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계획된 행동 이론

검색결과 249건 처리시간 0.034초

확장된 계획행동이론 적용을 통한 해양스포츠 체험 활성화 탐색 (Explore the Activation of Marine Sports Experience by Applying the Extended Planned Action Theory)

  • 김성규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09-118
    • /
    • 2020
  • 본 연구는 해양스포츠 체험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계획행동이론(TPB), '사전지식' 변수를 추가한 확장된 계획행동이론(ETPB)의 상대적 유용성을 검증하고, '사전지식' 정도별 사람들의 계획행동이론의 구성변인들(태도, 주관적규범, 지각된 행동 통제력, 재방문의도)의 특성을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9년 S시에서 진행된 해양스포츠 체험 참여자 42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후 편향되거나, 불성실한 자료 35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385부의 설문지를 코딩하였다. 코딩한 자료는 SPSS 21.0 및 AMOS 21.0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을 실시였다.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개념신뢰도, AVE값, Cronbach's α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계획행동이론(TPB)에서 세 개의 예측변인이 재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으로 '사전지식'을 추가하여 재방문의도를 네 개의 예측변인 중 지각된 행동통제를 제외한 태도, 주관적 규범, 사전 지식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방문의도를 설명하는 설명력을 살펴보면 계획행동이론이 43.5%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이 51.8%(계획행동이론보다 8.3% 증가, p=.000)로 나타났다. 사전지식이 새로운 변인으로 추가될 때 재방문의도를 설명하는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전지식변수를 고, 저 집단으로 분류하여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의 특성을 비교한 결과 사전지식이 높은 집단이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의 구성 변수에 평균값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내 안전정보 인지가 안전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Passenger's Safety Communication on Safety Behavioral Intention)

  • 김하영;이남령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68-77
    • /
    • 2019
  • 본 연구는 기내안전정보에 관한 승객 인지에 대해 행동이론을 적용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안전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대표적인 소비자 행동이론인 계획된 행동이론과 트라이앤디스 행동이론의 비교를 통해 기내안전정보 인지에 따른 안전행동 의도를 설명하기 위한 모형의 특징파악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수립하였으며, 370명의 항공여행을 경험한 승객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계획된 행동이론은 태도와 지각된 통제가 안전행동 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트라이앤디스 이론은 사회적 영향과 습관이 안전행동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모형의 비교를 통해 기내안전정보 인식과 안전행동 의도의 관계에서 인식과 감정의 심리적 과정이 모두 동반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한 예비보육교사의 취업준비행동 연구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Job Preparation Behavior)

  • 고은교;신수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322-333
    • /
    • 2017
  • 본 연구는 인간의 여러 가지 행동을 예측하는데 유용성이 입증된 계획된 행동이론의 모형에 따라 예비보육교사의 취업준비행동에 대한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교육적 차원 및 사회복지적 차원에서 예비보육교사의 취업지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이 목적이다. 본 연구모형에는 취업준비행동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행동의도, 취업준비행동 등 계획된 행동이론에서 제안한 제 요인들을 포함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취업준비행동에 대한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태도의 순으로 취업준비행동의도를 매개하여 취업준비행동에 대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지각된 행동통제는 취업준비행동에 직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태도의 수준을 높임으로써 예비보육교사의 취업준비행동을 증진 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확보하였다.

정보보안 정책준수에 대한 메타분석: 계획된 행동이론을 중심으로 (Meta-analysis of Information Security Policy Compliance Based on Theory of Planned Behavior)

  • 김종기;모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169-176
    • /
    • 2020
  • 정보기술의 발전에 따라 정보보안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정보보안의 근본적인 방향을 제시하고 조직 구성원이 따라야 하는 규정과 지침을 다루는 보안정책은 보안관리의 핵심적인 요소이며, 조직 구성원의 보안정책 준수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에 대한 연구들이 다수 수행되었다. 이들 연구는 다양한 이론적 기반으로 수행되었으며, 여러 문헌연구에 따르면 계획된 행동이론이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다양한 연구결과를 정량적으로 종합하는 메타분석 기법 중의 하나인 TSSEM을 적용하여 정보보안 정책준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계획된 행동이론을 기반으로 실증분석한 연구들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계획된 행동이론의 행동의도를 설명하는 세가지 요인인 태도, 주관적 규범 및 인지된 행동통제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의 전반적인 적합도도 만족스럽게 나타났다.

대학생의 대학도서관 학술정보 탐색행동 연구 - 계획된 행동이론을 기반으로 - (A Study of Student Search Behavior in an Academic Library: Using Theory of Planned Behavior)

  • 곽철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57-17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다양한 생활태도와 특성이 대학도서관에서 학술정보 탐색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하여 조사하는데 있다.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데이터 분석을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 요인분석, 회기분석, 군집분석 등의 통계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계획된 행동이론이 학술정보 탐색행동에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전공계열과 도서관 이용 빈도가 탐색행동에 대한 태도, 인지된 행동통제, 탐색행동 의사 변인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학생 유형은 보수형, 독립형, 사교형, 유행형으로 구분되었는데, 이 중 사교형 학생 유형이 탐색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6개 군집으로 구분한 결과 사교형 및 독립형의 학생 유형과 도서관 이용 빈도가 높은 학생들이 많이 포함된 집단에서 학술정보 탐색행동에 적극적인 의사를 가지고 있었다.

인터넷 웹사이트에서 소비자의 적극적 불평행동에 관한 연구: 감정이론과 계획행동이론을 중심으로 (Consumers Vigorous Complaining Behaviors in the Internet Web Site Explained By Integrating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Anger)

  • 조승호;조정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220-229
    • /
    • 2011
  • 본 연구는 소비자가 제품 및 서비스 불만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감정적 반응 (Anger)이 소비자 불평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행동이론 중에 하나인 계획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과 결합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삼성 핸드폰 애니콜 사용자들이 개설한 '소비자의 힘'이란 웹사이트에서 소비자들의 적극적인 활동을 예측하기 위해서 기존 문헌연구를 통해 감정적인 부분과 인지적인 요인들의 결합을 통한 모델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모델을 검증하기 위해서 "소비자의 힘" 웹 사이트 회원들을 대상으로 실증적 분석을 위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온라인 설문은 감정적 반응인 분노와 계획행동이론의 변인들(주관적 규범, 태도, 행동의도, 행위)과 함께 불평행동 하나인 서명운동의 유무를 묻는 문항들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제품 서비스에 대한 감정적 반응(Anger)과 행동이론의 결합이 소비자 행동을 보다 잘 예측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리고 불평행동의 적극적 참여 의도는 서명참여 유무를 유의미하게 설명하였다.

대학생의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다문화 수용적 행동: 계획된 행동이론의 수정모형 검증을 중심으로 (The factors influencing multicultural receptive behavior on immigrant wives of international marriage)

  • 김금미
    • 한국심리학회지:여성
    • /
    • 제15권2호
    • /
    • pp.259-283
    • /
    • 2010
  • 대학생의 다문화 수용적 행동의도와 행동을 구분하고 예측하기위하여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계획된 행동이론(Ajzen, 1991)을 검증하고, 이에 사회정체성이론(Tajfel, 1982)에 근거한 한국인집단정체성 및 고정관념과 편견이 포함된 모형의 유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505명을 대상으로 결혼이주여성에 대하여 다문화 수용적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한국인집단정체성, 고정관념, 및 편견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먼저 계획된 행동이론에 의해서 다문화 수용적 행동의도의 47.4%가 설명되었고, 다문화 수용적 행동은 61.1%가 설명되었다. 이어서 한국인집단정체성을 추가하고, 고정관념, 편견을 더하여 다문화 수용적 행동의도의 51.8%, 행동의 65.9%가 설명되었다. 전체 모형에서 한국인집단정체성의 영향은 대체로 약했고, 행동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고정관념은 행동의도 다음으로 중요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문화 수용적 행동의도와 행동을 높이는데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력, 고정관념 및 편견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주관적 규범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논의를 비롯하여 이 연구의 의의와 한계 및 앞으로 연구 과제도 논의하였다.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한 민간경비원의 건강행동연구 (Study on Health Behavior of Private Security Guards Applying Planned Behavioral Theory)

  • 김혜선;곽한병
    • 시큐리티연구
    • /
    • 제43호
    • /
    • pp.99-120
    • /
    • 2015
  • 본 연구는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하여 민간경비원의 건강행동을 분석하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민간경비원을 유의표집(purposive sampling)하였다. 불성실한 응답 및 이상치를 제외하고 187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구체적인 분석 방법은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Polyserial 상관분석, 각 변인간의 인과관계를 추정하기 위하여 다중회귀(multiple regression)분석과 로지스틱 회귀(logistic regression)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애착도, 행동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 통제력은 건강행동 지속의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애착도는 행동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애착도는 건강행동 지속의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각된 행동 통제력은 건강행동 실현여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지각된 행동 통제력인 1단위 증가하면 건강행동을 실천할 가능성이 약 62.9%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건강행동 지속의지는 건강행동 실현여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지각된 행동 통제력인 1단위 증가하면 건강행동을 실천할 가능성이 약 72.3%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국내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투자자의 손실보전기대가 참여의도 및 무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절효과분석을 중심으로

  • 황낙진;이소영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5-50
    • /
    • 2020
  • 최근 계획된 행동이론을 바탕으로 국내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투자자의 참여의도와 무리행동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계획된 행동이론의 주요변인 중 태도와 주관적 규범은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투자자의 참여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간접효과 분석 결과 참여의도는 태도, 주관적 규범과 무리행동 사이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계획된 행동이론에서 행동의도의 주요 변인으로 제시된 지각된 행동통제는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비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신 무리행동에는 직접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국내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투자자는 실제 투자행동을 할 때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펀딩 진행정보를 일종의 신호로 보고 다수의 다른 투자자를 모방하여 무리행동을 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종전 연구의 후속연구로서 국내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투자자의 손실보전기대가 참여의도 및 무리행동에 조절적 역할을 하는지 여부를 연구해 보고자 한다. 손실보전기대는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투자로 인해 투자자가 받게 되는 각종 혜택이나 투자조건에 따라 크라우드펀딩 투자로 인한 손실 일부 또는 전부를 보전하거나 손실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고 믿는 정도를 말한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투자와 관련한 각종 혜택 및 투자조건 등이 투자자의 손실보전기대를 유발하여 투자자의 참여의도와 무리행동에 조절적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실증적으로 확인함으로써 향후 크라우드펀딩 관계 당사자들의 동 제도 활성화 및 투자자 보호를 위한 각종 정책 및 사업계획 수립 등에 유의미한 결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계획행동이론을 통해서 본 팟캐스트 이용행태: 국내 팟캐스트 이용자를 대상으로 (Explore to Use of Pod cast Through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e Case of Korean Pod casting Users)

  • 홍숙영;조승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2호
    • /
    • pp.183-191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매체로 확산 중에 있는 팟캐스트 이용자들의 이용행동을 연구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팟캐스트의 이용동기를 살펴보는 한편 계획행동이론의 독립변인들인 팟캐스트 이용에 대한 사회적 규범, 이용태도, 자기효능감이 팟캐스트 이용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팟캐스트의 이용동기는 생활정보추구, 오락추구, 전문정보추구, 현실도피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용동기 가운데 생활정보추구와 현실도피 요인이 팟캐스트 이용빈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계획행동이론은 팟캐스트 이용행동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모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자기효능감이 중요한 변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