복계획과 실행계획의 개념화와 모형검증은 의도-행동의 틈을 극복하고 실제 현장에서 실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차고지증명제정책 순응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evying Garage Option on Car Buyers Policy Compliance Model)

  • 김경범;황경수;최재성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3-26
    • /
    • 2012
  • 본 연구는 정책대상자의 차고지증명제정책 순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그 요인들을 계획된 행동이론에 적용하여 영향력의 정도와 경로를 파악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차고지증명제정책 순응행동 모형을 구축하였다. 독립변수(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력)는 매개변수(자기차고지 확보노력)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매개변수(자기차고지 확보노력)는 종속변수(차고지증명제정책 순응행동 = 자기 차고지에 주차하는 행동)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국에는, 독립변수(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력)는 종속변수(차고지증명제정책 순응행동 = 자기 차고지에 주차하는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행동통제력(단속조치와 처분강화)은 차고지증명제정책 순응행동(자기 차고지에 주차하는 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운전자의 과거행동(이면도로 주차, 무료 주차공간을 찾아서 배회)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워드형 크라우드펀딩 투자자의 투자 의도에 관한 연구: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Investment Intentions of Rewarded-Crowdfunding Investors: Focusing on the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 이송하;박재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3호
    • /
    • pp.251-264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성공적인 리워드형 크라우드펀딩을 위한 요인과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계획행동이론(TPB)의 기본 변수인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 통제 외에도 개인 혁신성과 위험 선호도를 확장 변수로 추가하여, 확장된 계획행동이론(E-TPB)을 바탕으로 리워드형 크라우드펀딩의 투자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요인들 간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리워드형 크라우드펀딩 경험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리워드형 크라우드펀딩의 개념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설문자를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다중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가설을 검증한 결과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 통제, 위험 선호도는 리워드형 크라우드펀딩 투자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리워드형 크라우드펀딩 경험이 지각된 행동 통제와 위험 선호도가 투자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업들이 자금조달과 판매 활성화 방안으로 사용할 수 있는 리워드형 크라우드펀딩의 성공을 높이는 방향성을 제시하여 학문적·실무적 의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