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계측시간

Search Result 1,137,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Development of a flood warning technologies (소하천 홍수 예측기술 개발)

  • Cheong, Tae Sung;Choi, Changwon;Ye, Sung J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07-107
    • /
    • 2022
  • 소하천의 홍수 예측은 대부분 수치모형을 직접 활용하거나, 미리 설정된 시나리오에 기반하여 수치모의를 수행하고 계산된 결과를 이용하여 추정한 경험식을 활용한다. 수치모형과 그 결과를 홍수 예·경보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계측자료에 기반하여 변수를 최적화하는 등의 수치모형 검증절차가 매우 중요하다. 소하천은 국가, 지방하천에 비해 계측자료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형편으로 소하천의 홍수 모의를 위해서 주로 국가, 지방하천에서 계측한 자료를 이용하여 검증을 수행한다. 이렇게 검증된 소하천 수치모형은 국가 혹은 지방하천 유역 전체를 모의하여야 하므로 모의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1시간내에 홍수유출이 이루어지는 소하천 홍수 모의에는 적절치 않다. 또한 소하천은 하천경사가 급하고 유속이 빨라 실시간 홍수모의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소하천의 홍수 예측방법으로 수치모형 보다는 계측자료에 기반한 추정삭이 보다 더 효율적이다. 행정안전부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2017년부터 소하천 홍수 예측기술 개발을 위하여 자동유량계측기술을 소하천에 확대적용하고 실시간 수리량 자료를 계측하고 있다. 자동유량계측기술은 CCTV를 이용하여 표면유속을 구하고 동시에 계측된 수위와 단면자료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유량을 계측하는 기술이다. 자동유량계측기술은 저비용, 저노동, 고효율의 유량계측기술로써 부족한 계측인력과 계측의 안전성을 고려할 때 소하천에 적합한 계측기솔이라고 할 수 있다. 행정안전부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2025년 까지 전국 소하천의 10%인 2,230개 소하천에 자동유량계측기술을 확대 구축하고 실시간으로 수리량 자료를 걔측할 계획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계측자료와 AI 등 첨단기술에 기반한 홍수 예측기술 개발하고자 한다. 예측기술은 계측유역과 미계측유역을 구분하며, 계측유역에 대해서는 계측자료를 이용하고 미계측 유역에 대해서는 단위도법과 CES를 이용하여 구한 결과를 이용하여 강우-유량 노모그래프와 수위-유량 관계식을 개발한다. 이때 노모그래프는 토양수분조건을 고려하여 개발하며, 미계측 소하천의 예측결과는 소하천을 그룹화하고 동일 그룹내에 포함된 소하천의 계측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한다. 개발된 홍수 예측기술은 소하천 홍수 예·경보시스템에 적용되며 이렇게 개발된 시스템은 소하천의 인명피해 저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Study on the Method of Measurement for Cycle Time of Bus System (버스시스템의 순환시간 측정 방법에 관한 연구)

  • Park, Jang-Hwa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8 no.6
    • /
    • pp.191-196
    • /
    • 2004
  • The measurement method is proposed for performance-evaluation of bus system in this paper. The cycle tin in manufacturing system that sensor and actuator play on the role is important factor for performance-evaluation. In order to measure cycle time, proposed method is based on simple algorithm. But it must consider delay elements in PLC and it's peripheral. The test of the cycle time is divided into the best case and the worst case and parameters are set corresponding to two cases for the improvement of measurement result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method is efficient by measuring the cycle time of the fieldbus basing on the mathematics model. As a result, due to simplicity and convenience of proposed method, the engineering cost and time demanding for test of cycling time can much reduce.

A Study on Real-Time Loudness Metering Algorithm for Digital Broadcasting (디지털 방송용 오디오 레벨 계측 알고리즘의 실시간화 연구)

  • Park Seong-Gyoo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16 no.4 s.95
    • /
    • pp.427-437
    • /
    • 2005
  • In this paper, the perceived audio level metering algorithm of digital audio sound to be able to operate in real-time is proposed. Through analyzing a conventional recommendation ITU-RBS1387-I for objective audio quality analysis, FFT-based loudness metering algorithm is implemented and the real-time method of that algorithm was advised and proved. The proposed method is based on look-up table. In order to prove the proved method, using 23 pure tones and 30 preselected digital audio samples, its performance and operation time is evaluated. Its performance, compared with an original algorithm's, have a good figure of less than $2\;\%$ error even if look-up table related with spectral spreading have large level resolution of $10\;\cal{dB}$. The proposed algorithm take only 1/21 of original algorithm's measuring time. Also, in the proposed algorithm auditory pitch group energy calculation take 1/450 of original algorithm's and excitation calculation take 1/3.57. In conclusion, the proposed algorithm is expected to be implemented into DSP-based real-time loudness meter.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Laser ranger Finder (산업용 레이저 거리 계측기 개발)

  • Bae, Young-Chu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266-267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빛의 세기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정밀한 거리 계측과 측정 속도를 대폭 개선할 수 있는 산업용 레이저 거리 계측기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5m 단위의 거리 계측에는 비행 펄스 시간 방법을 사용하고, 1mm 단위의 계측에는 헤테로다인 방법을 적용하여, 장거리 계측이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측정 오차 1mm 이내, 측정 거리 1km 이내의 고정밀 거리 계측기를 제안하였다.

  • PDF

Implementation of IEEE 1588v2 PTP for Time Synchronization Verification of Ethernet Network (이더넷 네트워크의 시간 동기화 검증을 위한 IEEE 1588v2 PTP 구현)

  • Kim, Seong-Jin;Ko, Kwang-Man
    • The KIPS Transactions:PartA
    • /
    • v.19A no.4
    • /
    • pp.181-186
    • /
    • 2012
  • The distributed measurement and control system require technology to solve complex synchronization problem among distributed devices. It can be solved by using IEEE Standard for a Precision Clock Synchronization Protocol for Networked Measurement and Control Systems to synchronize real-time clocks incorporated within each component of the system.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the IEEE 1588v2 PTP emulator on BlueScope BL6000A using a delay request-response mechanism to measure clock synchronization.

Implemetation and Estimation of the Wearable PTT Monitoring System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무선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착용형 PTT 측정시스템의 구현 및 평가)

  • Kim, Jin-Ho;Kang, Hag-Seong;Jeong, Do-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0.05a
    • /
    • pp.137-14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일상생활에서 보다 편리하게 건강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해 신체에 착용 가능한 심전도 및 맥파 계측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배터리로 구동 가능한 초소형의 심전도 및 맥파 측정 시스템을 구현하였으며, 계측된 생체신호의 무선전송을 위해 초저전력 무선 센서네트워크 기술을 적용한 무선 생체신호 전송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무선으로 전송된 심전도 및 맥파 신호는 잡음 제거 및 심박동을 검출하기 위하여 전처리과정과 적응 가변형 문턱치를 적용하였으며, 검출된 심박동으로부터 동맥순환계의 긴장도 및 유순도의 변화를 반영하는 맥파전달시간(pulse transit time, PTT)을 계산하였다. 구현된 무선 맥파전달시간 계측시스템과 기존 상용시스템의 비교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구현된 시스템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혈압 및 맥파전달시간의 동시계측을 통해 자세 변화에 따른 혈압의 변화 및 맥파전달시간의 변화양상을 관찰함으로써 혈압과 맥파전달시간의 관계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 PDF

Measurement of floodwater reach time in Gum river using Ubiquitous technology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한 금강 홍수도달시간 계측)

  • Hwang, Eui-Ho;Kwon, Hyung-Joong;Lee, Geun-Sang;Koh, Deuk-K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238-2243
    • /
    • 2008
  • 홍수 방류량 하류 도달시간 산정은 댐운영 및 홍수예경보의 기초자료로 인식되고 있어 정확한 유하시간 산정이 필요하다. 수자원공사에서는 댐 방류에 따른 하류도달시간을 댐운영실무편람('06)에 있는 자료를 활용하여 댐 운영에 활용하고 있다. 금강 하류부의 경우 '97년 금강홍수예경보 자료를 활용하고 있으나, 수치모형 결과 자료로 실측에 의한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댐 방류수에 대한 하류도달 시간에 대한 실측 기술을 확보하여 실측을 통한 수치모형의 검증 및 보완 필요하며, 보정된 수치모형을 이용한 홍수도달시간 실시간 예측을 통한 댐운영의 효율성 확보 및 대내외 검증된 결과 제시가 요구되고 있다. 현재 댐 방류에 따른 하류도달 시간에 대한 실측이 요구되고 있으나, 관련 기술에 대한 국내외 개발 및 적용 사례가 전무한 실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현장계측과 수치모형을 연계한 신뢰성 높은 도달시간을 분석하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장구간 내에서 홍수의 흐름과 동일하게 하천에 흘러갈 수 있는 부유물을 개발하였으며, 주야간에 상관없어 주요 계측지점에서 도달시간 산정을 위해 자동 인식될 수 있는 센서기술을 개발하였다. 또한, 인식된 센서를 안정적으로 통신망에 연동하여 실시간 계측이 가능하며, GIS 기반의 원격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나아가. 기존 수치모형에 의존하여 예측된 도달시간 산정방법을 개선하기 위하여 수치모형의 매개변수를 검보정을 위한 시계열 및 지속적으로 자료를 취득하였다. 이러한 센서기술, 모니터링기술, 분석기술을 융합하여 향후 매개변수를 보정한 홍수도달시간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신뢰성 높은 예측결과를 홍수예경보 및 댐 운영에 있어 활용함으로써 홍수재해로부터 안전성을 확보하고 물관리의 효율화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a CCTV-Based Multi-Site Automated Discharge Measurement Technology Linked Small-Mid-, and Large-Scale River Basin (국가-지방-소하천 연계 CCTV기반 다지점 자동유량 계측 기술개발)

  • Yoon, Sun Kwon;Choi, Hyeonseok;Cheong, Taesung;Kim, Seojun;Im, Yun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5-15
    • /
    • 2021
  •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서울의 강수 특성이 변화하고 있으며, 장마철 국지성 집중호우에 의한 하천 내 고립사고 발생 등 그 피해가 가속화될 전망이다. 하천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상류에서 빠르게 유입되는 유량의 계측을 통한 홍수 예·경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며, 실시간 계측된 유속과 유량 정보는 하류 지역의 홍수 도달시간 확보로 한 발 빠른 대응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이천 시범유역을 대상으로 총 6개 지점에 대하여 CCTV기반 자동유량계측 기술을 시범적용하였으며, 사용된 자동유량계측 지점은 기존 환경부의 월계2교, 중랑교 지점과 더불어 추가로 중랑천 월계1교지점, 우이천 본류(창번2교)와 소하천구간(인수천: 지성교, 백운천: 청담교) 지점이다. 우이천과 중랑천 합류 후에는 하도구간에 대하여 중랑교 지점에 설치된 환경부의 계측 정보를 활용하여 홍수파의 도달시간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유량계측 오차는 0.9~8.9%로 분석되었으며, 유속계측 오차 또한 현장 계측 결과와 10%이내의 오차범위를 보임으로서 안정된 수리량 계측이 가능함을 검증하였다. 또한, SWMM 모델링 결과와 결합하여 Flow Nomograpgh 작성을 실시하였으며, 상하류 연계 홍수 예·경보 가능성을 진단하였다. 이는 실시간 계측된 자료와 모형을 통한 시뮬레이션 정보를 활용한 유역 단위의 신뢰성 있는 유출응답(강우-유량-수위 관계) 규명을 가능하게 하였다. 향후 지방하천과 소하천의 경우, 국가하천 수준에 부합하는 표준화된 수리량 계측 체계를 마련할 필요성이 있으며, 소유역 규모의 수량-수질 수자원 기초조사자료 생산은 지방하천설계 및 관련 이·치수계획 수립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Proposal of Simultaneous Acquisition Performance Test Method for Telemetry System (원격 측정 시스템 동시계측 성능시험 방법 제안)

  • Park, Yu-kwang;Lee, Woon-moon;Kim, Bok-ki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24 no.3
    • /
    • pp.218-223
    • /
    • 2020
  • There are communication methods that guarantees real-time and method of performing the simultaneous acquisition through the synchronized multi-channels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telemetry system. Such synchronized systems need to be verified to confirm the simultaneous measurement performance of channel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measure the time difference between synchronized channels in a telemetry system through simultaneous acquisition performance test. The simulation signal is applied for measurement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ampling period and the simulation signal period is defined as the concept of time resolution. The principle of checking the measurement time difference between channels through time resolution was explained. In addition, the proposed principle was verified through simulation in the situation when measurement time difference may occur. And a procedure for identifying a measurement time difference in an actual telemetry system is described.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rainfall inundation measuring devices for the application of urban flood monitoring technology (도시침수 모니터링 기술 적용을 위한 강우-침수계측장치 구축에 관한 연구)

  • Kyung-Su Choo;Hyeon Ji Lee;Byung-Sik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58-258
    • /
    • 2023
  • 도시침수는 하천홍수와는 달리 짧은 시간에 발생하며 저지대 우수 유입, 배수관로 용량 부족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추가적 원인으로 국지성 집중호우가 있으며 짧은 시간에 많은 비가 집중적으로 내리는 현상을 의미한다. 한두 시간 혹은 몇 분 동안의 짧은 시간에 좁은 지역에서 발생하는특성 때문에 발생 시간, 지점, 강우량에 대한 정확한 예측이 어려워 도심지의 저지대가 침수되는등 예상치 못하는 침수피해가 자주 발생한다. 강우량별 피해 범위를 보면 시간당 30~40mm 정도에서 하수관이 역류하고, 시간당 50mm 강우량에서 지하실이나 지하상가와 같은 지하공간에서 침수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시간당 100mm 이상의 강우에서는 대규모 재해가 발생할 우려가 높아진다. 도시침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지자체에서는 CCTV를 운영하여 위험을 감시하고 있지만다수의 인력과 환경에 따라 영상 확인의 한계가 있다. 그러나 침수센서는 침수 정도를 수치로 표현하여 데이터를 확보함과 동시에 다수의 지역을 모니터링하는데 유용하다. 또한 주변 환경에 상관없이 계측된 자료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기존 센서를 설계할 때는 도시 미관을 해치는 경우가있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의 여건에 맞추어 인도용, 차도용, 공원용의 용도에 맞는 센서를구축하여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기존의 지형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 후 구축된 센서를 이용하여 리빙랩 개념의 테스트베드를 통해 다양한 도시침수의 원인이 되는 조건을 검토하여 실증 실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 PDF