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계층적 계획

Search Result 334,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DEVS Modeling with Hierarchical Planning: HRG-DEVS (계층적 계획을 이용한 이산 사건 시뮬레이션 모델링: HRG-DEVS)

  • Yi, Mi-Ra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15 no.2
    • /
    • pp.1-12
    • /
    • 2006
  • As the needs of intelligent systems increase, there have been diverse approaches that combine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simulation in the last decade. RG-DEVS, which is the basis for this paper, embedded AI planning techniques into the simulation modeling methodology of DEVS, in order to specify dynamically a simulation model. However, a hierarchy concept, which is used for various types of problem solving systems. is not included in the planning of RG-DEVS. The hierarchy concept reduces the computational cost of planning by reducing the search space, and also makes it easy to apply the hierarchical process flow of a target system to planning. This paper proposes Hierarchical RG-DEVS (HRG-DEVS) in an attempt to insert hierarchical planning capability into RG-DEVS. For the verification of the proposed modeling methodology, HRG-DEVS is applied to model the block's world problem of ABSTRIPS, which is a classical planning problem.

  • PDF

A Two-Level Hierarchical Expert System for Raw Material Scheduling (이단계 계층적 구조를 이용한 원료 운송 일정계획 전문가 시스템)

  • 서민수;고영관;김창현;최해운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2 no.1
    • /
    • pp.75-91
    • /
    • 1996
  • 제철소에서의 원료 운송 작업은, 선박에 선적된 원료를 하역하여 야드에 적치한 후, 제반 원료 소요공장까지의 벨트 컨베이어를 통한 원료 수송 작업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원료 운송과 관련한 선박 접안, 원료 하역 및 벨트 컨베이어 수송 일정 계획을 효과적으로 수립하기 위하여 이단계 계획적 구조를 이용한 일정계획 휴리스틱을 개발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전문가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단계 계층적 구조는 상위 단계의 Scheduler 와 하위 단계의 복수개의 Dispatcher 로 구성되어 있다. 하위 단계의 Dispatcher는 주어진 제약조건하에서 단위 문제를 해결하고 이를 상위 단계의 Scheduler에게 보고하게 된다. 상위 단계의 Scheduler 는 전체적인 문제 해결의 우선 순위 결정 및 Dispatcher 간의 상층을 해결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이러한 계층적 구조를 이용한 분산처리를 통해 문제의 복잡성을 줄이고, 시스템 설계의 모듈화 및 유연성있는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시스템은 실시간 전문가 시스템 도구인 G2를 이용하여 SUN Workstation에서 개발되었다.

  • PDF

Multi-Agent Coordination by Hierarchical Workflow (계층적 작업흐름에 의한 멀티 에이전트 조정)

  • 박정훈;안세용;최중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c
    • /
    • pp.120-122
    • /
    • 1998
  • 최근의 에이전트 시스템 연구는 간단한 작업을 처리하는 단일 에이전트들이 모여 하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 분야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에서는 요구된 서비스를 구성원들이 효율적으로 협동하여 제공하기 위해 이들을 통합하고 실행순서 등을 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계획, 그룹, 작업의 세가지 단계로 구분되는 규칙과 ECA 규칙을 사용하여 계층적 작업흐름을 정의하고 이를 통하여 에이전트들을 조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계층적 작업흐름의 사용으로 기존의 방법과 달리 에이전트를 계층화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구성할 경우 세부적인 수행사항에 대한 언급없이 상위 단계의 계획 규칙만을 지정하여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PDF

A Study of planning of personalized Home Healthcare System based on Hierarchical Task Network planning (계층적 작업 네트워크를 사용한 채택건강관리 시스템에 관한 연구)

  • Jang, Seung-Jin;Jeong, Jip-Min;Hwang, Seong-O;Yun, Yeong-R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7.11a
    • /
    • pp.350-353
    • /
    • 2007
  • 복잡하고 다원화되어 있는 재택건강관리 계획 모델링을 계층적 작업 네트워크 계획을 기반으로 설계하여 분산 네트워크의 성능을 최대한으로 활용한 자동화 계획 설계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SHOP라는 계층적 작업 도구를 이용하여 응급, 주의, 비정상, 정상과 같은 4가지 시나리오 모델에 따른 맞춤형 건강관리 계획 설계를 구현하여 재택건강관리 시스템의 상태분류에 대한 보조 의사 결정 도구로써 적용하였다.

  • PDF

A Translation-based Approach to Hierarchical Task Network Planning (계층적 작업 망 계획을 위한 변환-기반의 접근법)

  • Kim, Hyun-Sik;Shin, Byung-Cheol;Kim, In-Cheol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6B no.6
    • /
    • pp.489-496
    • /
    • 2009
  • Hierarchical Task Network(HTN) planning, a typical planning method for effectively taking advantage of domain-specific control knowledge, has been widely used in complex real applications for a long time. However, it still lacks theoretical formalization and standardization, and so there are some differences among existing HTN planners in terms of principle and performance. In this paper, we present an effective way to translate a HTN planning domain specification into the corresponding standard PDDL specification. Its main advantage is to allow even many domain-independent classical planners to utilize domain-specific control knowledge contained in the HTN specifications. In this paper, we try our translation-based approach to three different domains such as Blocks World, Office Delivery, Hanoi Tower, and then conduct some experiments with a forward-chaining heuristic state-space planner, FF, to analyze the efficiency of our approach.

Look-ahead technique based distribution planning for multi-echelon supply chain with production capacity limit (생산능력 제한이 있는 다계층 공급사슬에서 Look-Ahead 기법을 이용한 분배계획 수립)

  • 박상훈;권익현;김성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a
    • /
    • pp.566-569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생산능력의 제한이 있는 다계층(multi-echelon) 공급사슬에서의 효과적인 분배계획수립을 목적으로 한다. 수요 정보는 계획 기간(planning horizon) 동안 확정적인 형태로 주어지고 이러한 상황 하에서 전체 공급사슬에서 발생하는 재고유지 비용(holding cost)과 재고이월 비용(backorder cost)의 합을 최소화하는 분배 문제의 해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총비용을 최소화하는 각 노드별 분배량을 결정하기 위해서 look-ahead 기법을 사용한다. Look-ahead 기법을 통해 분배 계획 수립 시 해당 기간의 수요 정보뿐만 아니라 미래 수요를 함께 반영함으로써 생산능력 제한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였다. Look-ahead 기법을 적용하기 위해 본 문제를 단일 기계 일정계획(single machine scheduling) 문제로 전환하고 이에 대한 효율적인 발견적 기법을 제시한다. 또한 제안된 발견적 기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실험 조건하에서 제안된 알고리듬과 기존의 미래 수요를 고려하지 않는 계층 재고 정책(echelon stock policy)의 결과를 비교하여 본 연구의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 PDF

Reactive Scheduling and Control for Shipbuilding : DAS-REACT (조선의 일정계획 수정 및 통제 : DAS-REACT)

  • 이정승;이재규;최형림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2 no.1
    • /
    • pp.59-73
    • /
    • 1996
  • 전체적인 조선 생산일정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 계층적 구조를 채택하였다. 이 구조에 의하면 도크의 상위 일정계획 생성기는 탑재 일정계획을 생성하고, 조립공정의 하위 일정계획 생성기는 상위 일정계획 생성기가 요구하는 범위 내에서 각각 세부적인 조립 일정계획을 세우게 된다. 그런데 하위 일정계획 생성기가 아무리 노력하여도 상위 일정계획 생성기로부터의 제약조건을 만족시킬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면, 일정계획 수정기에 통보하여 초기 탑재 일정계획을 수정해야 한다. 하위 일정계획 생성기로부터의 조정요청을 반영하기 위해서 부분 수정을 통해 충격을 최소화시키는 일련의 휴리스틱으로 구성된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각각의 휴리스틱은 여유시간 제거, 버퍼 제거, 작업시간 축소, 다단계 여유시간 제거, 과부하 자원 공유블럭 조정, 자원 제약조건 완화 등이고, 흡수되지 않은 일부의 충격은 주변으로 전파된다. 이와같은 방법론을 대우조선의 상황에 적용하여, 조선일정계획 수정 시스템인 DAS-REACT를 개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Range Due to the Dam Operation at the Downstream (댐 운영이 하류하천에 미치는 영향권 범위 설정에 관한 연구)

  • Park, Bong-Jin;Kim, Hyeon-Sik;Jung, Kwan-Sue;Ji, Hong-K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444-448
    • /
    • 2008
  • 본 연구는 댐이 하류하천에 미치는 영향권 산정을 위한 지표를 선정하고, 계층분석기법을 적용하여 선정된 평가지표의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댐의 영향권을 산정하기 위하여 수리 수문적, 지형적, 환경 생태적, 사회적 영향이라는 4개 지표와 댐계획홍수량 등 38개 평가항목을 선정하였다. 계층분석법을 적용 전문가 집단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4개 지표와 38개 항목의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평가지표는 수리 수문적 영향권이 1순위, 환경 생태적 영향권이 2순위, 지형적 영향권 및 사회적 영향권이 각각 3순위와 4순위 이었으며, 평가항목은 댐설계방류량이 1순위, 하천의 기본 및 계획홍수량이 2순위, 계획홍수량비가 3순위, 유역면적비가 4순위, 하류댐 배수위가 5순위로 조사되었다.

  • PDF

주전산기 개발을 위한 계층적 라이프싸이클 모델

  • 이준석;박진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5.04a
    • /
    • pp.376-381
    • /
    • 1995
  • 규모가 큰 시스템의 연구개발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라이프 싸이클 모델에 의한 인력, 요소 기술 및 시간 자원의 효과적인 세분화와 유기적인 결합을 통해 전체 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올바른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종합적으로 관리하여야 한다. 여기서 라이프 싸이클 모델(life-cycle model: 순기모델)이란 연구개발 계획 시점부터 완료 시점까지의 기간을 활동 내용에 따라 여러 단계로 정의한 모델로, 개발하고자 하는 시스템의 품질 향상 및 연구개발 사업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 필수 불가결한 요소이다. 특히 중형급(midrange)이상의 컴퓨터 시스템과 같이 구성 요소들이 순차적으로 연구개발 사업 자체의 성공적인 수행 여부 뿐만 아니라 향후 산출되는 개발 결과물의 품질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연구개발 측면에서 큰 규모의 프로젝트를 수행한 경험이 많지 않아 이에 대한 기술 축척이 미진하며, 주로 선진 외국의 공학 기술을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기술이나 연구 환경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이에 따른 시행 착오를 많이 겪어왔다. 본고에서는 1987년부터 현재까지 수행되고 있는 주전산기 연구개발 사업(주전산기 I, II, III, IV) 수행을 통해 얻은 경험을 중심으로 구성 요소들이 계층적 구조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연구 개발하는데 필요한 하나의 라이프 싸이클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Method of Creating a Safety Vulnerable Class Distribution Diagram for Non-Structural Countermeasures in the Comprehensive Natural Disaster Reduction Plan (자연재해저감종합계획 비구조적 대책의 안전취약계층도 작성방안에 관한 연구)

  • Doo Hee Kim;In Jae Song;Byung-Sik Kim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16 no.1
    • /
    • pp.1-11
    • /
    • 2023
  • The comprehensive natural disaster reduction plan, the highest plan in the disaster prevention field, was implemented by local governments. second plan is currently being formulated. In order to minimize human and property damage, structural and non-structural measures for each of the nine disaster types are established and implemented for 10 years. Structural measures are based on engineering and quantitative analysis, and the criteria for setting reduction measures are clear. Non-structural measures, however, currently lack the set criteria. the basic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law included the safety vulnerable class in 2018. Currently, the safety vulnerable class of the detailed establishment criteria of the comprehensive natural disaster reduction plan is being established, including children,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However, due to the lack of data securing and database construction by local governments, it is difficult to prepare a location map for establishing reduction measures for the safety vulnerable. Therefore, in this study, OPEN API data of the safety vulnerable class were collected and statistical information and GIS of SGIS information services were used. The distribution diagram of the safety vulnerable class in Samcheok, Gangwon-do, which is a sample area, and the distribution diagram of the safety vulnerable class in units of the output area (OA) in Geundeok-myeon were prepa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